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55. pfx의 암호 키 파일을 Visual Studio 없이 등록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0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pfx의 암호 키 파일을 Visual Studio 없이 등록하는 방법

이런 질문이 있군요,

Jenkins에서 Clickonce publish 해본 분 계신가요?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5e2e3519-fdf8-4d5f-8137-aafc9a1742bd/jenkins5064049436-clickonce-publish-5464448376-48516?forum=dotnetko

이에 대한 원인은 다음의 글에 연결됩니다.

Visual Studio에서 pfx 파일로 서명한 경우, 암호는 어디에 저장될까?
; https://www.sysnet.pe.kr/2/0/1298

해법도 알아볼까요? 우선, 위의 글에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프로젝트 속성 창의 "Create Strong Name Key" 대화창을 이용해 pfx 파일 생성과 함께 그것의 키를 입력하는 것을 살펴봤는데요. 그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때 입력한 키는 다음의 로컬 경로에 각각 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C:\ProgramData\Microsoft\Crypto\RSA\MachineKeys

// Windows 10의 경우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Crypto\RSA\[로그인 사용자 SID]

테스트를 위해 저 경로에 저장된 암호 키 파일을 삭제하면 이후 비주얼 스튜디오 빌드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Rebuild started...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WindowsFormsApp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Current\Bin\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3241,5): error MSB3325: Cannot import the following key file: test.pfx. The key file may be password protected. To correct this, try to import the certificate again or manually install the certificate to the Strong Name CSP with the following key container name: VS_KEY_DA465D069C34F247
========== Rebuild All: 0 succeeded, 1 failed, 0 skipped ==========


자, 그럼 다시 키 파일을 등록해 볼까요?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위의 메시지에서 출력해 주는 "VS_KEY_DA465D069C34F247" 문자열입니다. 이것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비주얼 스튜디오 없이) sn.exe 도구로 직접 등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C:\WinFormsApp1\WindowsFormsApp1> sn -i test.pfx VS_KEY_DA465D069C34F247

Microsoft (R) .NET Framework Strong Name Utility  Version 4.0.30319.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Enter the password for the PKCS#12 key file:
Key pair installed into 'VS_KEY_DA465D069C34F247'

이때 명령어 실행 중 암호룰 묻는데, 마찬가지로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pfx를 생성 시 입력했던 그 암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런데, 살짝 문제가 있습니다. sn.exe -i 옵션의 두 번째 인자로 준 "Container name"에 해당하는 문자열(예제에서는 VS_KEY_DA465D069C34F247)을 구하는 방법이 애매합니다. 사실, 위의 내용대로 그냥 키 파일을 삭제 후 빌드를 해보고 그 오류 메시지로부터 얻는 것도 나름 괜찮은 방법에 속합니다. 만약, 그게 싫다고 하면 ^^... 음... 어떤 방법이 있을지 검색을 해보겠습니다.

Enumerating container names of the strong name CSP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6658541/enumerating-container-names-of-the-strong-name-csp

위의 글에 보면 시스템에 등록된 컨테이너를 나열하는 코드를 싣고 있습니다. 해당 코드를 github에 프로젝트로 구성해서 올려놨으니,

KeyPal
; https://github.com/stjeong/DotNetSamples/tree/master/WinConsole/KeyPal

참고하시고, 어쨌든 이를 실행해 보면 아쉽게도 VS_KEY_* 관련 이름들이 한두 개가 아니라서,

C:\temp> KeyPal
35242e064b06c50b2ab4bf5a2ab52e2c_ac8544f3-1ae2-48c6-bc0b-2b8445bc10e8

c668f4c0-c191-4ca5-b5f3-b4461be98899 pk length:160

VS_KEY_CF3818a49CaaF202 pk length:160

VS_KEY_ab465a069C54F243 pk length:160


VS_KEY_9CB3a295586C15C4 pk length:160

5b294908-e905-40e4-84b4-195cb5cb9333 pk length:288


VS_KEY_bF59592b36143EB1 pk length:160

VS_KEY_920B54E5B40C1B44 pk length:160

VS_KEY_3FEbFCF9682a4499 pk length:160

VS_KEY_a9484549382a1935 pk length:160


VS_KEY_1aEB4EBaab66Bb58 pk length:160

214959e6-6acf-4916-8a5b-8b390eea25c0 pk length:288

IIS Express development Certificate Container pk length:288

일일이 한 번씩 대입해보면서 빌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체크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딱 봐도 이건 왠지 아닌 것 같습니다. ^^; 그런데, VS_KEY_* 이름을 생성하는 규칙을 msbuild로부터 추려내 sn.exe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honzajscz/SnInstallPfx
; https://github.com/honzajscz/SnInstallPfx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pfx 파일과 비밀번호만 지정하면 됩니다.

C:\temp> sninstallpfx test.pfx 1111111
The key pair has been installed into the strong name CSP key container 'VS_KEY_DA465D069C34F247'.
VS_KEY_DA465D069C34F247




이름 생성 규칙은 "KeyPal" 소스 코드에도 넣어두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C:\temp\DotNetSamples\WinConsole\KeyPal\bin\Debug> KeyPal.exe C:\temp\test.pfx
VS_KEY_DA465D069C34F247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289.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261.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25.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464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42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258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26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523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097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339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52.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19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878.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11.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779.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41.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295.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0999.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169.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64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098.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399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673.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635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292.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171.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