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현재 .NET Framework 소스 코드용 PDB 파일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소스 코드 디버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긴 해도, 왜 안되는 지에 대한 이유와 함께 그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아래의 글을 먼저 읽어보셔야 문맥이 이어질 것입니다. ^^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현재 기준으로 위의 설정에 따라 디버깅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이 "Modules" 창의 "Symbol Status"에서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이라는 상태로 나옵니다. (정상적이라면, "Symbols loaded."가 나와야 합니다.)

netsrc_pdb_match_1.png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심벌 파일이 다음과 같은 경로에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ED96A7F38A2940F39B9CA7AD9BC5CB671\mscorlib.pdb"

제 예상에는, 아마도 위의 파일이 안 올라오는 것을 보면 틀림없이 PDB 파일과 DLL 파일의 signature가 일치하지 않을 듯 한데요. 이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소개해 드렸던 chkmatch라는 도구를 이용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the PDB file.
; https://www.sysnet.pe.kr/2/0/987

그래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려보면,

D:\pdb_match>chkmatch -c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E:\NetPdbSources\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ED96A7F38A2940F39B9CA7AD9BC5CB671\mscorlib.pdb
ChkMatch - version 1.0
Copyright (C) 2004 Oleg Starodumov
http://www.debuginfo.com/


Executab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Debug info file: E:\NetPdbSources\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ED96A7F38A2940F39B9CA7AD9BC5CB671\mscorlib.pdb

Executable:
TimeDateStamp: 4e181ae3
Debug info: 2 ( CodeView )
TimeStamp: 4e181ae3  Characteristics: 0  MajorVer: 0  MinorVer: 0
Size: 37  RVA: 00441c68  FileOffset: 0043fe68
CodeView format: RSDS
Signature: {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  Age: 1
PdbFile: mscorlib.pdb

Debug information file:
Format: PDB 7.00
Signature: {ed96a7f3-8a29-40f3-9b9c-a7ad9bc5cb67}  Age: 2

Result: Unmatched (reason: Signature mismatch)

예상했던 대로 Signature 및 Age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가만보니 PDB 파일의 signature가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한 바로 그 폴더명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etsrc_pdb_match_2.png

아하... 그렇다면, 위에서 다운로드한 PDB 파일을 억지로 DLL의 "{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 signature와 를 일치시켜 준 다음, 폴더를 만들어주어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DLL의 signature GUID 값과 일치하는 폴더를 새롭게 만들어 PDB 파일을 복사한 후,

".\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mscorlib.pdb"

chkmatch.exe 파일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DLL과 PDB 파일의 signature를 강제로 일치시켜 줍니다.

D:\pdb_match>chkmatch -m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
89\mscorlib.dll E:\NetPdbSources\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mscorlib.pdb
ChkMatch - version 1.0
Copyright (C) 2004 Oleg Starodumov
http://www.debuginfo.com/


Executab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Debug info file: E:\NetPdbSources\MicrosoftPublicSymbols\mscorlib.pdb\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mscorlib.pdb

Executable:
TimeDateStamp: 4e181ae3
Debug info: 2 ( CodeView )
TimeStamp: 4e181ae3  Characteristics: 0  MajorVer: 0  MinorVer: 0
Size: 37  RVA: 00441c68  FileOffset: 0043fe68
CodeView format: RSDS
Signature: {c99f0001-5928-49ad-a9a5-5a463ed5298a}  Age: 1
PdbFile: mscorlib.pdb

Debug information file:
Format: PDB 7.00
Signature: {ed96a7f3-8a29-40f3-9b9c-a7ad9bc5cb67}  Age: 2

Writing to the debug information file...
Result: Success.

자, 이제 다음과 같이 Modules (Ctrl + D, M) 창에서 "Load Symbols From" / "Symbol Path" 메뉴를 선택하고,

netsrc_pdb_match_3.png

경로를 다시 한번 물어볼 텐데, 직접 다음과 같이 PDB 파일 경로를 입력해 주면,

netsrc_pdb_match_4.png

다음과 같이 "Symbols loaded." 상태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src_pdb_match_5.png

(위의 과정까지 완료되고 나면, "Debug" / "Options and Settings" 창의 "Debugger" / "Symbols", "Symbol file (.pdb) locations:" 란에 새롭게 위의 경로가 추가됩니다.)




이미 이 글의 서두에서 말한 것 처럼, 위와 같이 해주고 나서 다시 디버깅을 해도 닷넷 프레임워크 소스 코드로 진입이 안되었습니다. 사실 ^^;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글을 쓴 저조차도 내용을 잊어먹고 있었던 것입니다.

즉, PDB 파일이 "http://referencesource.microsoft.com/symbols"와 "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의 2가지 경로에서 다운로드가 받아지는데요. 전자의 경우가 소스 코드 정보가 있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가 없는 것인데, 위에서 다운로드 되었던 PDB 파일은 후자에 속했던 것입니다.

이것은, 다운로드 시도를 하는 중에 fiddler2로 확인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netsrc_pdb_match_6.png

위에 보시면, System.Xml.Linq.pdb는 referencesource.microsoft.com으로부터 받았고, Microsoft.CSharp.pdb 파일은 referencesource.microsoft.com으로부터 "404 Not Found"로 실패해서 msdl.microsoft.com에서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해당 파일을 메모장으로만 열어보아도 다음과 같이 System.Xml.Linq.pdb 파일에서는 소스 코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반면, Microsoft.CSharp.pdb 파일에는 어떠한 소스 코드 정보도 찾을 수 없습니다.

netsrc_pdb_match_7.png

어쨌든... 이런 결과로 인해 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지에 대해서 이해는 되었지만... 결국,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정상적으로 PDB 심벌 파일 관리를 제대로 해주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 해볼 것이 없습니다.

이렇게 된 이상... 믿을 것은 오직 ".NET Reflector"뿐인 것 같습니다. ^^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2-27 08시24분
[ Beren] 어느 순간 안되어서 그냥 왜 안되는지 찾아볼 생각은 안하고 Reflector로 해결되기에 그냥 넘어가고 있었는데 이런 원인이 있었네요. 늘 좋은 글 감사합니다.
^^
[gues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62정성태8/8/202119396Java: 28. IntelliJ -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오류
12761정성태8/8/202116069Java: 27. IntelliJ - java: package javax.inject does not exist [2]
12760정성태8/8/202112848개발 환경 구성: 594. 전용 "Command Prompt for ..." 단축 아이콘 만들기
12759정성태8/8/202117463Java: 26. IntelliJ + Spring Framework + 새로운 Controller 추가 [2]파일 다운로드1
12758정성태8/7/202116866오류 유형: 751. Error assembling WAR: webxml attribute is required (or pre-existing WEB-INF/web.xml if executing in update mode)
12757정성태8/7/202117476Java: 25.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12756정성태8/6/202115744.NET Framework: 1084.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755정성태8/5/202115779개발 환경 구성: 593.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54정성태8/5/202116177오류 유형: 750. manage.py - Your project may not work properly until you apply the migrations for app(s): admin, auth, contenttypes, sessions.
12753정성태8/5/202117103오류 유형: 749. PyCharm - Error: Django is not importable in this environment
12752정성태8/4/202113963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12751정성태8/4/202116886개발 환경 구성: 591. Windows 10 WSL2 환경에서 docker-compose 빌드하는 방법
12750정성태8/3/202113917디버깅 기술: 181. windbg - 콜 스택의 "Call Site" 오프셋 값이 가리키는 위치
12749정성태8/2/202113349개발 환경 구성: 590. Visual Studio 2017부터 단위 테스트에 DataRow 특성 지원
12748정성태8/2/202114382개발 환경 구성: 589. Azure Active Directory - tenant의 관리자(admin) 계정 로그인 방법
12747정성태8/1/202114643오류 유형: 748. 오류 기록 - MICROSOFT GRAPH – HOW TO IMPLEMENT IAUTHENTICATIONPROVIDER파일 다운로드1
12746정성태7/31/202119103개발 환경 구성: 588. 네트워크 장비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Packet Tracer 프로그램 소개
12745정성태7/31/202114907개발 환경 구성: 587. Azure Active Directory - tenant의 관리자 계정 로그인 방법
12744정성태7/30/202115295개발 환경 구성: 586. Azure Active Directory에 연결된 App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
12743정성태7/30/202116530.NET Framework: 1083. Azure Active Directory - 외부 Token Cache 저장소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42정성태7/30/202114556개발 환경 구성: 585. Azure AD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유형
12741정성태7/29/202116047.NET Framework: 1082. Azure Active Directory - Microsoft Graph API 호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40정성태7/29/202114561오류 유형: 747. SharePoint - InvalidOperationException 0x80131509
12739정성태7/28/202114974오류 유형: 746. Azure Active Directory - IDW10106: The 'ClientId' option must be provided.
12738정성태7/28/202115923오류 유형: 745. Azure Active Directory - Client credential flows must have a scope value with /.default suffixed to the resource identifier (application ID URI).
12737정성태7/28/202115012오류 유형: 744. Azure Active Directory - The resource principal named api://...[client_id]... was not found in the tenan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