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689.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1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오랜만에 해본,

signtool.exe의 다중 서명 기능
; https://www.sysnet.pe.kr/2/0/10875

signtool sign /v /sm /n "...[인증서_이름]..." /t ...[time_stamp_url]... c:\temp\MyTest.exe
signtool sign /as /fd SHA256 /v /sm /n "...[인증서_이름]..." /tr ...[time_stamp_url]... c:\temp\MyTest.exe

dual 서명이, 두 번째 단계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원인은, 오래된 signtool.exe를 사용해서 그런 건데 옵션없이 실행해 봐도 /as 옵션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신 버전을 사용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Windows SDK 설치 시 함께 있는 signtool.ex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UniversalCRTSdkDir%bin\%UCRTVersion%\x64\signtool.exe
예)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7763.0\x64\signtool.exe
예)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8362.0\x64\signtool.exe
예)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bin\10.0.19041.0\x64\signtool.exe

Signing parameter options:
/as         Append this signature. If no primary signature is present, this
            signature will be made the primary signature instead.
그런데 옵션 설명을 보니, /as가 전에는 이미 서명이 된 상태여야 한다는 조건을 가졌었는데,

SignTool Error: Multiple signature support is not implemented for this filetype.
; https://www.sysnet.pe.kr/2/0/12056#as_opt

이제는, 오류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서명한다고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09정성태2/25/201627698기타: 56. ETW provider 목록 [3]
10908정성태2/25/201623573기타: 55. ETW man 파일 목록
10907정성태2/24/201623550.NET Framework: 554. 인터프리터 - 재귀적 하향 구문 분석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6정성태2/24/201620863.NET Framework: 553. C# 관리 코드에서 IMetaDataDispenserEx, IMetaDataImport 관련 인터페이스를 얻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905정성태2/24/201624501오류 유형: 321. Hyper-V The operation failed with error code '32791'.
10904정성태2/23/201622077.NET Framework: 552. 인터프리터 - 역폴란드 표기법을 이용한 식의 분석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3정성태2/22/201622452.NET Framework: 551. 인터프리터 어휘 분석 프로그램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2정성태2/22/201622776.NET Framework: 550. GetFunctionPointer 호출 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
10901정성태2/20/201626107.NET Framework: 549. ContextBoundObject 상속 클래스와 System.Reflection.ReflectionTypeLoadException 예외 [4]파일 다운로드1
10900정성태2/19/201625090.NET Framework: 548. Linq는 결국 메서드 호출! [3]파일 다운로드1
10899정성태2/17/201626511개발 환경 구성: 282.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1]
10898정성태2/17/201624290.NET Framework: 547.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 지정 시 주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0897정성태2/17/201624120디버깅 기술: 76. windbg 분석 사례 - 닷넷 프로파일러의 GC 콜백 부하
10896정성태2/17/201624115오류 유형: 320. FATAL: 28000: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fe80::1970:8120:695:a41e%12"
10895정성태2/17/201623187.NET Framework: 546. System.AppDomain으로부터 .NET Profiler의 AppDomainID 구하는 방법 [1]
10894정성태2/17/201623213오류 유형: 319. Visual Studio에서 찾기는 성공하지만 해당 소스 코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0893정성태2/16/201622368.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10892정성태2/16/201622792오류 유형: 318. 탐색기에서 폴더 생성/삭제 시 몇 초 동안 멈추는 현상
10891정성태2/16/201626506VC++: 95. 내 CPU가 MPX/SGX를 지원할까요? [1]
10890정성태2/15/201625481.NET Framework: 544. C# 5의 Caller Info를 .NET 4.5 미만의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방법 [5]
10889정성태2/14/201622484.NET Framework: 543.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88정성태2/14/201620238.NET Framework: 542.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10887정성태2/3/201622115VC++: 94. MPX(Memory Protection Extensions)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0886정성태2/3/201623741개발 환경 구성: 281. Intel MPX Runtime Driver 수동 설치
10885정성태2/2/201622291오류 유형: 317. Sybase.Data.AseClient.AseException: The command has timed out.
10884정성태1/11/201622913개발 환경 구성: 280. 닷넷에서 SAP Adaptive Server Enterprise 데이터베이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