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C# Marshal.PtrToStructure - The structure must not be a value class.

간단한 재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ize = Marshal.SizeOf(typeof(MyStruct));
        IntPtr pBuf = Marshal.AllocHGlobal(size);

        MyStruct instance = new MyStruct();

        Marshal.StructureToPtr(instance, pBuf, true);

        // 예외 발생
        Marshal.PtrToStructure(pBuf, instance);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Age;
    public bool Married;
}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는데,

// 처리되지 않은 예외: System.ArgumentException: 구조체는 값 클래스가 아니어야 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ArgumentException: The structure must not be a value class.
Parameter name: structur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PtrToStructureHelper(IntPtr ptr, Object structure, Boolean allowValueClasses)
   at Program.Main(String[] args) in C:\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15

일면 이해가 갑니다. 왜냐하면 값 형식의 특성상 "instance" 변수를 PtrToStructure에 넘겨줬을 때 아무리 발버둥 쳐도 instance에 값을 설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게 가능하려면 애당초 ref 유형으로 인자를 전달해야 합니다.) 반면, struct라는 것이 이름에 포함되었다는 점과 대칭적이라는 점에서 한편으론 아쉬움이 남는 API 설계입니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2가지가 있습니다. 1) MyStruct를 class로 바꾸거나, 2) PtrToStructure의 또 다른 버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 방법의 경우, 다음과 같이 StructLayout을 지정한 class로 바꾸면 됩니다.

// struct의 경우 기본 LayoutKind가 Sequential
//public struct MyStruct
//{
//    public int Age;
//    public bool Married;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class MyStruct
{
    public int Age;
    public bool Married;
}

그럼, StructureToPtr에 참조 주소가 복사되어 넘어가기 때문에 대상 메서드에서는 instance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이라면 기존 소스 코드의 변경 없이 PtrToStructure 측에서,

instance = (MyStruct)Marshal.PtrToStructure(pBuf, typeof(MyStruct));

아예 반환값으로 넘겨주는 버전을 사용하면 되고, 이 과정에서 박싱/언박싱을 동반하며 instance에 값이 복사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9정성태3/27/201241316오류 유형: 149. ODP.NET 오류 - The provid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version of Oracle client
1268정성태3/27/201237302오류 유형: 148. WCF svc 호출 시 HTTP Error 404.17 - Not Found [1]
1267정성태3/16/201235988.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6정성태3/14/201238598개발 환경 구성: 149. RAID 1 구성 시 하드 디스크 장애 발생 해결에 대한 경험담
1265정성태3/13/201228882VC++: 61. 아이태니엄(IA64: Itanium) 에서 겪은 C++ 포인터 연산 문제 [2]
1264정성태3/10/201248778.NET Framework: 313. WELL512 난수 발생 알고리즘 - C# [5]파일 다운로드1
1263정성태3/9/201227040개발 환경 구성: 148. tinyget 사용법
1262정성태3/8/201247750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
1261정성태3/7/201228025Phone: 2. 개발자용 윈도우 폰 7 기기 등록하는 방법
1260정성태3/6/201228698Phone: 1. 윈도폰 7 개발자 (회사) 등록하는 방법 [3]
1259정성태3/4/201240118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1]
1258정성태3/3/201241608개발 환경 구성: 146. SQL Server 2012에 포함된 LocalDB 기능 소개 [3]파일 다운로드1
1257정성태3/3/201230190.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1]파일 다운로드1
1256정성태3/3/201233305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파일 다운로드1
1255정성태3/3/201235511Math: 4.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1]파일 다운로드1
1254정성태3/1/201231073Windows: 56. Windows 8 Consumer Preview를 사용해 보고... [1]
1253정성태3/1/201232289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1252정성태3/1/201229606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33859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5837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6125.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6818.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9528.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8952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40325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7301.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