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54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닷넷에서, 파일 복사의 진행 여부를 보여주려면 복사 과정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반면, Win32 API로 제공하는 CopyFileEx를 사용하면,

CopyFileExW function (winbase.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base/nf-winbase-copyfileexw

C#으로 이렇게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 https://www.pinvoke.net/default.aspx/kernel32.copyfileex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Auto)]
    [return: MarshalAs(UnmanagedType.Bool)]
    unsafe static extern bool CopyFileEx(string lpExistingFileName, string lpNewFileName,
            delegate* unmanaged[Stdcall]<long, long, long, long, uint, CopyProgressCallbackReason, IntPtr, IntPtr, IntPtr, CopyProgressResult> lpProgressRoutine,
            IntPtr lpData, ref Int32 pbCancel, CopyFileFlags dwCopyFlags);

    [UnmanagedCallersOnly(CallConvs = new Type[] { typeof(CallConvStdcall) })]
    static CopyProgressResult CopyProgressRoutineCallback(
        long TotalFileSize,
        long TotalBytesTransferred,
        long StreamSize,
        long StreamBytesTransferred,
        uint dwStreamNumber,
        CopyProgressCallbackReason dwCallbackReason,
        IntPtr hSourceFile,
        IntPtr hDestinationFile,
        IntPtr lpData)
    {
        Console.WriteLine($"{TotalBytesTransferred} / {TotalFileSize}");
        return CopyProgressResult.PROGRESS_CONTINUE;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rcFile = @"C:\temp\test.vhdx";
        string dstFile = Path.ChangeExtension(srcFile, ".tmp");

        int bCancel = 0;
        unsafe
        {
            CopyFileEx(srcFile, dstFile, &CopyProgressRoutineCallback, IntPtr.Zero, ref bCancel, CopyFileFlags.COPY_FILE_RESTARTABLE);
        }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Flags]
enum CopyFileFlags : uint
{
    COPY_FILE_NONE = 0,
    COPY_FILE_FAIL_IF_EXISTS = 0x00000001,
    COPY_FILE_RESTARTABLE = 0x00000002,
    COPY_FILE_OPEN_SOURCE_FOR_WRITE = 0x00000004,
    COPY_FILE_ALLOW_DECRYPTED_DESTINATION = 0x00000008,
    COPY_FILE_COPY_SYMLINK = 0x00000800, //NT 6.0+
    COPY_FILE_NO_BUFFERING = 0x00001000 //NT 6.0+
}

enum CopyProgressCallbackReason : uint
{
    CALLBACK_CHUNK_FINISHED = 0x00000000,
    CALLBACK_STREAM_SWITCH = 0x00000001
}

enum CopyProgressResult : uint
{
    PROGRESS_CONTINUE = 0,
    PROGRESS_CANCEL = 1,
    PROGRESS_STOP = 2,
    PROGRESS_QUIET = 3
}

#if !NET5_0
namespac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Inherited = false)]
    public sealed class UnmanagedCallersOnlyAttribute : Attribute
    {
        public Type[] CallConvs;
        public string EntryPoint;
    }
}
#endif

그런데, 유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위의 코드는 64비트 환경에서만 잘 동작합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언급했던,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31

이유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32비트 빌드로도 동작하게 만들고 싶다면 UnmanagedCallersOnly + 함수 포인터가 아닌 델리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5정성태9/10/201239938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32588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6404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1342정성태9/6/201230560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1341정성태9/4/201240273Windows: 60. Hyper-V에서 RemoteFX 없이 DirectX 11 제공 [12]
1340정성태9/4/201232353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3]
1339정성태9/4/201235004개발 환경 구성: 165. 새로운 Visual Studio 2012 원격 디버깅 툴 [6]
1338정성태9/4/201236767.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6395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3688.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33345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52768.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5870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7435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31006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31637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7123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1328정성태8/20/201237711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42717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8542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8516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30055.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32210.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32146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31480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33579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