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7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닷넷에서, 파일 복사의 진행 여부를 보여주려면 복사 과정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반면, Win32 API로 제공하는 CopyFileEx를 사용하면,

CopyFileExW function (winbase.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base/nf-winbase-copyfileexw

C#으로 이렇게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 https://www.pinvoke.net/default.aspx/kernel32.copyfileex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Auto)]
    [return: MarshalAs(UnmanagedType.Bool)]
    unsafe static extern bool CopyFileEx(string lpExistingFileName, string lpNewFileName,
            delegate* unmanaged[Stdcall]<long, long, long, long, uint, CopyProgressCallbackReason, IntPtr, IntPtr, IntPtr, CopyProgressResult> lpProgressRoutine,
            IntPtr lpData, ref Int32 pbCancel, CopyFileFlags dwCopyFlags);

    [UnmanagedCallersOnly(CallConvs = new Type[] { typeof(CallConvStdcall) })]
    static CopyProgressResult CopyProgressRoutineCallback(
        long TotalFileSize,
        long TotalBytesTransferred,
        long StreamSize,
        long StreamBytesTransferred,
        uint dwStreamNumber,
        CopyProgressCallbackReason dwCallbackReason,
        IntPtr hSourceFile,
        IntPtr hDestinationFile,
        IntPtr lpData)
    {
        Console.WriteLine($"{TotalBytesTransferred} / {TotalFileSize}");
        return CopyProgressResult.PROGRESS_CONTINUE;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rcFile = @"C:\temp\test.vhdx";
        string dstFile = Path.ChangeExtension(srcFile, ".tmp");

        int bCancel = 0;
        unsafe
        {
            CopyFileEx(srcFile, dstFile, &CopyProgressRoutineCallback, IntPtr.Zero, ref bCancel, CopyFileFlags.COPY_FILE_RESTARTABLE);
        }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Flags]
enum CopyFileFlags : uint
{
    COPY_FILE_NONE = 0,
    COPY_FILE_FAIL_IF_EXISTS = 0x00000001,
    COPY_FILE_RESTARTABLE = 0x00000002,
    COPY_FILE_OPEN_SOURCE_FOR_WRITE = 0x00000004,
    COPY_FILE_ALLOW_DECRYPTED_DESTINATION = 0x00000008,
    COPY_FILE_COPY_SYMLINK = 0x00000800, //NT 6.0+
    COPY_FILE_NO_BUFFERING = 0x00001000 //NT 6.0+
}

enum CopyProgressCallbackReason : uint
{
    CALLBACK_CHUNK_FINISHED = 0x00000000,
    CALLBACK_STREAM_SWITCH = 0x00000001
}

enum CopyProgressResult : uint
{
    PROGRESS_CONTINUE = 0,
    PROGRESS_CANCEL = 1,
    PROGRESS_STOP = 2,
    PROGRESS_QUIET = 3
}

#if !NET5_0
namespac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Inherited = false)]
    public sealed class UnmanagedCallersOnlyAttribute : Attribute
    {
        public Type[] CallConvs;
        public string EntryPoint;
    }
}
#endif

그런데, 유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위의 코드는 64비트 환경에서만 잘 동작합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언급했던,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31

이유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32비트 빌드로도 동작하게 만들고 싶다면 UnmanagedCallersOnly + 함수 포인터가 아닌 델리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28정성태5/23/200937368.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2321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1830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5104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39190.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3177.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1743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27370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4111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25297.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25539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714정성태5/7/200924120Windows: 45. Windows 7 RC와 함께 공개된 Windows Virtual PC 베타
713정성태4/30/200955914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1]
712정성태4/28/200928516오류 유형: 78. Windows Vista/2008에서의 MSXML4.cab 파일 배포 문제
711정성태4/27/200928045개발 환경 구성: 43.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710정성태4/26/200928663.NET Framework: 133.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4]파일 다운로드1
709정성태4/24/200924893개발 환경 구성: 42. Windows Vista SP1에서 사용 가능한 Hyper-V 관리 도구
708정성태4/23/200929765.NET Framework: 132. ClickOnce 배포를 명령행 수작업 구성파일 다운로드1
707정성태4/22/200929397개발 환경 구성: 41. Hyper-V에 Linux 설치 -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1
706정성태4/21/200925269.NET Framework: 131.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파일 다운로드1
705정성태4/20/200920784개발 환경 구성: 40. TFS2008 SP1의 DBTier에 SQL Server 2008 SP1 설치 [1]
704정성태4/19/200920782개발 환경 구성: 39. Together 2007 SP1 설치
702정성태4/18/200932057.NET Framework: 130. Infragistics - Tabbed MDI WPF 응용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701정성태4/17/200926947Windows: 44. bootsect 오류 - Access is denied.
700정성태4/17/200930041.NET Framework: 129. Infragistics WPF 컨트롤 사용 [1]
699정성태4/16/200928589.NET Framework: 128. 이벤트 멤버의 명시적 구현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