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42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 https://www.sysnet.pe.kr/2/0/964

Windows: 175.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 https://www.sysnet.pe.kr/2/0/12350

Windows: 178.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 - SO_REUSEADDR
; https://www.sysnet.pe.kr/2/0/12432

Windows: 179.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3) - SO_PORT_SCALABILITY
; https://www.sysnet.pe.kr/2/0/12433

Windows: 181.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435

.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48

.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49

.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50

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59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이 글의 테스트는 .NET Framework 4.8 + Windows 10에서 진행했고, 결과는 환경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DynamicPortRangeStartPort       : 1024
DynamicPortRangeNumberOfPorts   : 977
AutoReusePortRangeStartPort     : 15000
AutoReusePortRangeNumberOfPorts : 1000

지난 글에서,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48

다룬 코드를 HttpClient로 바꿔보면 어떻게 될까요? 역시 서버 코드는 그대로 두고 클라이언트만 교체해,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Concurrent;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Http;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ipAddr = args[0];
            int port = int.Parse(args[1]);
            int numberOf = int.Parse(args[2]);

            Console.WriteLine(ThreadPool.SetMaxThreads(1100, 1100));
            Console.WriteLine(ThreadPool.SetMinThreads(1000, 1000));

            ServicePointManager.ReusePort = true;

            ConcurrentQueue<Task> clients1 = new ConcurrentQueue<Task>();

            Uri uri = new Uri($"http://{ipAddr}:{port}");
            int exceptionCount = 0;
            try
            {
                for (int i = 0; i < numberOf; i++)
                {
                    try
                    {
                        HttpClient wc = new HttpClient();
                        Task task = wc.GetAsync(uri);
                        clients1.Enqueue(task);
                    }
                    catch (Exception e)
                    {
                        exceptionCount++;
                        Console.WriteLine(e.ToString());
                    }
                }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ToString());
            }

            while (true)
            {
                Console.WriteLine($"{clients1.Count}, {exceptionCount}, Pid == {Process.GetCurrentProcess().Id}, ServicePointManager.ReusePort = {ServicePointManager.ReusePort}");
                Thread.Sleep(5000);
            }
        }
    }
}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서버 측 포트 17000, 17001 Listen

D:\temp> ConsoleApp1
# of 17000: 0, 17001: 0
# of 17000: 0, 17001: 0
# of 17000: 68, 17001: 0
# of 17000: 641, 17001: 242
# of 17000: 641, 17001: 242
# of 17000: 641, 17001: 242

// #1 클라이언트 측 - 17000 포트로 1001개 접속 시도
// ConsoleApp2.exe localhost 17000 1001

C:\WINDOWS\system32> netstat -ano | findstr 18476
  TCP    127.0.0.1:1036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TCP    127.0.0.1:1037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TCP    127.0.0.1:1044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생략]...
  TCP    127.0.0.1:1966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TCP    127.0.0.1:1973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TCP    127.0.0.1:1999         127.0.0.1:17000        ESTABLISHED     18476

// #2 클라이언트 측 - 17001 포트로 1001개 접속 시도
// ConsoleApp2.exe localhost 17001 1001

C:\WINDOWS\system32> netstat -ano | findstr 2708
  TCP    127.0.0.1:1024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TCP    127.0.0.1:1025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TCP    127.0.0.1:1026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생략]...
  TCP    127.0.0.1:1996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TCP    127.0.0.1:1997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TCP    127.0.0.1:1998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TCP    127.0.0.1:2000         127.0.0.1:17001        ESTABLISHED     2708

사용한 포트가 DynamicPortRangeStartPort/DynamicPortRangeNumberOfPorts 범위이므로, HttpClient는 (ServicePointManager.ReusePort 설정에 상관없이) AutoReuse에 대한 배려가 없습니다. 아마도 소켓 자원에 대한 풀링을 제공하는 탓에,

You're using HttpClient wrong and it is destabilizing your software
; https://aspnetmonsters.com/2016/08/2016-08-27-httpclientwrong/

거기까지는 고려하지 않은 듯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어쨌든 만약 Reverse Proxy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HttpClient가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그런데 왠지, .NET Core 환경에서는 HttpClient의 저런 동작이 문제가 될 것만 같습니다. 예전에도 언급했지만,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와 HttpClient의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2023

.NET Framework과는 달리 .NET Core에서는 HttpWebRequest, WebClient는 결국 내부적으로 HttpClient를 생성하기 때문인데, 그렇다면 .NET Core에서는 AutoReuse를 위해 Socket 클래스를 직접 다뤄야 하는 걸까요?

이게 좀 재미있는데요, .NET 5 환경에서 HttpWebRequest를 사용해 위의 코드를 다시 테스트해보면,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Concurrent;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Net;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onsoleApp3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ipAddr = args[0];
            int port = int.Parse(args[1]);
            int numberOf = int.Parse(args[2]);

            ThreadPool.SetMaxThreads(1100, 1100);
            ThreadPool.SetMinThreads(1000, 1000);

            ConcurrentQueue<HttpWebRequest> clients1 = new ConcurrentQueue<HttpWebRequest>();

            Uri uri = new Uri($"http://{ipAddr}:{port}");
            int exceptionCount = 0;

            for (int i = 0; i < numberOf; i++)
            {
                Task.Factory.StartNew(() =>
                {
                   var request = (HttpWebRequest)WebRequest.Create(uri);
                   clients1.Enqueue(request);

                   try
                   {
                       request.GetResponse();
                   }
                   catch
                   {
                       Interlocked.Increment(ref exceptionCount);
                   }
                });
            }

            while (true)
            {
                Console.WriteLine("Pid == " + Process.GetCurrentProcess().Id);
                Console.ReadLine();
            }
        }
    }
}

이번엔 .NET Framework의 HttpWebRequest와 동일하게 AutoReuse 영역의 포트를 사용합니다. 아마도 HttpClientHandler가 다른 구현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예상합니다.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6/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2-12 04시26분
[ㅇㅇ] 각 운영체제와 버전마다 다른 구현을 사용하는 것으로 압니다
코어 2.1 이상과 닷넷 5는 SocketsHttpHandler(내부적으로 닷넷 Socket 사용)
닷넷 프레임워크는 HttpWebRequest를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코어 2.0 이하는 윈도우는 WinHttp 나머지는 libcurl이구요
[guest]
2020-12-12 04시30분
[ㅇㅇ] 추가로 최신버전에서는 HttpWebRequest가 HttpClient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53정성태2/23/202024302.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21338.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23982.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24073.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20977.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5609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20964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22178.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23788.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23985.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8389.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22298.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21278.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22651.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22308.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8557.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20201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21862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7652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4919.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22669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5705.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4418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22023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8995.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23142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