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56.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86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예전에 packages.config 대신 PackageReference를 쓰는 것이 왜 좋은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281

Migrate from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 https://docs.microsoft.com/en-us/nuget/consume-packages/migrate-packages-config-to-package-reference#benefits-of-using-packagereference

  • 별도 파일인 packages.config을 필요로 하지 않고 project 파일 내에 참조 관리를 통합
  • packages.config 파일을 열어 보면, (예를 들어, Newtonsoft.Json을 참조한 경우) 다른 여러 <package />들이 함께 보이는 반면, PackageReference로 하면 프로젝트가 직접적으로 참조한 패키지를 쉽게 구분
  • packages.config으로 관리하는 경우 설치한 패키지들이 비주얼 스튜디오의 솔루션이 위치한 하위 packages 폴더에 위치하지만, PackageReference로 하면 시스템 전역의 NuGet 패키지 저장소에 있으므로 디스크 공간도 절약
  • packages.config의 경우 제한된 구문의 <package /> 항목인 반면, msbuild는 project 파일의 좀 더 다양한 컴파일 조건을 적용할 수 있음
  • 이후 PackageReference의 기능은 계속 개발을 하지만, packages.config은 개발 중지 상태됨

저 글을 쓸 때만 해도 .NET Core와 UWP 프로젝트에서만 PackageReference를 지원했는데, 어느 순간 제한적이지만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도 적용이 되었습니다.

Package references (PackageReference) in project files - Project type support
; https://docs.microsoft.com/en-us/nuget/consume-packages/package-references-in-project-files#project-type-support

By default, PackageReference is used for .NET Core projects, .NET Standard projects, and UWP projects targeting Windows 10 Build 15063 (Creators Update) and later, with the exception of C++ UWP projects. .NET Framework projects support PackageReference, but currently default to packages.config. To use PackageReference, migrate the dependencies from packages.config into your project file, then remove packages.config.


하지만 기본값은 packages.config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직접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메뉴를 선택해 PackageReference로 변경해야 합니다.

vs_package_ref_1.png

혹은, 비주얼 스튜디오의 옵션 설정("Package Management" / "Default package management format")을 통해,

vs_package_ref_2.png

기본 참조 모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SP.NET 프로젝트의 경우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메뉴를 이용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Operation failed

Project is not eligible for migration. Either the project is not packages.config based or doesn't support PackageReference yet. Visit https://docs.microsoft.com/en-us/nuget/reference/migrate-packages-config-to-package-reference for more information.

이에 대해서는 이미 문서에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Visual Studio 2015를 포함한 이전 버전에서는 PackageReference 미지원
  • ASP.NET 프로젝트의 경우 migration 지원이 안 됨.
  • 몇몇 패키지들은 PackageReference와 호환이 안 됨

그렇다고 해서 ASP.NET 프로젝트가 PackageReference를 아예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packages.config에 다음과 같이 log4net을 참조하고 있는 경우,

<?xml version="1.0" encoding="utf-8"?>
<packages>
  <package id="log4net" version="2.0.12" targetFramework="net48" />
</packages>

1) 수작업으로 그냥 저 항목을 삭제하고 2) csproj 파일 내의 Reference 노드를 PackageReference 노드로 교체하면 됩니다.

<!--Reference Include="log4net, Version=1.2.11.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669e0ddf0bb1aa2a, processorArchitecture=MSIL">
    <HintPath>..\..\..\packages\log4net.2.0.0\lib\net40-full\log4net.dll</HintPath>
</Reference-->

<PackageReference Include="log4net" Version="1.2.11" />

(물론, PackageReference와 호환되지 않은 패키지는 바꿔서는 안 됩니다.)




참고로, packages.config을 사용하면 해당 프로젝트를 다른 PC에 복사해 명령행으로 빌드하는 경우 반드시 "packages" 폴더가 존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 log4net 2.0.5 버전을 packages.config에 포함한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

<?xml version="1.0" encoding="utf-8"?>
<packages>
  <package id="log4net" version="2.0.5" targetFramework="net40" />
</packages>

단순히 프로젝트 파일(csproj)과 소스 코드, packages.config 파일만 다른 PC에 복사해 "msbuild ConsoleApp1.csproj /target:Rebuild"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gram.cs(1,7): error CS0246: The type or namespace name 'log4net'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Build FAILED.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Rebuild target) (1) ->
(ResolveAssemblyReferences target)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Current\Bin\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2081,5):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log4net, Version=1.2.15.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669e0ddf0bb1aa2a, processorArchitecture=MSIL".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Rebuild target) (1) ->
(CoreCompile target) ->
  Program.cs(1,7): error CS0246: The type or namespace name 'log4net'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1 Warning(s)
    1 Error(s)

따라서 "nuget restore"처럼 참조 패키지를 복원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msbuild로는 이렇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C:\temp\ConsoleApp1\ConsoleApp1> msbuild ConsoleApp1.csproj -t:restore -p:RestorePackagesConfig=true /p:SolutionDir=C:\temp\ConsoleApp1

혹은 그냥 속 편하게 개발자 PC의 "packages" 폴더까지 모두 복사해도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5/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41정성태6/11/20248688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8851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8463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8539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8460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8100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8971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9451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
13633정성태5/22/20248974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8588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9344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
13630정성태5/19/20248892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13629정성태5/18/20249178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13628정성태5/17/20248553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
13627정성태5/17/20248634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
13626정성태5/15/20248913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25정성태5/14/20248944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
13624정성태5/12/20248733Phone: 14. C# - MAUI에서 MediaElemen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623정성태5/11/20248441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22정성태5/10/20249246닷넷: 2260. C# - Google 로그인 연동 (ASP.NET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621정성태5/10/20248644오류 유형: 903. IISExpress - Failed to register URL "..."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0x800700b7)
13620정성태5/9/20248573VS.NET IDE: 190. Visual Studio가 node.exe를 경유해 Edge.exe를 띄우는 경우
13619정성태5/7/20248874닷넷: 2259. C# - decimal 저장소의 비트 구조파일 다운로드1
13618정성태5/6/20248666닷넷: 2258. C# - double (배정도 실수) 저장소의 비트 구조파일 다운로드1
13617정성태5/5/20249495닷넷: 2257. C# - float (단정도 실수) 저장소의 비트 구조파일 다운로드1
13616정성태5/3/20248658닷넷: 2256.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HTTP/HTTPS + Dual mode Socket (IPv4/IPv6) 지원 방법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