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Task.Start 메서드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예외 발생

이 글은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WPF] Task 관련 질문 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5429

[WPF] Task 관련 재질문 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5430

그러니까, 현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코드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

namespace WpfApp1
{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private CancellationTokenSource _cancelTask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

        Task _task;

        private void Connect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_task = new Task((Action)myAction, _cancelTask.Token);
            _task.Start();
        }

        private void myAction()
        {
        }

        private void Disconnect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_cancelTask.Cancel();
        }
    }
}

위의 코드에서 Connect_Click을 통해 Task.Start가 된 다음 Disconnect_Click으로 취소를 합니다. 그런데, 다시 Connect_Click이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Source=mscorlib
  StackTrace:
   at System.Threading.Tasks.Task.Start(TaskScheduler scheduler) in f:\dd\ndp\clr\src\BCL\system\threading\Tasks\Task.cs:line 1105
   at WpfApp1.MainWindow.Connect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in C:\temp\WpfApp1\WpfApp1\MainWindow.xaml.cs:line 22
   at System.Windows.EventRoute.InvokeHandlersImpl(Object source, RoutedEventArgs args, Boolean reRaised)
...[생략]...
   at System.Windows.Application.RunDispatcher(Object ignore)
   at System.Windows.Application.RunInternal(Window window)
   at WpfApp1.App.Main()

  This exception was originally thrown at this call stack:
    System.Threading.Tasks.Task.Start(System.Threading.Tasks.TaskScheduler) in Task.cs
    WpfApp1.MainWindow.Connect_Click(object, System.Windows.RoutedEventArgs) in MainWindow.xaml.cs
...[생략]...
    System.Windows.EventRoute.InvokeHandlersImpl(object, System.Windows.RoutedEventArgs, bool)
    ...
    [Call Stack Truncated]

왜냐하면, Task의 3번째 인자에 전달한 _cancelTask가 이전에 한번 Cancel 된 후에 다시 재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에는 Task와 함께 취소 토큰도 새롭게 전달하면 됩니다.

private void Connect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_cancelTask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_task = new Task((Action)myAction, _cancelTask.Token);
    _task.Start();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6/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2-16 06시19분
[종범] 토큰 재사용이 원인이였군요... ㅠㅠ
Task만 새로만들면 될 줄 알고 있었어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진짜 감사합니다.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22정성태1/20/202018780.NET Framework: 879. C/C++의 UNREFERENCED_PARAMETER 매크로를 C#에서 우회하는 방법(IDE0060 - Remove unused parameter '...')파일 다운로드1
12121정성태1/20/202018018VS.NET IDE: 139. Visual Studio - Error List: "Could not find schema information for the ..."파일 다운로드1
12120정성태1/19/202022260.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119정성태1/17/202022366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12118정성태1/17/202023545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1]
12117정성태1/15/202021853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6정성태1/15/202023069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정성태1/14/202023062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4정성태1/13/202024077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파일 다운로드3
12113정성태1/12/202024367오류 유형: 590. Visual C++ 빌드 오류 - fatal error LNK1104: cannot open file 'atls.lib' [1]
12112정성태1/12/202018433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22411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23463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18898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20141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22013.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21534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20029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22814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5867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20781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22652.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20064.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22937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22380.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20036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