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68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

우선, 모델이 되는 숫자 하나를 골라볼까요? ^^

uint un = 2320987651;
int n = 2020987651;
OutputBitText(un + "[unsigned] ==> \t", un);
OutputBitText(n + "[signed]   ==> \t", n);

private static void OutputBitText(string text, uint n)
{
    Console.WriteLine(text + " " + Convert.ToString(n, 2).PadLeft(32, '0'));
}

private static void OutputBitText(string text, int n)
{
    Console.WriteLine(text + " " + Convert.ToString(n, 2).PadLeft(32, '0'));
}

// 출력 결과
2320987651[unsigned] ==>         10001010010101110111011000000011, 2320987651
-1753885949[signed]   ==>        10010111011101011101001100000011, -1753885949

여기서 기본적인 C#의 Bit Shift 연산자(<<, >>)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2320987651[unsigned] ==>         10001010010101110111011000000011, 2320987651
[unsigned] >> 4 ==>              00001000101001010111011101100000, 145061728
[unsigned] << 4 ==>              10100101011101110110000000110000, 2776064048

-1753885949[signed]   ==>        10010111011101011101001100000011, -1753885949
[signed]   >> 4 ==>              11111001011101110101110100110000, -109617872
[signed]   << 4 ==>              01110111010111010011000000110000, 2002595888

보시는 것처럼, C#의 기본 Bit Shift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습니다.

unsigned의 경우, 밀려난 비트들에 대한 처리를 하지 않고 최상위 비트에 대한 처리도 없음
signed의 경우, 
    우측 shift 연산자는 최상위 부호 비트를 유지하면서 밀려난 비트들에 대한 처리를 하지 않고,
    좌측 shift 연산자는 부호 비트를 지키지 않고, 역시 밀려난 비트들에 대한 처리를 하지 않는다.

자, 그럼 여기서 부호 비트는 상관없이 순수하게 rotation 식의 shift 연산을 수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조 함수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C# bitwise rotate left and rotate right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812022/c-sharp-bitwise-rotate-left-and-rotate-right

static uint UnsignedLeftShift(uint number, int shift)
{
    return (uint)((number << shift) | (number >> (32 - shift)));
}

static uint UnsignedRightShift(uint number, int shift)
{
    return (uint)((number >> shift) | (number << (32 - shift)));
}

사용법은 unsigned의 경우 그냥 사용하면 되지만, signed의 경우에는 unsigned 형변환을 해줘야만 정상적으로 rotation이 됩니다.

OutputBitText("[rotation] >> 4 ==> \t\t", UnsignedRightShift(un, 4));
OutputBitText("[rotation] << 4 ==> \t\t", UnsignedLeftShift(un, 4));

OutputBitText("[rotation] >> 4 ==> \t\t", UnsignedRightShift((uint)n, 4));
OutputBitText("[rotation] << 4 ==> \t\t", UnsignedLeftShift((uint)n, 4));

// 출력 결과
2320987651[unsigned] ==>         10001010010101110111011000000011, 2320987651
[rotation] >> 4 ==>              00111000101001010111011101100000, 950368096
[rotation] << 4 ==>              10100101011101110110000000111000, 2776064056

-1753885949[signed]   ==>        10010111011101011101001100000011, -1753885949
[rotation] >> 4 ==>              00111001011101110101110100110000, 964123952
[rotation] << 4 ==>              01110111010111010011000000111001, 2002595897

마지막으로 자바의 unsigned right shift 연산자(>>>)에 해당하는 C#의 코드는 어떻게 구현해야 할까요?

비교를 위해 우선 자바의 비트 처리 값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데요.

==== Java ====
   n       == 320987651  == 00010011001000011110001000000011
  -n       == -320987651 == 11101100110111100001110111111101

   n >>> 3 == 40123456   == 00000010011001000011110001000000 
  -n >>> 3 == 496747455  == 00011101100110111100001110111111

즉, 최상위 비트를 무시하고 무조건 shift 연산만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C#의 동일한 작업은 다음의 글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간단합니다.

bitwise unsigned right shift >>>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csharpgeneral/thread/6c892d10-75ff-4f4e-a555-3017f72ec170/

static int TripleRightShift(int number, int shift)
{
    return (int)((uint)number >> shift);
}

// 출력 결과
320987651  >>> 3 ==  00000010011001000011110001000000, 40123456
-320987651 >>> 3 ==  00011101100110111100001110111111, 496747455

보시는 것처럼, 자바의 >>> 연산자와 동일한 출력 결과를 보입니다.

그럼... 정리가 다 된 것 같군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부가적으로 다음의 글도 예전에 쓴 적이 있답니다. ^^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 https://www.sysnet.pe.kr/2/0/1008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91정성태9/3/201723734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8221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5939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22296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31308.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8929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7160.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5579.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21154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22312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4683.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22998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3755.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22525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24143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7302.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6607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11274정성태8/22/201723516.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3946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8563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21927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5123.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4488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5240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7984.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8898.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