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92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이상하군요,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서 실습하고 있는데,

[.NET Conf 2021 x Seoul] 주피터 노트북으로 시작하는 C# 학습
; https://www.youtube.com/watch?v=EOruaiFGyUE

제 경우에 다음과 같이 있어야 할 Slide 쇼 시작 버튼(Enter/Exit RISE Slideshow)이 없습니다.

no_slide_play_btn_on_jupyter_1.png

다행히 검색해 보면 답이 나오는군요. ^^

Creating Presentations With Jupyter Notebook
    - Getting Started With RISE
; https://dzone.com/articles/creating-presentations-with-jupyter-notebook

즉, RISE 확장을 설치해야 한다는 건데 "Anaconda Prompt"를 띄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conda install -c conda-forge rise




본문에도 나오지만, UI에 있는 버튼 없이 명령행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일단 윈도우의 경우 "Untitled.ipynb"는 "%USERPROFILE%" 디렉터리에 저장되므로 "Anaconda Prompt"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는 식으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jupyter nbconvert %USERPROFILE%\Untitled.ipynb --to slides --post serve




그리고, 해당 동영상에 나오는 슬라이드 쇼의 스크롤 확장도 이번 기회에 함께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

conda install -c conda-forge jupyter_nbextensions_configurator

설치 후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면 첫 화면에 "Files", "Running", "Clusters" 탭 우측으로 "Nbextensions"가 보이고 그 탭을 누르면 다음의 URL로 넘어갑니다.

http://localhost:8888/tree#nbextensions_configurator

혹은, 이런 URL로 방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http://localhost:8888/nbextensions?nbextension=rise/main

설정 화면에 나오는 옵션 중에 "scroll: see reveal documentation" 항목을 체크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07정성태1/26/202121309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24121.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9252.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22881.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21650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22122.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20889.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22384.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23917.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20002.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26247.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21559.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25703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23220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21644.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9860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20846.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9321.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23325.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20896.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9718.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23091.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21678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4944.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20618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22451.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