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아래의 글에서는 Xming을 이용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Windows 10에서 리눅스용 프로그램 설치하고 실행하기
; https://medium.com/wslhub/windows-10%EC%97%90%EC%84%9C-%EB%A6%AC%EB%88%85%EC%8A%A4%EC%9A%A9-%ED%94%84%EB%A1%9C%EA%B7%B8%EB%9E%A8-%EC%84%A4%EC%B9%98%ED%95%98%EA%B3%A0-%EC%8B%A4%ED%96%89%ED%95%98%EA%B8%B0-2cb0d7892d12

색다르게 X2Go를 이용해 우분투 시스템에 GUI 원격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에 각각 설정이 필요한데요, 우선 서버인 우분투 측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를 하면 됩니다.

// 우분투 버전 확인 후,

$ lsb_release -a

// 이전 버전에서는 다음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20.04에서는 필요 없습니다.

// Ubuntu 10.04 or 12.04
sudo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 Ubuntu 14.04
sudo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add-apt-repository ppa:x2go/stable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x2goserver x2goserver-xsession

// 정상적으로 실행까지 되었는지 확인
$ service x2goserver status

이후 윈도우에서는 다음의 사이트를 통해,

X2Go - everywhere@home
; https://wiki.x2go.org/doku.php

윈도우 용 클라이언트(X2Go Client)를 설치 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x2go_1.png

보다시피, (SSH 로그인에서 너무나 일상적으로 사용했던) Host, Login, SSH port 등의 정보를 입력 후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윈도우 창이 뜨면서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2go_2.png

마치, mstsc.exe로 RDP 접속을 한 것과 유사합니다. (그 외에, Xming처럼 단일 응용 프로그램을 호스팅하는 등의 방법도 있습니다.)




x2go로 로그인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 창이 나오며 다시 로그인으로 돌아간다면?

unable to execute: startkde

또는,

unable to execute: xfce4-session

해당 Ubuntu 시스템에 KDE 또는 XFCE4 shell를 설치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설치한 후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kde shell 설치]
$ sudo apt install kde-full

[xfce shell 설치]
$ sudo apt install xfce4

만약 이미 우분투 측에 GNOME(또는 다른 shell)이 설치되어 있다면 KDE 설치 도중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합니다.

Configuring sddm
----------------

A display manager is a program that provides graphical login capabilities for the X Window System.

Only one display manager can manage a given X server, but multiple display manager packages are installed. Please select which 
display manager should run by default.

Multiple display managers can run simultaneously if they are configured to manage different servers; to achieve this, configure the 
display managers accordingly, edit each of their init scripts in /etc/init.d, and disable the check for a default display manager.

1. gdm3  2. lightdm   3. sddm

GDM3은 Gnome의 Display Manager이고, lightdm은 XFCE4, SDDM은 KDE를 위한 것입니다. Display Server는 다중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그 중 하나에서만 X server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원하는 GUI shell 유형을 선택합니다.

만약 나중에라도 또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 gdm3로 변경
$ sudo dpkg-reconfigure gdm3
$ systemctl stop sddm  // 또는 lightdm
$ systemctl start gdm3

// sddm으로 변경
$ sudo dpkg-reconfigure sddm
$ systemctl stop gdm3  // 또는 lightdm
$ systemctl start sddm

// lightdm으로 변경
$ sudo dpkg-reconfigure lightdm
$ systemctl stop gdm3  // 또는 sddm
$ systemctl start lightdm

그런데, 제 경우에는 KDE를 설치한 후에도 여전히 "unable to execute: startkde" 오류 메시지가 발생했습니다. 반면 xfce의 경우에는 설치 후 정상적으로 동작했습니다.

참고로, "Session preferences" 화면의 하단에 있는 "Session type"에서 접속할 Shell 모드(GNOME, UNITY,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x2go에 대한 신뢰를 Azure에서 호스팅 중인 Linux VM에 기본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Quickstart: Set up the Data Science Virtual Machine for Linux (Ubuntu)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machine-learning/data-science-virtual-machine/dsvm-ubuntu-intro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2정성태1/29/200518256.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858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655.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4178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783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492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3211.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335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472.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940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878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257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506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558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795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682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297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580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514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692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530.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964.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851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197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0035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7112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