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지난 글에 이어,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23

이번에는 빌드 pipeline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Key concepts for new Azure Pipelines users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pipelines/get-started/key-pipelines-concepts

재미있는 것은, Azure Devops의 "프로젝트"는 "Boards"로 관리하는 repo와 "Pipelines"의 대상이 되는 repo가 별개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다음과 같이 좌측 하단의 "Project settings"를 펼친 후, "Pipelines" 아이콘을 통해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만들려고 하면,

azure_devops_github_1.png

다시 이렇게 repo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azure_devops_github_2.png

(사실 Boards와 pipeline 대상 repo를 다르게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입니다.) 어쨌든, 이번 글에서는 같은 프로젝트를 선택할 것이므로 "GitHub (YAML)" 항목으로 "Boards"를 연결할 때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github repo에 연결한 후,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환경에 맞는 빌드 파이프라인을 생성합니다.

azure_devops_github_3.png

참고로, 위의 그림에 다 나오지 못한 파이프라인 종류를 다음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uild and release tasks
;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devops/pipelines/tasks/?view=azure-devops

Azure Pipelines ecosystem support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pipelines/ecosystems/ecosystems

제가 선택한 github repo의 응용 프로그램 유형은 .NET Framework을 대상으로 한 콘솔 프로젝트의 모음이므로 ".NET Desktop"으로 구성했고, 그러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다음의 yaml 파일 편집으로 넘어갑니다.

# .NET Desktop
# Build and run tests for .NET Desktop or Windows classic desktop solutions.
# Add steps that publish symbols, save build artifacts, and more:
# https://docs.microsoft.com/azure/devops/pipelines/apps/windows/dot-net

trigger:
- main

pool:
  vmImage: 'windows-latest'

variables:
  solution: '**/*.sln'
  buildPlatform: 'Any CPU'
  buildConfiguration: 'Release'

steps:
- task: NuGetToolInstaller@1

- task: NuGetCommand@2
  inputs:
    restoreSolution: '$(solution)'

- task: VSBuild@1
  inputs:
    solution: '$(solution)'
    platform: '$(buildPlatform)'
    configuration: '$(buildConfiguration)'

- task: VSTest@2
  inputs:
    platform: '$(buildPlatform)'
    configuration: '$(buildConfiguration)'

위의 yaml을 잠깐 해석해 보면, 우선 trigger는 빌드 파이프라인을 구동할 사건인데 github의 경우 대상 브랜치가 변경된 경우를 일컫습니다. 즉, 위와 같은 경우에는 'main' 브랜치가 변경되면 빌드 파이프라인이 도는 것입니다. (기존 github 프로젝트의 경우 기본 브랜치가 master이므로 둘 중의 하나는 브랜치 이름을 바꿔야 합니다.)

pool은 빌드를 담당할 에이전트를 의미하는데, "Pipelines" / "Agent pools"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지정된 vmImnage로 'windows-latest' 문자열은 "Microsoft-hosted agents"의 하나입니다.

Microsoft-hosted agents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pipelines/agents/hosted#software

현재는 "windows-2019"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이로 인해 사용되는 VM Image는 "Windows Server 2019 with Visual Studio 2019"가 됩니다.

그다음 variables는,

Define variables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pipelines/process/variables

빌드 스크립트 내에서 사용할 변수를 지정하는 것이므로 그냥 감각적으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 값들은 환경 변수로 설정이 되므로 여러분들의 빌드 과정 중에 이 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하 steps에 있는 것은 나열된 task 순으로 작업이 처리됩니다. 각각의 이름에 따라 유추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VSBuild의 경우 inputs에 제공한 변수에 따라, 그리고 그보다 먼저 설정한 "variables:"에 따라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명령에 반영이 됩니다.

##[command]"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MSBuild\Current\Bin\msbuild.exe" "D:\a\1\s\Utilities.sln" /nologo /nr:false /dl:CentralLogger,"D:\a\_tasks\VSBuild_71a9a2d3-a98a-4caa-96ab-affca411ecda\1.166.2\ps_modules\MSBuildHelpers\Microsoft.TeamFoundation.DistributedTask.MSBuild.Logger.dll";"RootDetailId=4a4dc47e-70e3-4aca-983c-72ba05dad9bd|SolutionDir=D:\a\1\s"*ForwardingLogger,"D:\a\_tasks\VSBuild_71a9a2d3-a98a-4caa-96ab-affca411ecda\1.166.2\ps_modules\MSBuildHelpers\Microsoft.TeamFoundation.DistributedTask.MSBuild.Logger.dll" /p:platform="Any CPU" /p:configuration="Release" /p:VisualStudioVersion="16.0" /p:_MSDeployUserAgent="VSTS_ef889581-7fb9-440f-94f7-8841a7ce550f_build_1_0"


이 정도면 대충 기본적인 사용법은 느낌으로 아시겠죠?!!! ^^

이렇게 빌드 스크립트를 정하고 "Save and run" 버튼을 누르면 위의 yaml 파일을 "azure-pipelines.yml" 이름으로 github repo에 commit 하고 빌드를 진행합니다. 물론 이후로는 trigger에 지정한 브랜치가 변경되면 파이프라인이 구동되는, CI로서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빌드 스크립트에 사용하는 yaml의 전체 스키마는 다음의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YAML schema reference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pipelines/yaml-schema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2-19 02시30분
페이스북의 Korea Azure user Group에 아래의 소식이 떴군요.

Change in Azure Pipelines Grant for Public Projects
; https://devblogs.microsoft.com/devops/change-in-azure-pipelines-grant-for-public-projects

이제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CI/CD를 중단한다고 합니다. (코인 채굴로 악용되고 있다고.)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80정성태3/7/201521679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693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27590.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1756.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4218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2840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19580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37091.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1249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5210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26356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0317.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2868정성태2/23/201524825VS.NET IDE: 97.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2]
2867정성태2/23/201518548오류 유형: 273. File History - Failed to initiate user data backup (error 80070005)
2866정성태2/23/201520375오류 유형: 272. WAT080 : Failed to locate the Windows Azure SDK. Please make sure the Windows Azure SDK v2.1 is installed.
1868정성태2/20/201517677오류 유형: 271. The type '...' cannot be used as type parameter 'TContext'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System.ServiceModel.DomainServices.EntityFramework.LinqToEntitiesDomainService<T>
1866정성태2/20/201518604오류 유형: 270. "aspnet_regiis -i" 실행 시 0x00000006 오류 해결 방법
1865정성태2/20/201519896.NET Framework: 499. 특정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이후부터 제공되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면?
1864정성태2/18/201524867.NET Framework: 498. C#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 ASCII Art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1862정성태2/18/201528714.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6]
1861정성태2/18/201524063.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860정성태2/18/201523884.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파일 다운로드1
1859정성태2/17/201524301Windows: 106.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절전(Power Saver) 전원 모드로 돌아가는 경우
1858정성태2/16/201534266Windows: 105. 자동으로 로그아웃/잠김 화면 상태로 전환된다면? [2]
1857정성태2/16/201522285.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파일 다운로드1
1856정성태2/15/201521259.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