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csproj에 빌드 이벤트를 설정한 경우, 대개는 개발자 PC에서 빌드하는 경우에만 실행하고 싶을 것입니다. 즉, Azure Devops 같은 환경에서는 빌드 이벤트 실행을 생략하고 싶을 수 있는데요, 이럴 때는 환경 변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따라서 azure-pipelines.yml에 현재 Azure 환경에서 빌드 중이라는 플래그 변수로써 환경 변수를 아무거나 하나 등록해 두고,

trigger:
- main

pool:
  vmImage: 'windows-latest'

variables:
  solution: '**/*.sln'
  buildPlatform: 'Any CPU'
  buildConfiguration: 'Release'
  azureDevopsBuild: true

...[생략]...

csproj 파일 내의 빌드 이벤트에는 저 조건을 이용해 빌드 포함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

...[생략]...

  <PropertyGroup Condition=" '$(azureDevopsBuild)' == '' " >
    <PostBuildEvent>
SET PSTargetName=$(TargetName)
SET PSTargetDir=$(TargetDir)

PowerShell -NoProfile -ExecutionPolicy unrestricted -file $(SolutionDir)makezip.ps1

robocopy $(TargetDir) $(SolutionDir)Binaries *.zip

exit 0
</PostBuildEvent>
  </PropertyGroup>

...[생략]...

저런 식으로 PropertyGroup에 설정해 주면 로컬에서 빌드 시에는 azureDevopsBuild 환경 변수가 없으므로 정상적으로 PostBuildEvent가 실행되지만,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에서 빌드 시에는 PostBuildEvent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9정성태6/15/201333893Windows: 74. 한글 키가 아닌 영문 키를 기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5]
1458정성태6/13/201334929.NET Framework: 371. CAS Lock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457정성태6/13/201329956개발 환경 구성: 192. "Probabilistic Programming and Bayesian Methods for Hackers" 예제 코드 실행 방법
1456정성태6/5/201338687.NET Framework: 370. C# - WebKit .NET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455정성태6/1/201333042.NET Framework: 369.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4]파일 다운로드1
1454정성태5/31/201330879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30138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7442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6497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7608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34070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9649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32159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33387.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30036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34063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9216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34135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40280.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9076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32430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32664.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32695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7406.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6816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8071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