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아래의 글에 재미있는 소식이 있습니다. ^^

Making Win32 APIs More Accessible to More Languages
; https://blogs.windows.com/windowsdeveloper/2021/01/21/making-win32-apis-more-accessible-to-more-languages/

microsoft/win32metadata - Tooling to generate metadata for Win32 APIs in the Windows SDK.
; https://github.com/microsoft/win32metadata

C#/Win32
; https://github.com/microsoft/CsWin32

설명 대신 곧바로 ^^ 코드로 들어가 볼까요?

우선, C# 프로젝트를 생성한 다음 Nuget으로부터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를 참조 추가합니다.

Install-Package Microsoft.Windows.CsWin32 -Version 0.1.422-beta

그다음, NativeMethods.txt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하고 호출을 원하는 Win32 API 함수를 적어놓습니다. 가령 지난 글의 실습으로 RTT(Round-Trip Time) 값을 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 "GetRTTAndHopCount" API를 소개만 하고 지나갔는데요,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 https://www.sysnet.pe.kr/2/0/12536

이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NativeMethods.txt 파일에 다음과 같이 함수 이름을 (라인 하나당) 하나 기입합니다. (asterisk(*)를 이용한 와일드카드 사용도 가능합니다.)

GetRTTAndHopCount 

이후 다음과 같이 using 문과 (정의한 적도 없는) PInvoke 타입의 정적 멤버로 GetRTTAndHopCount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Net;
using Microsoft.Windows.Sdk;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IPAddress addr in Dns.GetHostAddresses("www.microsoft.com"))
        {
            if (addr.AddressFamily != System.Net.Sockets.AddressFamily.InterNetwork)
            {
                continue;
            }

            if (PInvoke.GetRTTAndHopCount((uint)addr.Address, out uint hopCount, 30, out uint roundTripTime) == true)
            {
                Console.WriteLine($"{addr} {roundTripTime}(ms), {hopCount}");
            }
        }
    }
}

/* 출력 결과
23.201.37.168 2(ms), 9
*/




그냥 보면 마법 같아 보이지만, 사실 이에는 "Source Generator" 기술이 숨겨져 있습니다.

C# - Source Generator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23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
; https://www.sysnet.pe.kr/2/0/12228

따라서, 참조 추가했던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는 "Analyzers"에도 추가되어 "NativeMethods.txt" 파일이 프로젝트와 같은 폴더에 존재하면 그 파일 내에 지정된 Win32 API를 포함하는 PInvoke 타입을 다음과 같이 만들어 빌드에 포함시킵니다.

// %LOCALAPPDATA%\Temp\VisualStudioSourceGeneratedDocuments\dd7594ed-db9c-471a-82b2-2e0635bc62ba\Microsoft.Windows.CsWin32\Microsoft.Windows.CsWin32.SourceGenerator\PInvoke.IPHlpApi.cs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Microsoft.Windows.Sdk
{
    internal static class PInvoke
    {
        internal unsafe static BOOL GetRTTAndHopCount(uint DestIpAddress, out uint HopCount, uint MaxHops, out uint RTT)
        {
            fixed (uint* ptr = &RTT)
            {
                uint* RTTLocal = ptr;
                fixed (uint* ptr2 = &HopCount)
                {
                    uint* HopCountLocal = ptr2;
                    return PInvoke.GetRTTAndHopCount(DestIpAddress, HopCountLocal, MaxHops, RTTLocal);
                }
            }
        }

        [DllImport("IPHlpApi", ExactSpelling = true, SetLastError = true)]
        internal unsafe static extern BOOL GetRTTAndHopCount(uint DestIpAddress, [Out] uint* HopCount, uint MaxHops, [Out] uint* RTT);
    }
}

따라서 비록 베타 버전이긴 해도 그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별도로 생성한 (그리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코드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식 버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지금 당장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그 외에 약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부분들이 제공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json 파일을 참고하세요.

settings.schema.json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icrosoft/CsWin32/main/src/Microsoft.Windows.CsWin32/settings.schema.json

마지막으로, 문서상으로는 "C# 9 + .NET 5 SDK" 또는 "비주얼 스튜디오 2019 (16.8) 버전"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닷넷 버전도 문제가 될 수 있는데요, 가령 제가 테스트해 본 바에 의하면 .NET Core 2.0 미만 프로젝트와 .NET Framework 4.6.1 미만에서는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아직 Prerelease 상태이므로 다음과 같이 추가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PM> Install-Package Microsoft.Windows.CsWin32
Install-Package : Unable to find package 'Microsoft.Windows.CsWin32'
At line:1 char:1
+ Install-Package Microsoft.Windows.CsWin32
+ ~~~~~~~~~~~~~~~~~~~~~~~~~~~~~~~~~~~~~~~~~
    + CategoryInfo          : NotSpecified: (:) [Install-Package], 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NuGetCmdletUnhandledException,NuGet.PackageManagement.PowerShellCmdlets.InstallPackageCommand
 
Time Elapsed: 00:00:00.0433365

현재(2021-02-17) 기준으로 버전을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NativeMethods.txt 파일은 프로젝트에 명시적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됩니다. 즉, csproj 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기만 하면 됩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프로젝트에서 기존 NativeMethods.txt 파일을 재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Add as Link"로 추가하는 식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1정성태12/16/201922359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503.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363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157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288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769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563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207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815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22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136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051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433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074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493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111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474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349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289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812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247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0833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19986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0641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6564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2215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