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 https://www.sysnet.pe.kr/2/0/12543

.NET Framework: 1065. Windows Forms - 속성 창의 디자인 설정 지원: 문자열 목록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TypeConverter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3

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 https://www.sysnet.pe.kr/2/0/12689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대부분의 환경에서,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라는 것은 런타임에만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아는 한) "디자인 타임"에 코드 실행을 하는 것은 비주얼 스튜디오 개발 환경이 유일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Winform으로 작업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될 것입니다.

vs_design_time_1.png

저렇게 작업을 하면 비주얼 스튜디오는 TextBox의 위치와 Text 속성에 들어가는 "test" 문자열 값을 설정하는 코드를 "Form1.Designer.cs" 파일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환해 둡니다.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artial class Form1
    {
        private System.ComponentModel.IContainer components = null;

        protected override void Dispose(bool disposing)
        {
            if (disposing && (components != null))
            {
                components.Dispose();
            }
            base.Dispose(disposing);
        }

        #region Windows Form Designer generated code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this.textBox1 = new System.Windows.Forms.TextBox();
            this.SuspendLayout();
            // 
            // textBox1
            // 
            this.textBox1.Location = new System.Drawing.Point(12, 12);
            this.textBox1.Name = "textBox1";
            this.textBox1.Size = new System.Drawing.Size(100, 20);
            this.textBox1.TabIndex = 0;
            this.textBox1.Text = "test";
            // 
            // Form1
            // 
            this.AutoScaleDimensions = new System.Drawing.SizeF(6F, 13F);
            this.AutoScaleMode = System.Windows.Forms.AutoScaleMode.Font;
            this.ClientSize = new System.Drawing.Size(396, 240);
            this.Controls.Add(this.textBox1);
            this.Name = "Form1";
            this.Text = "Form1";
            this.ResumeLayout(false);
            this.PerformLayout();

        }

        #endregion

        private System.Windows.Forms.TextBox textBox1;
    }
}

즉, 비주얼 스튜디오는 Form 디자인 창이 뜨면 위의 InitializeComponent 메서드를 호출해 Form 화면을 구성합니다. 바로 이것이, "디자인 타임에 코드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런타임 시에도 InitializeComponent가 호출됩니다.)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 InitializeComponent 메서드에 다음과 같이 문법 오류를 발생시켜 보면,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asbfsdafvkasd
    this.textBox1 = new System.Windows.Forms.TextBox();
    this.SuspendLayout();
    // 
    // textBox1
    ...[생략]...
}

비주얼 스튜디오의 디자인 창은 이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와 함께 폼 디자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vs_design_time_2.png

결국, 오직 닷넷 개발자에게만 "디자인 타임"과 "런타임"의 용어가 의미를 가집니다.




자신의 코드가 특정 모드에서만 실행하도록 바꾸고 싶다면 Component.DesignMode, DesignerProperties.GetIsInDesignMode 등의 방법을 통해,

Component.DesignMode Property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componentmodel.component.designmode?view=net-5.0

DesignerProperties.GetIsInDesignMod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componentmodel.designerproperties.getisindesignmode

실행 코드를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가령, 아래의 글은 WPF 환경에서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602

이외에, 비주얼 스튜디오가 디자인 타임과의 연동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을 알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Building Windows Forms Controls and Components with Rich Design-Time Featur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3/april/design-time-features-for-windows-forms-controls-and-components

직접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100%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아마도 Rider도 폼 디자인 처리를 마이크로소프트가 정해 놓은 규칙을 따르는 듯합니다.

Developing Windows Forms Applications in Rider 2019.1
; https://blog.jetbrains.com/dotnet/2019/04/26/developing-windows-forms-applications-rider-201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8정성태4/26/202213464오류 유형: 806. twine 실행 시 ConfigParser.ParsingError: File contains parsing errors: /root/.pypirc
13037정성태4/25/202214234.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13036정성태4/24/202215200.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2]
13035정성태4/22/202216461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13034정성태4/21/202214034.NET Framework: 1996. C# XingAPI - 주식 종목에 따른 PBR, PER, ROE, ROA 구하는 방법(t3320, t8430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033정성태4/18/202215148.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13032정성태4/17/202215345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15019.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13565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4949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5079.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4953.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6331.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5590.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3842.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4427.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3999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15793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4021.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4498.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5247.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4235.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15866.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17572.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5031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12813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