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08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021-02-27: Refresh가 Control 타입에 있었군요, 크게 내용이 달라지는 것은 없지만 Refresh 내용만 더 추가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군요.

사용자 지정 컨트롤 생성시 Invalidate, Update, Refresh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3/0/5474

사실, Refresh는 특정 컨트롤에서 정의한 것이므로 해당 컨트롤의 도움말 등을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반면 Control에서 정의한 Invalidate와 Update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역어셈블로 소스 코드를 들여다보면 Invalidate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public void Invalidate()
{
    Invalidate(invalidateChildren: false);
}

public void Invalidate(bool invalidateChildren)
{
    if (!IsHandleCreated)
    {
        return;
    }

    if (invalidateChildren)
    {
        SafeNativeMethods.RedrawWindow(new HandleRef(window, Handle), null, NativeMethods.NullHandleRef, 133);
    }
    else
    {
        using (new MultithreadSafeCallScope())
        {
            SafeNativeMethods.InvalidateRect(new HandleRef(window, Handle), null, (controlStyle & ControlStyles.Opaque) != ControlStyles.Opaque);
        }
    }

    NotifyInvalidate(ClientRectangle);
}

[DllImport("user32.dll", CharSet = CharSet.Auto, ExactSpelling = true)]
public static extern bool InvalidateRect(HandleRef hWnd, NativeMethods.COMRECT rect, bool erase);

결국 InvalidateRect Win32 API를 호출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InvalidateRect function (winuser.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invalidaterect

The invalidated areas accumulate in the update region until the region is processed when the next WM_PAINT message occurs or until the region is validated by using the ValidateRect or ValidateRgn function.

The system sends a WM_PAINT message to a window whenever its update region is not empty and there are no other messages in the application queue for that window.


중요한 것은, WM_PAINT 메시지로 GetMessage/PeekMessage의 메시지 루프를 거쳐 처리된다는 점입니다.

반면 Update의 경우에는,

public void Update()
{
    SafeNativeMethods.UpdateWindow(new HandleRef(this.window, this.InternalHandle));
}

[DllImport("user32.dll", CharSet = CharSet.Auto, ExactSpelling = true)]
public static extern bool UpdateWindow(HandleRef hWnd);

UpdateWindow Win32 API를 그대로 호출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UpdateWindow function (winuser.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updatewindow

The UpdateWindow function updates the client area of the specified window by sending a WM_PAINT message to the window if the window's update region is not empty. The function sends a WM_PAINT message directly to the window procedure of the specified window, bypassing the application queue. If the update region is empty, no message is sent.


문서에 따라, UpdateWindow는 WM_PAINT를 메시지 루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Window Procedure 함수를 실행하는 식으로 처리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 그럼 저 문서상의 설명이 실제로 Winform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볼까요?

WinForm 디자인 화면에 TextBox 하나와 Button을 놓은 후 Button.Click 이벤트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해 둡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Box1.Text = "qwer";
            this.textBox1.Invalidate();

            Thread.Sleep(-1);
        }
    }
}

위와 같은 경우, TextBox.Text 속성에 "qwer"을 지정하고 "Invalidate"를 호출해 WM_PAINT를 전송했으므로 이것이 처리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시지 루프가 돌아야 합니다. 하지만 위의 코드에서는 Thread.Sleep을 이용해 메시지 루프 실행을 막고 있으므로 버튼이 눌렸을 때 TextBox에는 여전히 빈 문자열만 출력이 되고 화면은 멈추게 됩니다.

자, 그럼 Invalidate를 다음과 같이 Update로 바꿔보면 어떨까요?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Box1.Text = "qwer";
    // this.textBox1.Invalidate();
    this.textBox1.Update();

    Thread.Sleep(-1);
}

Update는 Window Procedure를 직접 실행하기 때문에 저 호출로 WM_PAINT 처리가 되어 TextBox에는 "qwer" 글자가 그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Thread.Sleep으로 인해 메시지 루프 실행이 막혀도 화면에는 이미 개발자가 원하는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로 화면이 멈춥니다.




마지막으로 Refresh는 역시 소스 코드를 보면 나옵니다.

public virtual void Refresh()
{
    Invalidate(invalidateChildren: true);
    Update();
}

그러니까, 결국 Invalidate + Update에 불과한 것인데요, 단지 Invalidate 단계에서 InvalidateRect 대신 RedrawWindow를 호출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public void Invalidate(bool invalidateChildren)
{
    if (!IsHandleCreated)
    {
        return;
    }

    if (invalidateChildren)
    {
        // #define RDW_ALLCHILDREN         0x0080
        // #define RDW_ERASE               0x0004
        // #define RDW_INVALIDATE          0x0001
        SafeNativeMethods.RedrawWindow(new HandleRef(window, Handle), null, NativeMethods.NullHandleRef, 133); // 133 == 0x85
    }
    else
    {
        using (new MultithreadSafeCallScope())
        {
            SafeNativeMethods.InvalidateRect(new HandleRef(window, Handle), null, (controlStyle & ControlStyles.Opaque) != ControlStyles.Opaque);
        }
    }

    NotifyInvalidate(ClientRectangle);
}

[DllImport("user32.dll", CharSet = CharSet.Auto, ExactSpelling = true)]
public static extern bool RedrawWindow(HandleRef hwnd, NativeMethods.COMRECT rcUpdate, HandleRef hrgnUpdate, int flags);

RedrawWindow Win32 API 문서를 보면,

RedrawWindow function (winuser.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redrawwindow

/*
By default, the windows affected by RedrawWindow depend on whether the specified window has the WS_CLIPCHILDREN style. Child windows that are not the WS_CLIPCHILDREN style are unaffected; non-WS_CLIPCHILDREN windows are recursively validated or invalidated until a WS_CLIPCHILDREN window is encountered. The following flags control which windows are affected by the RedrawWindow function.

RDW_ALLCHILDREN
Includes child windows, if any, in the repainting operation.

RDW_ERASE
Causes the window to receive a WM_ERASEBKGND message when the window is repainted. The RDW_INVALIDATE flag must also be specified; otherwise, RDW_ERASE has no effect.

RDW_INVALIDATE
Invalidates lprcUpdate or hrgnUpdate (only one may be non-NULL). If both are NULL, the entire window is invalidated.
*/


사용된 플래그에 따라 자식 윈도우까지도 invalidate 시킨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식 윈도우를 소유하지 않는 TextBox 등의 컨트롤에는 굳이 Refresh를 호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2-27 09시23분
[Syong] 말씀해주신 부분에서 Update가 아니라 Refresh가 Control에서 Virtual로 잡혀있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
그리고 Update는 반드시 무효화된 영역이 있었어야 갱신이 되는 것 같아 설명해주신 것은 Invalidate와 Refresh의 차이 같아서 추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Refresh의 경우 메시지 루프를 거치지 않고 즉각 실행된다면, UI Thread내의 Timer나 특정 함수에서 많은 컨트롤에 Refresh 명령을 준다면
그만큼 block 된다는 말씀같은데... 결국 Invalidate와 Refresh 중 어떤 것이 더 부하(?)를 줄여줄 지는 실험적으로 봐야할까요?
[guest]
2021-02-27 07시39분
@Syong 관련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4정성태6/20/201125005.NET Framework: 225.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파일 다운로드1
1073정성태6/20/201127245오류 유형: 127. Visual Studio에서 WCF 서비스의 이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1072정성태6/19/201126728.NET Framework: 224. EF 4.1 Code First에서 Identity 칼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71정성태6/19/201130237.NET Framework: 223. Entity Framework 4.1의 Code First를 이용한 SQL Azure 데이터베이스 생성 [3]파일 다운로드1
1070정성태6/19/201127769.NET Framework: 222. Windows Azure - VM Role 베타 프로그램 참여 [2]
1069정성태6/18/201127863.NET Framework: 221. Cache 영향을 받지 않는 DNS 이름 풀이 [2]파일 다운로드1
1068정성태6/16/201125484개발 환경 구성: 127. Portable Library - 닷넷 N-Screen용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1]
1067정성태6/15/201125054오류 유형: 126. Windows failed to apply the Group Policy Folder Options settings. [1]
1066정성태6/14/201128054개발 환경 구성: 126. MSDN 구독자 - Windows Azure 무료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 [4]
1065정성태6/13/201132849개발 환경 구성: 125. Firebird - 유니코드 기본 문자셋 지정
1064정성태6/11/201127533웹: 22.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1]
1063정성태6/10/201129120웹: 21. Sysnet 웹 사이트의 CSS 2.1 변환 기록 [1]
1062정성태6/9/201129292웹: 20.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1]
1061정성태6/8/201127529오류 유형: 125. 인터넷 익스플로러 - 개발자 도구에서 정지점(BP: Breakpoint) 설정이 안 되는 경우 [1]
1060정성태6/8/201124076VC++: 51. PHP 모듈의 F5 디버깅
1059정성태6/6/201129188VC++: 50.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8정성태6/5/201132823개발 환경 구성: 124. .NET 개발자가 처음 해보는 PHP + MySQL 연동 [2]
1057정성태6/4/201130212VC++: 49. 소스 코드로부터 php5apache2_2.dll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56정성태6/2/201128393VC++: 48.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 Content Handler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55정성태6/1/201125627오류 유형: 124. MVC 프로젝트의 Site.Master 관련 오류 정리
1054정성태5/31/201129852.NET Framework: 220.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053정성태5/31/201132365VC++: 47. Apache Module에 대한 'F5 디버그 (Start with debugging)' [2]
1052정성태5/30/201130036.NET Framework: 219.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구성하기파일 다운로드1
1051정성태5/28/201138496VC++: 46.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컴파일 (VC++)파일 다운로드1
1050정성태5/28/201124694오류 유형: 123. Firebird - Exception of type 'FirebirdSql.Data.Common.IscException' was thrown.
1049정성태5/28/201130370.NET Framework: 218.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