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비주얼 스튜디오 2019를 (오늘 있었던 16.9 버전으로) 업데이트했더니 이런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The problem may have been caused by a configuration change or by the installation of another extension. You can get mor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file '%APPDATA%\Microsoft\VisualStudio\16.0_c5e17422\ActivityLog.xml'.

Restarting Visual Studio could help resolve this issue.

Continue to show this error message?
---------------------------
Yes No
---------------------------


오류 메시지에 출력된 xml에는 다음과 같은 에러 항목의 로그가 있습니다.

Descripotion:

SetSite failed for package [CascadePackage]Source: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 Description: The composition produced multiple composition errors, with 3 root causes. The root causes are provided below. Review the CompositionException.Errors property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1) No exports were found that match the constraint:ContractName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JoinCommandLineHandlerRequiredTypeIdentity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JoinCommandLineHandler Resulting in: Cannot set impo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JoinWorkspaceCommandHandler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JoinCommandLineHandler")' on pa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Elemen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JoinWorkspaceCommandHandler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JoinCommandLineHandler") -->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2) No exports were found that match the constraint:ContractName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ShareCommandLineHandlerRequiredTypeIdentity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ShareCommandLineHandler Resulting in: Cannot set impo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ShareWorkspaceCommandHandler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ShareCommandLineHandler")' on pa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Elemen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ShareWorkspaceCommandHandler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mmands.IShareCommandLineHandler") -->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3) No exports were found that match the constraint:ContractName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ntracts.IVsCascadeClientServiceRequiredTypeIdentity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ntracts.IVsCascadeClientService Resulting in: Cannot set impo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ClientService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ntracts.IVsCascadeClientService")' on par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Element: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ClientService (ContractName="Microsoft.VisualStudio.Cascade.Contracts.IVsCascadeClientService") --> Microsoft.VisualStudio.Cascade.CascadePackage

GUID:

{D86E17D6-7FC7-47F4-9259-21748EDFF93B}


(아쉽군요, 위의 로그에는 특정 모듈명이 나오지 않으므로 직접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는 없습니다.)

이 상태에서 "No"를 선택하면 이후로는 메시지가 보이지 않겠지만 어쩄든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니 찜찜한 상태로 남게 됩니다. (아마도 이 오류는 비주얼 스튜디오를 업데이트 하기 전에도 발생했을 텐데 그때 "No"를 선택해서 그동안 잠잠하다가 업데이트로 인해 다시 발생하게 된 것이 아닌가... 짐작해봅니다. ^^;)

일단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Error after upgrading to 16.2.1: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t/error-after-upgrading-to-1621-the-cascadepackage-p/684132

This occurs when the "Live Share" extension is disabled. Re-enable the extension to work around the problem.

하지만 제 경우에는 "Live Share"가 enabled 상태였기 때문에 저건 해결책이 될 수 없었는데요, 그래도 힌트는 되었습니다. ^^ 즉, 위의 상황 자체가 "Disabled" 시킨 확장 도구로 인해 발생했다는 것이므로 저도 "Extensions" / "Manage Extensions" 메뉴로 들어가 제가 비활성화시킨 도구를 확인해 봤더니 "Open Command Line [Disabled]" 도구가 나왔습니다.

우연인지 알 수 없지만, xml에 있던 오류 메시지에 "IJoinCommandLineHandler"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게 원인인 듯한데요, (활성화시키지는 않고) 그냥 삭제한 후 비주얼 스튜디오를 재시작했더니 더 이상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66정성태2/27/20249583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8666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10176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9670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9375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3561정성태2/20/202410183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파일 다운로드1
13560정성태2/19/202410226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
13559정성태2/19/202411058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13558정성태2/18/202410213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13557정성태2/18/20249091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556정성태2/17/20249461Windows: 257. 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
13555정성태2/15/20249693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
13554정성태2/15/20249110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13553정성태2/14/20248622닷넷: 2215. windbg - thin/fat lock 없이 동작하는 Monitor.Wait + Pulse
13552정성태2/13/20248747닷넷: 2214. windbg - Monitor.Enter의 thin lock과 fat lock
13551정성태2/12/20249853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13550정성태2/11/202410323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13549정성태2/3/202411273개발 환경 구성: 706. C# -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켓) 콘솔 프로젝트 구성
13548정성태2/1/202410842개발 환경 구성: 705. "Docker Desktop for Windows" -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소켓 주소 바인딩(IPv4/IPv6 loopback, Any)
13547정성태1/31/202410513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13546정성태1/30/202410210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13545정성태1/30/20249738닷넷: 2212. ASP.NET Core - 우선순위에 따른 HTTP/HTTPS 호스트:포트 바인딩 방법
13544정성태1/30/20249360오류 유형: 894. Microsoft.Data.SqlClient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Security.Permissions, ...'
13543정성태1/30/20249785Windows: 254. Windows - 기본 사용 중인 5357 포트 비활성화는 방법
13542정성태1/30/20248870오류 유형: 893.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 두 번째 이야기
13541정성태1/29/20249639VS.NET IDE: 188. launchSettings.json의 useSSL 옵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