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재미있는 도구가 preview 상태를 거치고 있군요. ^^

Introducing the .NET Upgrade Assistant Preview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introducing-the-net-upgrade-assistant-preview/

실제로 현재 .NET 5+가 있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 A tool to assist developers in upgrading .NET Framework applications to .NET 6 and beyond
// https://github.com/dotnet/upgrade-assistant

dotnet tool install -g upgrade-assistant
dotnet tool install -g try-convert

테스트를 해볼까요? ^^ .NET 4.0 콘솔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해당 csproj 파일 경로를 인자로 upgrade-assistant를 실행하면,

[0.2.227701 버전 미만]
c:\temp\ConsoleApp1\ConsoleApp1> upgrade-assistant ConsoleApp1.csproj

[tool update]
c:\temp> dotnet tool update -g upgrade-assistant

[0.2.227701 버전 이후]
c:\temp\ConsoleApp1\ConsoleApp1> upgrade-assistant upgrade ConsoleApp1.csproj

다음과 같은 step의 명령행 모드로 진입합니다.

[09:43:14 INF] MSBuild registered from C:\Program Files\dotnet\sdk\5.0.200\
[09:43:14 INF] Registered 1 extensions:
        Default extension
[09:43:16 INF] Initializing upgrade step Select an entrypoint
[09:43:16 INF] Setting entrypoint to only project in solution: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09:43:16 INF] Initializing upgrade step Select project to upgrade
[09:43:16 INF] Setting only project in solution as the current project: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09:43:16 INF] Initializing upgrade step Back up project

Upgrade Steps

Entrypoint: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urrent Project: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1. [Next step] Back up project
2.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
3. Update TFM
4. Update NuGet packages
5. Add template files
6. Update C# source
    a. Apply fix for UA0001: ASP.NET Core projects should not reference ASP.NET namespaces
    b. Apply fix for UA0002: HtmlString types should be replaced with Microsoft.AspNetCore.Html.HtmlString
    c. Apply fix for UA0003: ActionResult types should come from the Microsoft.AspNetCore.Mvc namespace
    d. Apply fix for UA0004: Filter types should be used from the Microsoft.AspNetCore.Mvc.Filters namespace
    e. Apply fix for UA0005: Do not use HttpContext.Current
    f. Apply fix for UA0006: HttpContext.DebuggerEnabled should be replaced with 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
    g. Apply fix for UA0007: HtmlHelper should be replaced with IHtmlHelper
    h. Apply fix for UA0008: UrlHelper should be replaced with IUrlHelper
    i. Apply fix for UA0009: HelperResult should be replaced with Microsoft.AspNetCore.Mvc.Razor.HelperResult
    j. Apply fix for UA0010: [AllowHtmlAttrubute] should be removed
7. Move to next project

Choose a command:
   1. Apply next step (Back up project)
   2. Skip next step (Back up project)
   3. See more step details
   4. Configure logging
   5. Exit
>

위의 "Choose a command"에 따라 일반적인 프로젝트의 경우 "1"을 계속해서 입력하는 식으로 진행하면 "Back up project",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 "Update TFM", "Update NuGet packages", "Add template files", "Update C# source" 단계를 거치면서 마이그레이션 변환이 마무리됩니다.

그런데, 사실 실질적인 작업은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이고 그것은 try-convert 도구가 해주기 때문에 다른 단계들이 별로 필요가 없다면 곧바로 try-convert 도구를 솔루션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에서 실행해도 됩니다.

C:\temp\ConsoleApp1> try-convert
Conversion complete!

그럼 솔루션이 포함한 모든 프로젝트를 .NET Core 유형으로 변환해 줍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NET 4.0 C# 콘솔 프로젝트가 .NET Core 유형으로 변환된 예제입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5.0</TargetFramework>
    <OutputType>Exe</OutputType>
    <GenerateAssemblyInfo>false</GenerateAssemblyInfo>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CSharp" Version="4.7.0" />
    <PackageReference Include="System.Data.DataSetExtensions" Version="4.5.0" />
  </ItemGroup>
</Project>

간단하죠?! ^^




참고로, upgrade-assistant만 설치하고 try-convert 없이 실행하면 "2.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와 함께 변환에 실패합니다.

[09:47:57 INF] Applying upgrade step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
[09:47:57 INF] Converting project file format with try-convert
[09:47:57 ERR] Unexpected error applying step
System.ComponentModel.Win32Exception (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at System.Diagnostics.Process.StartWithCreateProcess(ProcessStartInfo startInfo)
   at System.Diagnostics.Process.Start()
   at 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ProcessRunner.RunProcessAsync(ProcessInfo args, CancellationToken token) in /_/src/common/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Abstractions/ProcessRunner.cs:line 53
   at 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Steps.ProjectFormat.TryConvertProjectConverterStep.RunTryConvertAsync(IUpgradeContext context, IProject project, CancellationToken token) in /_/src/steps/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Steps.ProjectFormat/TryConvertProjectConverterStep.cs:line 64
   at 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Steps.ProjectFormat.TryConvertProjectConverterStep.ApplyImplAsync(IUpgradeContext context, CancellationToken token) in /_/src/steps/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Steps.ProjectFormat/TryConvertProjectConverterStep.cs:line 53
   at 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UpgradeStep.ApplyAsync(IUpgradeContext context, CancellationToken token) in /_/src/common/Microsoft.DotNet.UpgradeAssistant.Abstractions/UpgradeStep.cs:line 169
Command (Apply next step (Convert project file to SDK style)) did not succeed




백업된 프로젝트 폴더를 복원한 후 다시 빌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NETFramework,Version=v4.0"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NETFramework,Version=v4.0"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 고민하지 마시고, /bin, /obj 폴더를 삭제 후 다시 빌드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11-08 11시11분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c:\temp\ConsoleApp1\ConsoleApp1> upgrade-assistant ConsoleApp1.csproj
=> c:\temp\ConsoleApp1\ConsoleApp1> upgrade-assistant upgrade ConsoleApp1.csproj

항상 감사합니다.
[guest]
2021-11-08 11시40분
의견 감사합니다. 제가 저 글을 쓸 때 "0.2.212405" 버전이었고 그때는 별도의 "upgrade" 인자를 요구하지 않았는데, (0.2.227701부터) 버전업이 되면서 동작이 바뀌었군요. ^^
정성태
2022-11-20 01시04분
You can find the latest docs and news about the ASP.NET Incremental Migration Tooling and System.Web Adapters on GitHub at

dotnet/systemweb-adapters
; https://github.com/dotnet/systemweb-adapters
정성태
2023-03-03 09시20분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87정성태4/26/201725315개발 환경 구성: 314. C# - PowerPoint 확장 Add-in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6정성태4/24/201723257VS.NET IDE: 117.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매크로를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5정성태4/22/201721033VS.NET IDE: 116.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 (2) - 동적 메뉴 구성파일 다운로드1
11184정성태4/21/201722517VS.NET IDE: 115.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83정성태4/19/201721273.NET Framework: 654. UWP 앱에서 FolderPicker 사용 시 유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182정성태4/19/201725150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11181정성태4/18/201722426개발 환경 구성: 312. Azure Web Role의 AppPool 실행 권한을 Local System으로 바꾸는 방법
11180정성태4/16/201725485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11179정성태4/13/201718717기타: 64. SVG Converter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1178정성태4/10/201720797개발 환경 구성: 311. COM+ 관리자의 DCOM 구성에 나오는 기준
11177정성태4/7/201720793.NET Framework: 653. C# 7 새로운 문법(1) - 더욱 편리해진 Out 변수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176정성태4/5/201717917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11175정성태4/5/201727029.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174정성태4/3/201720951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
11173정성태4/3/201724162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1172정성태4/3/201723140.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71정성태3/31/201720420VS.NET IDE: 114.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
11170정성태3/31/201722906.NET Framework: 650. C# - CachedAnonymousMethodDelegate 유형의 코드 생성
11169정성태3/30/201722460VC++: 114. C++ vtable의 가상 함수 호출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1168정성태3/29/201724943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11167정성태3/28/201725349VC++: 112.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2]
11166정성태3/28/201720626오류 유형: 382.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 Arithmetic overflow error converting IDENTITY to data type int.
11165정성태3/27/201723624오류 유형: 381. Visual C++에서 min, max 함수를 사용한 경우 C2589, C2059 컴파일 오류 발생
11164정성태3/27/201732168VC++: 111.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2]파일 다운로드1
11163정성태3/25/201721630VC++: 110. CreateThread Win32 API에 C++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62정성태3/24/201726120오류 유형: 380.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