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의 DigitalProductId로부터 라이선스 키(Product Key)를 알아내는 방법

다음과 같은 글이 있군요. ^^

Decode DigitalProductId Registry Keys To Original Product Key with PowerShell
; https://chentiangemalc.wordpress.com/2021/02/23/decode-digitalproductid-registry-keys-to-original-product-key-with-powershell/

위의 내용은 PowerShell + C#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C# 만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using Microsoft.Win32;
using RegUtils;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Concurrent;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Threading.Task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egistryFinder regFinder = new RegUtils.RegistryFinder();

        string searchTerm = "DigitalProductId";

        RegistryKey baseKey = Microsoft.Win32.RegistryKey.OpenBaseKey(Microsoft.Win32.RegistryHive.LocalMachine,
            Microsoft.Win32.RegistryView.Registry64);
        regFinder.FindRegValueNames(baseKey, searchTerm);

        foreach (KeyValuePair<string, string> result in regFinder.Results)
        {
            byte [] keyData = Registry.GetValue(result.Key, "DigitalProductId", null) as byte [];
            if (keyData == null)
            {
                Console.WriteLine(result.Key);
                continue;
            }

            Console.WriteLine($"{result.Key}: {DecodeKey(keyData)}");
        }
    }

    static string DecodeKey(byte[] key)
    {
        string KeyOutput = "";
        int KeyOffset = 52;

        if (key.Length < 66)
        {
            return "";
        }

        int dn = (int)System.Math.Truncate((double)key[66] / 6);
        bool isWin8 = (bool)((dn & 1) == 1);

        key[66] = (byte)((key[66] & 0xF7));
        int i = 24;
        string maps = "BCDFGHJKMPQRTVWXY2346789";

        int last = 0;
        do
        {
            int current = 0;
            int j = 14;
            do
            {
                current = current * 256;
                current = key[j + KeyOffset] + current;
                key[j + KeyOffset] = (byte)System.Math.Truncate((double)current / 24);
                current = current % 24;
                j--;
            } while (j >= 0);

            i--;
            KeyOutput = maps.Substring(current, 1) + KeyOutput;
            last = current;
        } while (i >= 0);

        if (isWin8 == true)
        {
            string keypart1 = KeyOutput.Substring(1, last);
            if (string.IsNullOrEmpty(keypart1) == true)
            {
                return "";
            }

            string insert = "N";
            KeyOutput = KeyOutput.Replace(keypart1, keypart1 + insert);
            if (last == 0)
            {
                KeyOutput = insert + KeyOutput;
            }
        }

        string result = "";

        if (KeyOutput.Length == 26)
        {
            result = string.Format("{0}-{1}-{2}-{3}-{4}",
                KeyOutput.Substring(1, 5),
                KeyOutput.Substring(6, 5),
                KeyOutput.Substring(11, 5),
                KeyOutput.Substring(16, 5),
                KeyOutput.Substring(21, 5));
        }
        else
        {
            Console.WriteLine(KeyOutput);
        }

        return result;
    }
}

namespace RegUtils
{
    public class RegistryFinder
    {
        public ConcurrentBag<KeyValuePair<string, string>> Results;

        public RegistryFinder()
        {
            Results = new ConcurrentBag<KeyValuePair<string, string>>();
        }

        public void FindRegValueNames(RegistryKey SubKey, string pattern)
        {
            FindRegValueNames(SubKey, pattern, true);
        }

        private void FindRegValueNames(RegistryKey SubKey, string pattern, bool first)
        {
            try
            {
                Parallel.ForEach(SubKey.GetSubKeyNames(), sub =>
                {
                    try
                    {
                        if (first)
                        {
                            foreach (var valueName in SubKey.GetValueNames())
                            {
                                if (string.Equals(valueName, pattern,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true)
                                {
                                    Results.Add(new KeyValuePair<string, string>(SubKey.Name, valueName));
                                }
                            }
                        }

                        RegistryKey local = SubKey.OpenSubKey(sub);
                        foreach (var valueName in local.GetValueNames())
                        {
                            if (string.Equals(valueName, pattern,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true)
                            {
                                Results.Add(new KeyValuePair<string, string>(local.Name, valueName));
                            }
                        }

                        FindRegValueNames(local, pattern, false);
                    }
                    catch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
                    }
                });
            }
            catch { }
        }
    }
}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특정 DigitalProductId를 포함한 키를 지정하는 방식이 아닌, HKEY_LOCAL_MACHINE 하위에 DigitalProductId를 가진 모든 키를 찾아 해독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략 제 컴퓨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식의 출력이 나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Microsoft SQL Server\150\Tools\ClientSetup: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Microsoft SQL Server\140\Tools\ClientSetup: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Microsoft SQL Server\130\Tools\ClientSetup: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efaultProductKey2: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efaultProductKey: AGVTT-V0H53-2CCHJ-W4FW5-7HV9Q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Microsoft SQL Server\MSSQL15.MSSQLSERVER\Setup: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Microsoft SQL Server\150\Tools\ClientSetup: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Registration: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6/14/2019 23:54:49):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6/11/2020 19:38:06):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5/2/2018 21:12:54):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2/15/2019 20:33:20):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11/20/2017 09:45:21): J5ANC-4J1BC-BDHV3-BDPH5-47JQT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Source OS (Updated on 11/11/2019 22:26:04): J5ANC-4J1BC-BDHV3-BDPH5-47JQT

보는 바와 같이 해독 가능한 DigitalProductId는 현재 "윈도우 운영체제"만 가능한 듯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PowerShell 소스 코드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16정성태2/17/201920227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07정성태1/29/201920159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4정성태1/24/201919787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795정성태12/19/201821110Windows: 154. PowerShell - Zone 별로 DNS 레코드 유형 정보 조회 [1]
11789정성태12/10/201831634Windows: 153. C# - USB 장치의 연결 및 해제 알림을 위한 WM_DEVICECHANGE 메시지 처리 [2]파일 다운로드2
11782정성태11/18/201817713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11739정성태10/15/201822852Windows: 151. 윈도우 10의 전원 관리가 "균형 조정(Balanced)"으로 바뀌는 문제
11729정성태10/9/201822590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681정성태9/5/201820725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12정성태7/16/201820780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11598정성태7/10/201819877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11450정성태1/24/201834995Windows: 146. PowerShell로 원격 프로세스(EXE, BAT) 실행하는 방법 [1]
11393정성태12/7/201723150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232정성태6/28/201718448Windows: 144. Windows Server 2016에 Windows Identity Extensions을 설치하는 방법
11209정성태5/25/201768526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16]
11207정성태5/24/201728597Windows: 142.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11193정성태5/3/201721615Windows: 141. 설치된 Windows로부터 설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11192정성태5/2/201722235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11191정성태5/2/201723054Windows: 139. Dell Venue 8 Pro 태블릿에 USB를 이용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방법
11190정성태5/2/201728476Windows: 138.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
11189정성태5/2/201720329Windows: 137. Windows 7 USB/DVD DOWNLOAD TOOL로 98%에서 실패하는 경우
11159정성태3/23/201719308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37정성태1/20/201719937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5정성태1/20/201720159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11115정성태12/21/201627361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396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