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탐색기의 보안 탭에 있는 "Object name" 경로에 LEFT-TO-RIGHT EMBEDDING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문제 흥미로운 글이 있군요. ^^ 파일 경로 복사를 어디서 하는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https://forum.dotnetdev.kr/t/topic/507 그러니까, 윈도우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파일 속성 창의 보안 탭에 있는 경로(Object name)를 복사하면 이상한 값이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저 경로를 긁어서 복사 후 파일에 붙여넣기해 hex 덤프를 하면 다음과 같이, E2 80 AA 43 3A 5C 55 73 65 72 73 5C 64 65 73 6B 74 6F 70 2E 69 6E 69 0xe2, 0x80, 0xaa 3바이트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값은 0x202a(10진수 8234)에 대해 UTF-8 인코딩한 값이어서, Unicode Character 'LEFT-TO-RIGHT EMBEDDING' (U+202A) ; https://www.fileformat.info/info/unicode/char/202a/index.htm How to use Unicode controls for bidi text ; https://www.w3.org/International/questions/qa-bidi-unicode-controls.en LRE: sets base direction to LTR but allows embedded text to interact with surrounding content, so risk of spillover effects 결국 Object name으로 출력된 텍스트 박스에 (일종의 \t와 같은 뷰류의) LRE 제어 문자가 함께 있었던 것입니다. 참고로, 이러한 유의 문제로 고생한 흔적들이 웹 상에 남아 있군요. ^^ Why is "%E2%80%8F" being appended to URL when I copy and paste URL from emails on Outlook?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189284/why-is-e2808f-being-appended-to-url-when-i-copy-and-paste-url-from-emails-o Why is %E2%80%8F being added to my Youtube embed cod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470476/why-is-e2808f-being-added-to-my-youtube-embed-code weird characters such a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067808/weird-characters-such-as-x202a-x202c-rlm 0x202A in filename: Why?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037882/0x202a-in-filename-why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Windows: 192. Power Automate Desktop (Preview) 소개 - Bitvise SSH Client 제어[이전 글] 오류 유형: 703. PowerShell ISE의 Debug / Toggle Breakpoint 메뉴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연관 글] VS.NET IDE: 159. Visual Studio에서 개행(\n, \r) 등의 제어 문자를 치환하는 방법 - 정규 표현식 사용 [최초 등록일: 3/10/2021] [최종 수정일: 3/28/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44정성태11/13/2025138오류 유형: 988. docker - MySql "--initialize specified but the redo log directory ./#innodb_redo/ has redo log files inside. Aborting."14043정성태11/13/2025169개발 환경 구성: 755. Visual Studio 2022/2026 - .NET Framework 2.x ~ 4.x 프로젝트 빌드 방법14042정성태11/11/2025419오류 유형: 987. SQL10007N Message "-139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14041정성태11/11/2025495오류 유형: 986. docker - sybase ase 컨테이너 실행 시 Current process (0x30002) infected with signal 11 (SIGSEGV)14040정성태11/10/2025902디버깅 기술: 225. WinDbg - 덤프 분석 중인 닷넷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14039정성태11/8/2025801Linux: 131. eBPF - bpf_skb_load_bytes를 이용한 __sk_buff.data 영역의 TCP payload 접근14038정성태11/6/20251565Linux: 130. eBPF - bpf_skb_load_bytes를 이용한 __sk_buff.data 영역의 IP/TCP 헤더 해석14037정성태11/3/2025969Linux: 129. eBPF (bpf2go) - BPF_PROG_TYPE_CGROUP_SKB 예제 - "cgroup_skb/egress", "cgroup_skb/egress"14036정성태10/25/20251938디버깅 기술: 224. Visual Studio - 디버깅 시 다른 함수의 소스 코드를 보여주는 사례 (Enable COMDAT Folding 옵션)114035정성태10/24/20251992C/C++: 189.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114034정성태10/22/20251971닷넷: 2375. C# - dynamic 사용 시 internal 멤버에 대한 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114033정성태10/22/20252454닷넷: 2374. C# - dynamic과 "Explicit Interface Implementation"의 문제114032정성태10/21/20252143닷넷: 2373. C# - dynamic 예약어 사용 시 런타임에 "Microsoft.CSharp.RuntimeBinder.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114031정성태10/20/20252287Linux: 128.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2)14030정성태10/20/20252586Linux: 127.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14029정성태10/17/20253153닷넷: 2372. C# - ssh-ed25519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114028정성태10/17/20253170오류 유형: 985. openssh - ssh_host_ed25519_key 파일을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14027정성태10/15/20252871닷넷: 2371. C# - CRC64 (System.IO.Hashing의 약식 버전)114026정성태10/15/20253161닷넷: 2370. 닷넷 지원 정보의 "package-provided" 의미14025정성태10/14/20253005Linux: 126. eBPF (bpf2go) - tcp_sendmsg 예제14024정성태10/14/20253585오류 유형: 984.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14023정성태10/12/20253835닷넷: 2369. C# / Whisper 모델 -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해 자동으로 SRT 자막 파일을 생성 [1]114022정성태10/10/20254259닷넷: 2368. C# / NAudio - (AI 학습을 위해) 무음 구간을 반영한 오디오 파일 분할114021정성태10/6/20254900닷넷: 2367. C# -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YoutubeExplode 패키지) [1]114020정성태10/2/20253710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