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새 프로젝트 창에 C++/CLI 프로젝트 템플릿이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식의 "CLR Empty Project (.NET Framework)", "CLR Console App (.NET Framework)" 등의 프로젝트 템플릿이 없다면? "Tools" / "Get Tools and Features..." 메뉴로 들어가 다음의 항목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한글 Visual Studio 2019 - v142 빌드 도구용 C++/CLI 지원(최신) 영문 Visual Studio 2019 - C++/CLI support for v142 build tools (Lates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704. curl.exe 실행 시 dll not found 오류[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551.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3) jira-oauth-cli 도구를 이용한 키 관리 [최초 등록일: 3/16/2021] [최종 수정일: 3/16/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24정성태6/11/202030329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12223정성태6/9/202026963.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212222정성태6/3/202019119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12221정성태6/3/202018875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12220정성태6/3/202023172.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12219정성태6/1/202021522.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112218정성태5/27/202020324.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12217정성태5/24/202018780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12216정성태5/15/202022210.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112215정성태5/12/202028146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112214정성태5/5/202020396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12213정성태5/3/202020941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12212정성태5/1/202018165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12211정성태4/27/202021001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12210정성태4/20/202022898.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112209정성태4/13/202018758오류 유형: 614.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2)12208정성태4/12/202016942Linux: 29.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12207정성태4/2/202017842스크립트: 19. Windows PowerShell의 NonInteractive 모드12206정성태4/2/202019688오류 유형: 613. 파일 잠금이 바로 안 풀린다면? -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12205정성태4/2/202016630스크립트: 18. Powershell에서는 cmd.exe의 명령어를 지원하진 않습니다.12204정성태4/1/202017201스크립트: 17. Powershell 명령어에 ';' (semi-colon) 문자가 포함된 경우12203정성태3/18/202020088오류 유형: 612. warning: 'C:\ProgramData/Git/config' has a dubious owner: '...'.12202정성태3/18/202023380개발 환경 구성: 486.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위한 GitLab CI/CD Runner 구성12201정성태3/18/202020259오류 유형: 611. git-credential-manager.exe: Using credentials for username "Personal Access Token". [1]12200정성태3/18/202020274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12199정성태3/17/202018146오류 유형: 610. C# - CodeDomProvider 사용 시 Unhandled Exception: System.IO.DirectoryNotFoundException: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f2_6uod0.tmp'.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