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52.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566

.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 https://www.sysnet.pe.kr/2/0/12594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k8s의 apiserver 주소는 다양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config view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DATA+OMITTED
    server: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
  name: docker-desktop
contexts:
- context:
    cluster: docker-desktop
    user: docker-desktop
  name: docker-desktop
current-context: docker-desktop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docker-desktop
  user:
    client-certificate-data: REDACTED
    client-key-data: REDACTED

c:\temp> kubectl cluster-info
Kubernetes master is running at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
Heapster is running at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heapster/proxy
KubeDNS is running at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ube-dns:dns/proxy
monitoring-grafana is running at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grafana/proxy
monitoring-influxdb is running at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monitoring-influxdb/proxy

참고로,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에 kubernetes.docker.internal 이름을 다음과 같이 등록해 두고 있습니다.

127.0.0.1 kubernetes.docker.internal

그리고, 별다른 인증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기본적으로는 API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curl https://localhost:6443/api/ --insecure
c:\temp> curl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api/ --insecure
{
  "kind": "Status",
  "apiVersion": "v1",
  "metadata": {

  },
  "status": "Failure",
  "message": "forbidden: User \"system:anonymous\" cannot get path \"/api/\"",
  "reason": "Forbidden",
  "details": {

  },
  "code": 403
}

재미있는 것은, 해당 인증 정보를 알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kubectl입니다. 즉, kubectl은 내부적으로 (연결 정보를 담고 있는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을 이용해) kube-apiserver와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물론, 외부에서도 kubectl이 하듯이 인증 정보를 제공하면 kube-apiserver와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단지, k8s는 그렇게 하지 않고도 외부 프로그램이 kubectl을 경유해 kube-apiserver와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Kubernetes Documentation / Tasks / Access Applications in a Cluster / Accessing Clusters
 - Directly accessing the REST API
; https://kubernetes.i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access-cluster/#directly-accessing-the-rest-api

이를 위해 kubectl을 proxy 모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proxy
Starting to serve on 127.0.0.1:8001

위와 같이 proxy가 실행 중이면, 이제 우리는 그 프락시 서버로 요청을 날릴 수 있고, kubectl은 그 요청을 받아 적절한 인증 정보와 함께 kube-apiserver에 전달해 그 결과를 반환해 줍니다.

c:\temp> curl http://127.0.0.1:8001/api/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92.168.65.3:6443"
    }
  ]
}




물론, kubectl을 경유하지 않고 인증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려면 service account token 값을 알아야 하는데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값을 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c:\temp> kubectl get secrets
NAME                  TYPE                                  DATA   AGE
default-token-qnwbl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3      50d

c:\temp> kubectl describe secret default-token-qnwbl
Name:         default-token-qnwbl
Namespace:    default
Labels:       <none>
Annotations:  kubernetes.io/service-account.name: default
              kubernetes.io/service-account.uid: 6a8f5d0c-db54-4018-b060-f311583546c0

Type: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Data
====
namespace:  7 bytes
token:      eyJhbGciOiJSUzI...[생략]...lzn1lGmAh1w
ca.crt:     1025 bytes

이후 token을 REST API 요청의 Authorization 헤더로 함께 보내면 끝!

c:\temp> curl https://localhost:6443/api/ --insecure --header "Authorization: Bearer eyJhbGciOiJSUzI...[생략]...lzn1lGmAh1w"
{
  "kind": "APIVersions",
  "versions": [
    "v1"
  ],
  "serverAddressByClientCIDRs": [
    {
      "clientCIDR": "0.0.0.0/0",
      "serverAddress": "192.168.65.3:6443"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정성태3/13/200517704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966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17713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6641.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5469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729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779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652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8093.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363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671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742.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948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643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281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929.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680.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760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698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929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879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878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220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530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411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222.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