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5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 https://www.sysnet.pe.kr/2/0/12567

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92

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9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아래의 글을 보면,

How to set up Kubernetes on Windows 10 with Docker for Windows and run ASP.NET Core
; https://www.hanselman.com/blog/how-to-set-up-kubernetes-on-windows-10-with-docker-for-windows-and-run-aspnet-core

k8s 대시보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나옵니다. 그런데, 그 글에 나온 방법을 보면,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master/src/deploy/alternative/kubernetes-dashboard.yaml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heapster/master/deploy/kube-config/influxdb/influxdb.yaml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heapster/master/deploy/kube-config/influxdb/heapster.yaml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heapster/master/deploy/kube-config/influxdb/grafana.yaml

이제는 yaml에 대한 URL이 모두 없어져서 저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데요, 대신 원래의 github repo와 관련 문서에 따라,

kubernetes/dashboard
; https://github.com/kubernetes/dashboard

쿠버네티스 문서 / 태스크 / 클러스터 내 어플리케이션 접근 / 웹 UI (대시보드)
; https://kubernetes.io/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

URL을 바꿔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c:\temp>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2.0/aio/deploy/recommended.yaml
namespace/kubernetes-dashboard created
serviceaccount/kubernetes-dashboard created
service/kubernetes-dashboard created
secret/kubernetes-dashboard-certs created
secret/kubernetes-dashboard-csrf created
secret/kubernetes-dashboard-key-holder created
configmap/kubernetes-dashboard-settings created
role.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created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created
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creat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created
deployment.apps/kubernetes-dashboard created
service/dashboard-metrics-scraper created
deployment.apps/dashboard-metrics-scraper created

이로 인한 변화는 각각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고.

c:\temp> kubectl get namespace
NAME                   STATUS   AGE
default                Active   50d
kube-node-lease        Active   50d
kube-public            Active   50d
kube-system            Active   50d
kubernetes-dashboard   Active   123m

c:\temp> kubectl get serviceaccount -n kubernetes-dashboard
NAME                   SECRETS   AGE
default                1         137m
kubernetes-dashboard   1         137m

c:\temp> kubectl get svc -n kubernetes-dashboard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dashboard-metrics-scraper   ClusterIP   10.111.93.45   <none>        8000/TCP   124m
kubernetes-dashboard        ClusterIP   10.96.4.48     <none>        443/TCP    124m

c:\temp> kubectl get secrets -n kubernetes-dashboard
NAME                               TYPE                                  DATA   AGE
default-token-kxmhk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3      127m
kubernetes-dashboard-certs         Opaque                                0      127m
kubernetes-dashboard-csrf          Opaque                                1      127m
kubernetes-dashboard-key-holder    Opaque                                2      127m
kubernetes-dashboard-token-9fhlp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3      127m

c:\temp> kubectl get configmap -n kubernetes-dashboard
NAME                            DATA   AGE
kubernetes-dashboard-settings   0      127m

c:\temp> kubectl get role.rbac.authorization.k8s.io -n kubernetes-dashboard
NAME                   CREATED AT
kubernetes-dashboard   2021-03-16T23:43:21Z

c:\temp> kubectl get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 | findstr kubernetes-dashboard
kubernetes-dashboard   2021-03-16T23:43:21Z

c:\temp> kubectl get 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 -n kubernetes-dashboard
NAME                   ROLE                        AGE
kubernetes-dashboard   Role/kubernetes-dashboard   130m

c:\temp> kubectl get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 | findstr kubernetes-dashboard
kubernetes-dashboard     ClusterRole/kubernetes-dashboard     131m

c:\temp> kubectl get deployment.apps -n kubernetes-dashboard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dashboard-metrics-scraper   1/1     1            1           132m
kubernetes-dashboard        1/1     1            1           132m

dashboard를 활성화시켰으면, 이제 웹 브라우저로 방문을 해야 하는데요, 간단하게 kubectl proxy 모드를 이용해,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566

다음의 URL 주소로 웹 브라우저에서 방문할 수 있습니다.

http://localhost:8001/api/v1/namespaces/kubernetes-dashboard/services/https:kubernetes-dashboard:/proxy/

그럼 다음과 같이 service account token 값을 묻는데,

k8s_dashboard_1.png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글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구한 token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인증에 성공하면 이후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됩니다.

[그럼 출처: https://kubernetes.i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
k8s_dashboard_2.png




kubectl proxy는 이전 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kube-apiserver로의 모든 요청을 허용합니다. 만약 dashboard만을 사용한다면, 이런 경우 kubectl이 중계해 주는 API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 원하는 서비스로만 요청을 전달하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kubectl port-forward -n kubernetes-dashboard service/kubernetes-dashboard 8080:443

위와 같이 port-forward 모드로 실행해 두면 kubernetes-dashboard 서비스로만 중계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dashboard에 대한 접속 URL도 (/api/v1/namespaces/kubernetes-dashboard/services/https:kubernetes-dashboard:/proxy/ URL을 지정할 필요 없이) 포트까지만 지정해도 됩니다.

https://localhost:8080/




이외에도 NodePort, Ingress 등의 방법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dashboard/docs/user/accessing-dashboard/
; https://github.com/kubernetes/dashboard/tree/master/docs/user/accessing-dashboard

dashboard/docs/user/installation.md
; https://github.com/kubernetes/dashboard/blob/master/docs/user/installation.md#recommended-setu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4-15 11시44분
참고로 dashboard 관련한 모든 작업을 ukubectl 도구(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releases )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ukubectl --install-dashboard
ukubectl --set-default-token
ukubectl --register-cert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74정성태11/27/201728471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7699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9630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23405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24085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5429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30177.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31237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3420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3807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7843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7991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2560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5570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6837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5622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31492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31828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3556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7370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3301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9772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6710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8817.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5272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6113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