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01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Phi.zip]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Euler's totient function - C#

*** 유의사항: "프로젝트 오일러의 70번 문제"를 풀지 않은 분들의 경우 가능한 문제를 풀고 나서 읽기를 바랍니다.

"프로젝트 오일러" 문제의 69번과 70번 문제는 오일러의 φ(Phi) 함수를 구하는 수학적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글은 제가 그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헤맸던 사항을 정리한 것에 불과하고, 제 지식의 한계로 ^^; 그 어떤 증명이나 수학적인 과정들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단, 저는 φ(Phi) 함수를 모른 상태에서 10의 7승을 가볍게 생각하고 덤벼들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이 각각의 수마다 공약수가 있는지를 기반으로 계산을 시작했더랬습니다.

for (int i = 2; i < 1000000; i ++)
{
    int relativelyPrimeCount = 0;

    for (int j = 1; j < i; j ++)
    {
        if (유클리드호제법(i, j) == true)
        {
            relativelyPrimeCount ++;
        }
    }

    ...[생략]...
}

이 방법이 아닐 거라는 것을 아는 데에는 그리 오래 걸리진 않았습니다. ^^; (원래, "프로젝트 오일러"의 모든 문제는 1분 내에 계산이 나오도록 출제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뭔가 수학적인 계산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검색을 해서 오일러의 파이 함수를 구하는 공식을 찾아냈습니다.

Euler's totient function
; http://en.wikipedia.org/wiki/Totient#Euler.27s_product_formula

위의 그림에 보면 범용적으로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역시, 수학자들은 머리가 비상합니다. ^^ 어쩜 저렇게 표기도 멋있게 하는지!)

euler_phi_func_1.png

위와 같이 씌여지면 '비(非) 수학자'들은 당황할 수 있는데 ^^ 그 아래에 있는 예제 식을 보면 금방 이해가 됩니다.

euler_phi_func_2.png

숫자 36은 소인수 분해를 하면 2, 3 값이 나옵니다. 따라서, 파이 함수 값은 36 * (1 - 1/2)(1 - 1/3) = 12라는 계산을 통해서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 지난번에 소인수 분해를 하는 함수를 다룬 이야기를 쓴 것입니다.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 https://www.sysnet.pe.kr/2/0/1255

이렇게 해서 파이 함수를 C#으로 작성하면 대강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tatic int GetPhiCount(int targetNumber)
{
    // 소인수를 모두 구하고,
    List<int> primes = new List<int>();

    int tempNumber = targetNumber;

    for (int i = 2; i * i <= tempNumber;)
    {
        if (tempNumber % i == 0)
        {
            primes.Add(i);
            tempNumber = tempNumber / i;
        }
        else
        {
            i++;
        }
    }

    primes.Add(tempNumber);

    double product = 1;

    // Euler's totient function 계산을 합니다.
    for (int i = 0; i < primes.Count; i++)
    { 
        product = product * (1 - (double)1 / primes[i]);
    }

    return (int)(product * targetNumber);
}

위와 같이 계산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되어 답이 9708131로 나옵니다.

[0]21 ==> 1.75 (21, 12)
[1]291 ==> 1.515625 (291, 192)
[2]2817 ==> 1.50480769230769 (2817, 1872)
[3]2991 ==> 1.50150602409639 (2991, 1992)
[4]4435 ==> 1.25141083521445 (4435, 3544)
[5]20617 ==> 1.02185765265662 (20617, 20176)
[6]23729 ==> 1.01933072726492 (23729, 23279)
[7]49781 ==> 1.01654040146209 (49781, 48971)
[8]75841 ==> 1.00873856139604 (75841, 75184)
[9]118577 ==> 1.00595546129374 (118577, 117875)
[10]176569 ==> 1.00496880976232 (176569, 175696)
[11]209681 ==> 1.00474385574845 (209681, 208691)
[12]223121 ==> 1.00445682952852 (223121, 222131)
[13]284029 ==> 1.00384887255248 (284029, 282940)
[14]400399 ==> 1.00340567361668 (400399, 399040)
[15]474883 ==> 1.00294622038996 (474883, 473488)
[16]704129 ==> 1.00243444439857 (704129, 702419)
[17]732031 ==> 1.00235378851778 (732031, 730312)
[18]778669 ==> 1.00228215874454 (778669, 776896)
[19]783169 ==> 1.0022690159663 (783169, 781396)
[20]979571 ==> 1.00202538689493 (979571, 977591)
[21]989537 ==> 1.0020232112352 (989537, 987539)
[22]1288663 ==> 1.00178409288788 (1288663, 1286368)
[23]1405913 ==> 1.00170571256962 (1405913, 1403519)
[24]1504051 ==> 1.00169629917736 (1504051, 1501504)
[25]1514419 ==> 1.00163696539025 (1514419, 1511944)
[26]1617953 ==> 1.00159343411051 (1617953, 1615379)
[27]1679567 ==> 1.00154564021527 (1679567, 1676975)
[28]1945241 ==> 1.00143632966803 (1945241, 1942451)
[29]2094901 ==> 1.00143266612617 (2094901, 2091904)
[30]2239261 ==> 1.0013724224038 (2239261, 2236192)
[31]2710627 ==> 1.00125996595765 (2710627, 2707216)
[32]2868469 ==> 1.00124716569118 (2868469, 2864896)
[33]3159587 ==> 1.00117494999016 (3159587, 3155879)
[34]3582907 ==> 1.00111402322488 (3582907, 3578920)
[35]3689251 ==> 1.0011014351491 (3689251, 3685192)
[36]4079147 ==> 1.00108670070255 (4079147, 4074719)
[37]4696009 ==> 1.00107632552825 (4696009, 4690960)
[38]5050429 ==> 1.00089359323969 (5050429, 5045920)
[39]5380657 ==> 1.0008923223447 (5380657, 5375860)
[40]5459471 ==> 1.00085796137744 (5459471, 5454791)
[41]5886817 ==> 1.00084003811029 (5886817, 5881876)
[42]6018163 ==> 1.00083067694101 (6018163, 6013168)
[43]6159431 ==> 1.00081892749421 (6159431, 6154391)
[44]6606071 ==> 1.00081809864482 (6606071, 6600671)
[45]6636841 ==> 1.00077763053849 (6636841, 6631684)
[46]7188239 ==> 1.00075179187505 (7188239, 7182839)
[47]7357291 ==> 1.00074798090044 (7357291, 7351792)
[48]7507321 ==> 1.00074502794821 (7507321, 7501732)
[49]7983917 ==> 1.0007242290464 (7983917, 7978139)
[50]8219537 ==> 1.00069906784866 (8219537, 8213795)
[51]8849513 ==> 1.00067778448828 (8849513, 8843519)
[52]9708131 ==> 1.00064936196064 (9708131, 9701831)

그런데, 이 답은 옳지 않다고 판정되었습니다. 제가 이 단계에서 ^^; 거의 이틀을 고민했습니다. 혹시 파이 함수를 구하는 내부 코드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내가 모르는 뭔가 특별한 수학적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와 같은 별의별 가정을 다 해보았는데, 결국 문제를 쉽게 식별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코드를 쳐다보는 눈이 '리턴값'을 주목하는 데 오래 걸렸기 때문이었습니다.

설마... 리턴값이 잘못 되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요.

다시 "Euler's totient function" 공식을 보시면, 분수를 포함하므로 결국 값들이 double 형으로 계산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int) 값으로 형변환하면 값이 절삭이 되어 결과가 틀어져 버리는 것입니다. 위의 계산값들을 보면 미세한 n / φ(n) 결과값이 0.0001로 순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int) 형변환으로 인한 오차는 클 수밖에 없었던 것이지요.

(int) 절삭의 효과는 테스트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onsole.WriteLine(((int)1.3));
Console.WriteLine(((int)1.6));

1
1

Console.WriteLine(((int)Math.Round(1.3)));
Console.WriteLine(((int)Math.Round(1.6)));

1
2

따라서, 반환값을 (int) 형변환하기 전에, Math.Round로 보정을 해주면 "프로젝트 오일러" 측에서 원하는 답이 나옵니다. ^^; 일단 그걸로 답을 내었으니 급한 불은 껐고. 이제 성능 개선을 해볼 차례입니다.

그래서, 조금 더 들여다 보면 파이 함수의 재미있는 성질을 발견하게 됩니다.

오일러 피 함수
; http://ko.wikipedia.org/wiki/%EC%98%A4%EC%9D%BC%EB%9F%AC_%ED%94%BC_%ED%95%A8%EC%88%98

위의 글에 보면 다음과 같은 공식이 나옵니다.

p가 소수일 때, φ(p) = p - 1

예를 들어, p == 13이면, (소수의 성질이라 당연하겠지만) 12를 반환하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이 값을 기존 "Euler's totient function"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소수점이 포함된 값이 나옵니다.

φ(13) = 13 * (1 - 1/13)
      = 13 * 0.92307692307692313 (923076이 반복되는 무한 소수)

물론, 거의 12가 나오긴 하지만 엄밀히 (13 - 1) != 13 * 0.92307692307692313이므로 정확하게 반환해주는 공식을 추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렇게 소수들에 대한 파이 함수 값을 구하고 나면 다시 한번 재미있는 성질을 찾을 수 있는데요.

m, n이 서로소인 정수일 때, φ(mn) = φ(m)φ(n)

위의 2가지 성질로 인해서 정수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좀 더 많은 기회가 생깁니다. 왜냐하면, 모든 수는 소수 아니면, 소인수 분해되어 결국 소수의 곱으로 바뀌기 때문에 중간에 나오는 소수의 정수값을 보관해 두었다가 다른 수의 소인수 분해에 그 값의 곱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위의 경우로 걸러지지 않는 수들이 있습니다. 바로 4와 같은 수인데, 이런 경우 φ(2 * 2) != φ(2)φ(2)입니다. 즉, m과 n이 서로소라는 조건에 맞지 않으므로 계산이 틀려지는데요. 그런데, 다음과 같은 성질도 있어서 4는 여기에 대입해 줄 수 있습니다.

φ(pk) =  pk - p(k - 1) = pk - 1 * (p - 1)

그래서, 함수는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바뀔 수 있습니다.

static List<int> _primes = new List<int>();
static int GetPhiCount2(Dictionary<int, int> primePhi, int targetNumber)
{
    // 소인수를 모두 구하고
    Dictionary<int, int> primes = new Dictionary<int, int>();

    int tempNumber = targetNumber;
    int primeCount = 0;
    int firstPrimeNumber = 0;
    int secondPrimeNumber = 0;

    for (int n = 0; n < _primes.Count; )
    {
        int prime = _primes[n];

        if (prime * prime > targetNumber)
        {
            break;
        }

        if (tempNumber % prime == 0)
        {
            if (primes.ContainsKey(prime) == true)
            {
                primes[prime]++;
            }
            else
            {
                primes.Add(prime, 1);
            }

            primeCount++;
            firstPrimeNumber = prime;

            tempNumber = tempNumber / prime;
        }
        else
        {
            n++;
        }
    }

    if (primes.Count == 0)
    {
        // 적용 1: p가 소수일 때, φ(p) = p - 1 
        _primes.Add(targetNumber);
        primePhi.Add(targetNumber, targetNumber - 1);
        return targetNumber - 1;
    }

    if (tempNumber != 1)
    {
        primes.Add(tempNumber, 1);
        secondPrimeNumber = tempNumber;
        primeCount++;
    }

    if (primes.Count == 2 && primeCount == 2)
    {
        // 적용 2: m,n이 서로소인 정수일 때, φ(mn) = φ(m)φ(n)
        return primePhi[firstPrimeNumber] * primePhi[secondPrimeNumber];
    }
    else if (primes.Count == 1)
    {
        // 적용 3: φ(pk) =  pk - p(k - 1) = pk - 1 * (p - 1)
        int k = primes[firstPrimeNumber];
        return PowOf(firstPrimeNumber, k - 1) * (firstPrimeNumber - 1);
    }

    double product = 1;

    foreach (var aPrimeKey in primes.Keys)
    {
        product = product * (1 - (double)1 / aPrimeKey);
    }

    return (int)Math.Round(product * targetNumber);
}

static int PowOf(int p, int k)
{
    int result = 1;

    while (k-- > 0)
    {
        result = result * p;
    }

    return result;
}

함수는 길어졌지만, 탈출구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렇게 계산하면 결과를 20초 안에 끊을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은 지난번 "소인수 분해"의 마지막 부분에서 소수를 재활용하는 방법까지 사용된 것입니다.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9정성태1/10/20242184닷넷: 2198. C# - Reflection을 이용한 ClientWebSocket의 Ping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18정성태1/9/20242435닷넷: 2197.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13517정성태1/8/20242262스크립트: 63. Python - 공개 패키지를 이용한 위성 이미지 생성 (pystac_client, odc.stac)
13516정성태1/7/20242379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2682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2355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2274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2209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2225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2145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2219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2283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2946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2515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3059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2646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2526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2599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2344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2459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3134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2530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2574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2480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2647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2859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