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5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058

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9

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2573

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718

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4

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78

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2

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918

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 https://www.sysnet.pe.kr/2/0/13073

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4

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503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Microsoft Store에 방문, Ubuntu 20.04를 검색해,

Ubuntu 20.04 LTS
; https://www.microsoft.com/en-us/p/ubuntu-2004-lts/9n6svws3rx71

새로 설치하면 shell 창이 하나 뜨고 계정 정보 입력, 이후 sudo 명령어에 암호 입력을 (편의상) 생략하기 위해 sudoers 파일을 업데이트합니다. (WSL은 Windows 10 개인 운영체제에서 동작시키므로 편의상 이 작업을 해두지만, 실제 리눅스 머신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 sudo visudo

// 또는,

$ sudo nano /etc/sudoers

%sudo ALL=(ALL:ALL) NOPASSWD: ALL

[centos 9: 별도 파일 생성]
$ pwd
/home/testusr

$ sudo cat /etc/sudoers.d/tesusr
tsetusr ALL=NOPASSWD: ALL

최초 설치 시에는, WSL 버전의 기본값이 1이므로 원한다면 이것을 2로 올려줍니다.

c:\temp>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1
  docker-desktop-data    Running         2
  docker-desktop         Running         2

c:\temp> wsl --set-version Ubuntu-20.04 2

이후 인스턴스를 실행해 update & upgrade를 하고,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이와 함께 .NET 5도 설치해 주고,
$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 sudo apt-get install -y dotnet-sdk-5.0

기본적으로 WSL 인스턴스는 Store App의 특성상 %LOCALAPPDATA%\Packages 폴더에 생성되는데, 이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아래의 글을 통해 다른 디렉터리로 옮길 수 있습니다.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9




Docker Desktop for Windows와 연동하고 싶다면 "Settings" / "General"의 "Use the WSL 2 based engine" 옵션을 체크하고 "Apply & Restart" 버튼을 누릅니다. 해당 구성이 완료되면 이제 WSL 2 인스턴스에서 docker, kubectl 명령어 등이 사용가능합니다.

$ which docker
/usr/bin/docker

$ which kubectl
/usr/local/bin/kubectl

여기서 유의할 것은, 해당 바이너리들은 symbolic link여서,

$ ls /usr/bin/docker -l
lrwxrwxrwx 1 root root 48 Mar 18 15:29 /usr/bin/docker -> /mnt/wsl/docker-desktop/cli-tools/usr/bin/docker

$ ls /usr/local/bin/kubectl -l
lrwxrwxrwx 1 root root 55 Mar 18 15:29 /usr/local/bin/kubectl -> /mnt/wsl/docker-desktop/cli-tools/usr/local/bin/kubectl

저런 마운팅이 "Docker Desktop for Windows"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만 연결된다는 점입니다. (즉, docker desktop을 중지했다면 WSL 인스턴스 측에서 docker, kubectl 명령어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Docker Desktop for Windows는 "DockerDesktopVM"을 띄워 그 안에 docker를 구성하는 식으로 동작하지만, "Use the WSL 2 based engine"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docker 환경을 WSL 2 인스턴스내에 구성하므로 DockerDesktopVM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해당 VM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는 김에 현재 사용자 계정을 docker 그룹에도 등록해 주시고,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반영을 위해 로그아웃 후, 로그인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 docker run hello-world

/*
// 만약 exited인 컨테이너를 모두 삭제하고 싶다면,
[리눅스]
docker rm $(docker ps -a -f "status=exited" -q)

[윈도우]
FOR /F %i IN ('docker ps -a -f "status=exited" -q') do docker rm %i

// 또는, 모든 컨테이너를 삭제하고 싶다면,
[리눅스]
docker rm $(docker ps -a -q)

[윈도우]
FOR /F %i IN ('docker ps -a -q') do docker rm %i
*/




당연하겠지만, 호스트 측에 Docker Desktop for Windows와 "Use the WSL 2 based engine" 옵션을 켰다고 해서 쿠버네티스 환경까지 구성된 것은 아닙니다.

$ kubectl config view
apiVersion: v1
clusters: null
contexts: null
current-context: ""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null

WSL에 k8s를 구성하려면 Settings / Kubernetes / "Enable Kubernetes" 옵션을 켜고 "Apply & Restart"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만약 구성에 실패한다면 "Use the WSL 2 based engine" 옵션을 끄고 구성합니다.

c:\temp> kubectl config view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DATA+OMITTED
    server: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
  name: docker-desktop
contexts:
- context:
    cluster: docker-desktop
    user: docker-desktop
  name: docker-desktop
current-context: docker-desktop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docker-desktop
  user:
    client-certificate-data: REDACTED
    client-key-data: REDACTE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7-04 09시28분
윈도우 10/11 환경에서 리눅스(wsl2)의 zsh 꾸미기
; https://forum.dotnetdev.kr/t/10-11-wsl2-zsh/4007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49정성태9/24/201620930오류 유형: 357.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1000037
11048정성태9/24/201621944VC++: 100. 전역 변수 유형별 실행 파일 크기 차이점
11047정성태9/21/201625777기타: 61. algospot.com - 양자화(Quantization)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046정성태9/15/201627391개발 환경 구성: 298. Windows 10 - bash 실행 시 시작 디렉터리 자동 변경
11045정성태9/15/201620081Windows: 119. Windows 10 - bash 명령어 창을 실행했는데 바로 닫히는 경우
11044정성태9/15/201620320VS.NET IDE: 112.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11043정성태9/15/201621725.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42정성태9/14/201619886오류 유형: 356.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11041정성태9/10/201619372.NET Framework: 605.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 2번째 이야기
11040정성태9/10/201626681.NET Framework: 604. C# Windows Forms - Drag & Drop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1039정성태9/9/201623188오류 유형: 3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11038정성태9/9/201625035VC++: 99.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WM_DROPFIL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37정성태9/8/201628263.NET Framework: 603. socket - shutdown 호출이 필요한 사례파일 다운로드1
11036정성태8/29/201624758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11035정성태8/29/201620401오류 유형: 354. .NET Reflector - PDB 생성 화면에서 "Clear Store"를 하면 "Index and length must refer to a location within the string" 예외 발생
11034정성태8/25/201624424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2]
11033정성태8/24/201622264오류 유형: 353. coreclr 빌드 시 error C3249: illegal statement or sub-expression for 'constexpr' function
11032정성태8/23/201621477개발 환경 구성: 295. 최신의 Visual C++ 컴파일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1]
11031정성태8/23/201617733오류 유형: 352. Error encountered while pushing to the remote repository: Response status code does not indicate success: 403 (Forbidden).
11030정성태8/23/201620293VS.NET IDE: 111. Team Explorer - 추가한 Git Remote 저장소가 Branch에 보이지 않는 경우
11029정성태8/18/201627418.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28정성태8/15/201621505오류 유형: 351. Octave 설치 시 JRE 경로 문제
11027정성태8/15/201622568.NET Framework: 601. ElementHost 컨트롤의 메모리 누수 현상
11026정성태8/13/201623556Math: 19. 행렬 연산으로 본 해밍코드
11025정성태8/12/201622262개발 환경 구성: 294. .NET Core 프로젝트에서 "Copy to Output Directory" 처리 [1]
11024정성태8/12/201621554오류 유형: 350. "nProtect GameMon" 실행 중에는 Visual Studio 디버깅이 안됩니다!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