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5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 https://www.sysnet.pe.kr/2/0/12567

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92

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93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Kubernetes 대시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 https://www.sysnet.pe.kr/2/0/12567

로그인 방법이 "Token"과 "Kubeconfig" 2가지로 나뉩니다. 우선 Token의 경우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글에서 설명했고, 매우 긴 token으로 매번 로그인 시 불편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사실, 웹 브라우저가 비밀번호를 저장해 주므로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어 현실적으로 딱히 불편하지는 않습니다. ^^)

그리고 Kubeconfig은 당연히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을 지정해 로그인하는 건데요, 일단 기본적으로는 아무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 파일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k8s_dashboard_kubeconfig_1.png

Internal error (500): Not enough data to create auth info structuure.

왜냐하면 이것 역시 같은 토큰이 kubeconfig 파일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토큰을 구하거나,

c:\temp> kubectl get secrets
NAME                  TYPE                                  DATA   AGE
default-token-qnwbl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3      50d

c:\temp> kubectl describe secret default-token-qnwbl
Name:         default-token-qnwbl
Namespace:    default
Labels:       <none>
Annotations:  kubernetes.io/service-account.name: default
              kubernetes.io/service-account.uid: 6a8f5d0c-db54-4018-b060-f311583546c0

Type: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Data
====
namespace:  7 bytes
token:      eyJhbGciOiJSUzI...[생략]...lzn1lGmAh1w
ca.crt:     1025 bytes

kube-system의 default 토큰 값을 간단하게 다음의 명령으로 구해,

c:\temp> kubectl -n kube-system describe secret default | findstr token:
token:      eyJhbGciOiJSUzI...[생략]...k89OlpNbpww

저 값을 아래의 명령어에 --token 인자로 전달, 실행하면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에 설정됩니다.

c:\temp> kubectl config set-credentials docker-desktop --token="eyJhbGciOiJSUzI...[생략]...lzn1lGmAh1w"
User "docker-desktop" set.

위에서 "set-credentials"의 인자로 전달된 "docker-desktop"은 docker desktop for windows가 구성한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에 있는 사용자 이름이 그렇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춘 것입니다.

c:\temp> type "%USERPROFILE%\.kube\config" | findstr /C:"\- name"
- name: docker-desktop

실행 후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users의 docker-desktop 항목에 "token: eyJhbG...[생략]...bpww" 필드가 나옵니다.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data: LS0t...[생략]...tLQo=
    server: https://kubernetes.docker.internal:6443
  name: docker-desktop
contexts:
- context:
    cluster: docker-desktop
    user: docker-desktop
  name: docker-desktop
current-context: docker-desktop
kind: Config
preferences: {}
users:
- name: docker-desktop
  user:
    client-certificate-data: LS0tL...[생략]...0tLS0K
    client-key-data: LS0...[생략]...LQo=
    token: eyJhbG...[생략]...bpww

(그러니까, 그냥 단순하게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token: eyJhbG...[생략]...bpww" 문자열을 추가하고 저장해도 됩니다.)

이렇게 바뀐 %USERPROFILE%\.kube\config 파일을 다시 대시보드 로그인 화면에서 선택하고 "Sign in"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이 잘 됩니다. ^^

(참고로, 위에서 설정한 복잡한 방법을 "ukubectl.exe --set-default-token" 명령어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kubeconfig 파일에 token 값이 설정됩니다.)




그런데, docker desktop의 특성상 로컬에서 개발 목적으로 테스트하는 환경이라면 로그인을 매번 하는 것이 귀찮습니다. 그리고 이걸 생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요,

Bypassing authentication for the local Kubernetes Cluster Dashboard
; https://devblogs.microsoft.com/premier-developer/bypassing-authentication-for-the-local-kubernetes-cluster-dashboard/

위의 글을 정리해 보면, 지난 글에서 설치한 대시보드 명령어 파일을,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2.0/aio/deploy/recommended.yaml

내려받아,

Invoke-WebRequest -Uri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2.0/aio/deploy/recommended.yaml -OutFile kubernetes-dashboard.yaml

편집기로 열어 "name: kubernetes-dashboard" 값을 갖는 "kind: Deployment" 섹션의 containers.args에 다음의 2 가지 옵션을 추가합니다. (yaml 파일의 195 라인)

--enable-skip-login
--disable-settings-authorizer

...[생략]...

kind: Deployment
apiVersion: apps/v1
metadata:
  labels:
    k8s-app: kubernetes-dashboard
  name: kubernetes-dashboard
  namespace: kubernetes-dashboard
spec:
  replicas: 1
  revisionHistoryLimit: 10
  selector:
    matchLabels:
      k8s-app: kubernetes-dashboard
  template:
    metadata:
      labels:
        k8s-app: kubernetes-dashboard
    spec:
      containers:
        - name: kubernetes-dashboard
          image: kubernetesui/dashboard:v2.2.0
          imagePullPolicy: Always
          ports:
            - containerPort: 8443
              protocol: TCP
          args:
            - --auto-generate-certificates
            - --namespace=kubernetes-dashboard
            - --enable-skip-login
            - --disable-settings-authorizer
            #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to manually specify Kubernetes API server Host
            # If not specified, Dashboard will attempt to auto discover the API server and connect
            # to it. Uncomment only if the default does not work.

...[생략]...

저장 후, 다시 변경 사항을 반영해 주면,

c:\temp> kubectl apply -f .\kubernetes-dashboard.yaml
namespace/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serviceaccount/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service/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secret/kubernetes-dashboard-certs unchanged
secret/kubernetes-dashboard-csrf configured
Warning: kubectl apply should be used on resource created by either kubectl create --save-config or kubectl apply
secret/kubernetes-dashboard-key-holder configured
configmap/kubernetes-dashboard-settings unchanged
role.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kubernetes-dashboard unchanged
deployment.apps/kubernetes-dashboard configured
service/dashboard-metrics-scraper unchanged
deployment.apps/dashboard-metrics-scraper unchanged

이후 로그인 화면에 다음과 같이 "Skip" 버튼이 생기고,

k8s_dashboard_kubeconfig_2.png

Token, kubeconfig에 상관없이 그냥 skip 버튼을 누르면 dashboard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86정성태10/28/202019227Linux: 34. 사용자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리눅스의 ps 명령어 사용 방법
12385정성태10/28/202016575오류 유형: 673. openssl - req: No value provided for Subject Attribute CN, skipped
12384정성태10/27/202018895오류 유형: 672.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어셈블리의 struct 멤버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2383정성태10/27/202018960.NET Framework: 956.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3]파일 다운로드1
12382정성태10/26/202016683오류 유형: 671. dotnet build - The local source '...' doesn't exist
12381정성태10/26/202018725VC++: 137. C++ stl map의 사용자 정의 타입을 key로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80정성태10/26/202014700오류 유형: 670. Visual Studio - Squash_FailureCommitsReset
12379정성태10/21/202020283.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1]파일 다운로드2
12378정성태10/15/202019209.NET Framework: 954. C# - x86/x64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P/Invoke 함수의 export 이름 [1]파일 다운로드1
12377정성태10/15/202019639디버깅 기술: 172. windbg - 파일 열기 시점에 bp를 걸어 파일명 알아내는 방법(Managed/Unmanaged)
12376정성태10/15/202015735오류 유형: 669. windbg - sos의 name2ee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module list." 오류
12375정성태10/15/202017251Windows: 177. 윈도우 탐색기에서 띄우는 cmd.exe 창의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Yen(&#0165;)' 기호로 나오는 경우 [1]
12374정성태10/14/202023159.NET Framework: 953.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1]파일 다운로드2
12373정성태10/14/202016922.NET Framework: 952.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12372정성태10/13/202019314.NET Framework: 951.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파일 다운로드1
12371정성태10/13/202018233개발 환경 구성: 519. Visual Studio의 Ctrl+Shift+U (Edit.MakeUppercase)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370정성태10/13/202018464Linux: 33. Linux - nmcli를 이용한 고정 IP 설정
12369정성태10/12/202022108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3]
12368정성태10/12/202018196오류 유형: 668. VSIX 확장 빌드 - The "GetDeploymentPathFromVsixManifest" task failed unexpectedly.
12367정성태10/12/202030684오류 유형: 667. Ubuntu - Temporary failure resolving 'kr.archive.ubuntu.com' [2]
12366정성태10/12/202020015.NET Framework: 950.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1]파일 다운로드1
12365정성태10/12/202018374.NET Framework: 949.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파일 다운로드1
12364정성태10/11/202019349.NET Framework: 948.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파일 다운로드1
12363정성태10/11/202021089.NET Framework: 947.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2]파일 다운로드1
12362정성태10/11/202017617VS.NET IDE: 151. Visual Studio 2019에 .NET 5 rc/preview 적용하는 방법
12361정성태10/11/202019644.NET Framework: 946. C# 9.0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