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

지난 글에서,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
; https://www.sysnet.pe.kr/2/0/12612

PInvoke를 활용해 ETW의 Keyword에 속한 이벤트 목록을 구했는데요, 이게 좀 아쉬운 면이 있다면 사실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은 제목에서처럼 .NET Framework 대상이 아닌 .NET Core 2.2부터 가능한 기능입니다. 그런 면에서 리눅스를 대상으로 작성될 가능성도 적지 않은데 그런 상황에서 PInvoke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선택은 아닙니다.

여기서 더욱 아쉬운 면이 있다면, (지난 글에도 언급했지만) 순수하게 C# 코드만으로는 공식적으로 Event ID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안정적인 코드를 사용해야 한다면 미리 이벤트 ID 목록을 알아내 하드 코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입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비공식적인 방법"으로는 Event ID 목록을 구할 수는 있습니다.

왜냐하면, EventSource 타입은 내부에 private 필드로는 CLR-ETW.man에 지정된 이벤트 목록을 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EventMetadata 타입의 배열로 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절차의 Reflection 연산을 통해 이 목록을 구할 수 있습니다. ^^

internal class MyEventListener : EventListener
{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performance/clr-etw-keywords-and-levels

    public const int GCKEYWORD = 0x00000001;
    public const int EXCEPTIONKEYWORD = 0x00008000;

    protected override void OnEventSourceCreated(EventSource eventSource)
    {
        if (eventSource.Name == "Microsoft-Windows-DotNETRuntime")
        {
            base.OnEventSourceCreated(eventSource);
            EnableEvents(eventSource, EventLevel.Informational, (EventKeywords)EXCEPTIONKEYWORD);

            ListEventID(eventSource, EXCEPTIONKEYWORD);
            return;
        }
    }

    private void ListEventID(EventSource eventSource, int filterKeyword)
    {
        Type type = eventSource.GetType();
        FieldInfo fi = type.GetField("m_eventData", System.Reflection.BindingFlags.NonPublic | System.Reflection.BindingFlags.Instance);
        if (fi != null)
        {
            object objMetadataArray = fi.GetValue(eventSource); // 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EventMetadata []
            System.Collections.IEnumerable enumerator = objMetadataArray as System.Collections.IEnumerable;

            foreach (object objItem in enumerator)
            {
                object descriptor = GetDescriptor(objItem);
                if (descriptor == null)
                {
                    continue;
                }

                (long keyword, int eventId) = GetKeywordAndEventId(descriptor);

                if (((int)keyword & filterKeyword) == filterKeyword)
                {
                    Console.WriteLine($"{filterKeyword} == {eventId}");
                }
            }
        }
    }

    private (long, int) GetKeywordAndEventId(object descriptor, out int eventId)
    {
        object keyword = GetPropertyReflect(descriptor, "Keywords");
        object eventValue = GetPropertyReflect(descriptor, "EventId");

        if (keyword == null || eventValue == null)
        {
            return (0, 0);
        }

        return ((long)keyword, (int)eventValue);
    }

    private object GetDescriptor(object objItem)
    {
        return GetFieldReflect(objItem, "Descriptor");
    }

    object GetPropertyReflect(object obj, string propertyName)
    {
        Type type = obj.GetType();
        PropertyInfo pi = type.GetProperty(propertyName, BindingFlags.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f (pi != null)
        {
            return pi.GetValue(obj);
        }

        return null;
    }

    object GetFieldReflect(object obj, string fieldName)
    {
        Type type = obj.GetType();
        FieldInfo fi = type.GetField(fieldName, BindingFlags.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f (fi != null)
        {
            return fi.GetValue(obj);
        }

        return null;
    }

    protected override void OnEventWritten(EventWrittenEventArgs eventData)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eventData.EventName}");
    }
}

/* 출력 결과
32768 == 80
32768 == 250
32768 == 251
32768 == 252
32768 == 253
32768 == 254
32768 == 255
32768 == 256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25정성태8/27/200726391VS.NET IDE: 54. VS.NET 2008 - 새롭게 도입되는 XSD Schema Designer
524정성태8/23/200744044오류 유형: 45. 요청한 작업은, 사용자가 매핑한 구역이 열려 있는...
523정성태8/16/200726646VS.NET IDE: 53. VS.NET 2008 - 서비스 참조 시 기존 데이터 컨테이너 DLL 사용
522정성태8/13/200730166VS.NET IDE: 52. VS.NET 2008 - WCF를 위한 디버깅 환경 개선
521정성태8/8/200729846.NET Framework: 92.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520정성태8/7/200725290VS.NET IDE: 51. Visual Studio 2008 베타 2 설치
519정성태7/27/200731848오류 유형: 44.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2]
518정성태7/26/200732945오류 유형: 43.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1]
517정성태7/19/200721081개발 환경 구성: 26. VPC -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구동
516정성태7/19/200724301오류 유형: 42. TFS - Error loading menu: Index was outside the bounds of the array [2]
515정성태7/18/200732439오류 유형: 41. SSL 서버 자격 증명을 만드는 동안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514정성태7/14/200724911Team Foundation Server: 19. Orcas에서 개선되는 TFS 기능들
513정성태7/4/200736192.NET Framework: 91. Foreground Thread / Background Thread [1]
512정성태6/27/200725159오류 유형: 40. error PRJ0050: Failed to register output.
511정성태6/25/200733849.NET Framework: 90.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2]
510정성태6/25/200749143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508정성태6/21/200731750Team Foundation Server: 18. Team Build에 사용되는 각종 Property 값 [4]
507정성태6/11/200729397VS.NET IDE: 50. Orcas - UAC 설정 관련
506정성태6/9/200724021오류 유형: 39. VC Package not available or not registered
505정성태6/9/200723813오류 유형: 38. Visual SourceSafe - DB 잠김 오류
504정성태6/9/200729050오류 유형: 37. Visual SourceSafe - Anaylze 도중 비정상 종료
503정성태6/7/200731769VS.NET IDE: 49. Orcas - VC++ 다중 소스 동시 컴파일 옵션: /MP
502정성태6/7/200726642VS.NET IDE: 48. Orcas - VC++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500정성태6/4/200735883VS.NET IDE: 47. Orcas - Web Browser Debugger를 이용한 보호 모드의 ActiveX 컨트롤 디버깅
499정성태6/3/200728410VS.NET IDE: 46. Orcas - ComUtil로 인한 증분(/INCREMENTAL) 링크 옵션 사용 제한파일 다운로드1
498정성태5/31/200722204Windows: 26. 스마트 카드 암호 바꾸는 방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