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제로 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clipse C/C++ 윈도우 환경 설정

라즈베리 파이가 너무 느려서 그 안에서 IDE를 띄워 개발하기에는 다소 답답합니다. 그래서 개별 PC의 윈도우에서 개발한다면 원격 디버깅까지 가능한 Visual Studio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데요,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부득이 Visual Studio를 사용할 수 없다면 Notepad++에 NppFTP 플러그인을 설치해 개발하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가령, 간단한 C 프로젝트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소스 코드와 makefile을 엮으면 그런대로 개발에 큰 불편함은 없습니다.

// $ sudo apt-get install git-core
// $ git clone https://github.com/WiringPi/WiringPi.git
// $ cd wiringPi
// $ git pull origin
// $ ./build

// main.c

#include <stdio.h>
#include <wiringPi.h>

extern int _pinNumber;

int main()
{
    int value;
    
    while (1)
    {
        value = digitalRead(_pinNumber);
        
        printf("%d\n", value);
        
        delay(1000);
    }
} 

// sub.c
int _pinNumber = 5;

# makefile

test.out : main.o sub.o
    gcc -o test.out main.o sub.o -lwiringPi
    
main.o : main.c
    gcc -c -o main.o main.c 
    
sub.o : sub.c
    gcc -c -o sub.o sub.c 
    
clean :
    rm *.o test.out

참고로, Visual Studio Code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아쉽게도 "라즈베리 파이 제로"가 armv6l CPU의 명령어 셋이라 Visual Studio Code도 실행할 수가 없고, 심지어 "Remote-SSH" 확장으로도 접속할 수 없습니다. (접속 시도 시 "The remote host's architecture is not supported."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Notepad++/NppFTP의 조합에서 빠진 것이 있다면 역시 디버깅인데요, 어쩔 수 없군요, ^^ Eclipse의 힘을 빌려야겠습니다.

이를 위해 "Eclipse IDE for C/C++ Developers"를 윈도우 PC에 설치한 다음,

Eclipse: https://www.eclipse.org/downloads/

"GNU toolchain for raspberry"를 다운로드해 설치합니다.

Prebuilt Windows Toolchain for Raspberry Pi
; https://gnutoolchains.com/raspberry/

raspberry-gcc8.3.0-r3.exe 
; https://sysprogs.com/getfile/1362/raspberry-gcc8.3.0-r3.exe

설치 후, "C Managed Build" 타입의 새 프로젝트를 선택, "Toolchains"의 항목을 "Cross GCC" 유형으로 생성합니다.

raspberry_pi_dev_eclipse_1.png

위의 과정 이후 "Cross GCC Command"를 설정하는 창이 나오는데 여기에는 이전에 설치한 "GNU toolchain for raspberry"의 컴파일러 경로를 입력합니다.

raspberry_pi_dev_eclipse_2.png

Cross compiler prefix: arm-linux-gnueabihf-
Cross compiler path: C:\SysGCC\raspberry\bin

그렇게 해서 생성한 기본 소스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주고,

#include <stdio.h>
#include <wiringPi.h>

int _pinNumber = 5;

int main()
{
    int value;

    while (1)
    {
        value = digitalRead(_pinNumber);

        printf("%d\n", value);

        delay(1000);
    }
}

"Project" / "Properties" 창을 열어 "C/C++ Build" / "Settings" 범주의 "Cross GCC Linker" / "Libraries"에 "wiringPi" 라이브러리를 추가합니다.

raspberry_pi_dev_eclipse_3.png

끝입니다. 이제 "Ctrl + B(Build)"를 누르면 컴파일이 되고 /Debug 폴더에 "blink" 실행 파일이 생성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GNU toolchain for raspberry"으로 컴파일했기 때문에 생성된 바이너리가 라즈베리 파이 32비트 ARM CPU 명령어 셋을 가진 리눅스 실행 파일 포맷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윈도우에서 실행은 안되지만, 그 파일을 라즈베리 파이에 복사 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구동이 됩니다.

물론, 저런 식으로 ^^; 개발을 하고 싶진 않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그랬던 것처럼, Eclipse에서도 IDE 내에서 실행 시 원격 라즈베리 파이로 자동으로 복사되고 디버깅까지 하고 싶을 텐데요, 이를 위해서는 라즈베리 파이 측에 gdbserver 구성 요소를 설치해 두고,

$ sudo apt-get install gdbserver

Eclipse의 "Run" / "Run Configurations..." 메뉴를 선택하면 "C/C++ Remote Applications"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raspberry_pi_dev_eclipse_4.png

위의 화면에서 왼쪽 상단에 있는 "New Configuration" 아이콘을 눌러 새로운 설정을 추가한 다음, "Connection"이 현재 "Local"만 제공되고 있으므로 "New..." 버튼을 눌러 "SSH" 유형의 연결을 추가한 다음,

raspberry_pi_dev_eclipse_5.png

프로젝트의 실행 파일(이 글의 예제에서는 blink)이 원격지 컴퓨터의 어디로 복사될 것인지, 그리고 복사 이후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해 줍니다.

raspberry_pi_dev_eclipse_6.png

Remote Absolute File Path for C/C++ Application: /home/pi/sample/blink
Commands to execute before application: chmod 755 /home/pi/sample/blink

위의 예에서는 blink 실행 파일을 "/home/pi/sample/" 디렉터리에 복사하기 때문에 원격지(라즈베리 파이)에 동일한 디렉터리가 존재해야 합니다. (없으면 만들어 줍니다. ^^) 또한, 복사한 파일은 실행 권한이 없으므로 "chmod 755 ..."를 이용해 지정한 것도 유의해야 합니다.

설정을 완료하면, 위의 화면에서 지정한 "Name" (이 글에서는 "blink Debug")에 해당하는 항목이 디버그 아이콘 메뉴에 나오므로,

raspberry_pi_dev_eclipse_7.png

이를 선택하면 원격 디버깅을 시작하고 BP(Breakpoint) 및 Step Into/Over를 이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18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51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65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79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38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2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38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20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30.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54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65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49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804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15.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56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8004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31.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62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34.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901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193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18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20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38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22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375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