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57.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35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HTTP 프로토콜에서 TLS 및 모바일 망의 효율을 위해 UDP를 적용하게 된 것처럼,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 https://www.sysnet.pe.kr/2/0/12504#http3

IoT 세계의 저전력을 목표로 하는 기기에서 TCP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 그래서 나온 것이, UDP에 기반을 둔 CoAP(The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입니다.

비록, IoT 기기를 위한 프로토콜이긴 하지만 사실 그냥 일반적인 UDP 통신 래퍼로 여겨도 좋을 수준인데요, 그런 의미에서 ^^ C# 콘솔 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당연하겠지만, 이미 NuGet에 패키지가 있습니다. ^^

smeshlink/CoAP.NET
; https://github.com/smeshlink/CoAP.NET

CoAP.NET
; https://www.nuget.org/packages/CoAP/
// Install-Package CoAP -Version 1.1.0

CoAP.NET.Core
; https://www.nuget.org/packages/CoAP.NET.Core/
// Install-Package CoAP.NET.Core -Version 1.1.0

일단, 서버는 CoAP.NET의 README.md에서 설명한 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using CoAP.Server;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class HelloWorldResource : Resource
{
    public HelloWorldResource()
        : base("hello-world")
    {
        Attributes.Title = "GET a friendly greeting!";
    }

    protected override void DoGet(CoapExchange exchange)
    {
        Console.WriteLine($"temperature data: {exchange.Request.PayloadString}");
        exchange.Respond("Hello World from CoAP.NET!");
    }
}

// Install-Package CoAP -Version 1.1.0
class Server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AP.CoapConfig cc = new CoAP.CoapConfig();
        cc.MaxRetransmit = 2;

        CoapServer server = new CoapServer(cc, 60100);
        server.Add(new HelloWorldResource());
        server.Start();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 실행 결과
DEBUG - Starting CoAP server
DEBUG - BlockwiseLayer uses MaxMessageSize: 1024 and DefaultBlockSize:512
DEBUG - Starting endpoint bound to [::]:60100
Press any key to exit...
*/

HelloWorldResource 타입의 base 생성자에 "hello-world"를 전달하고 있는데 ASP.NET Web API라면 일종의 "[Route("hello-world")]" 설정이라고 보면 됩니다.

어찌 보면, IoC 컨테이너 없는 단순한 수준의 Web API 템플릿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이렇게 만든 CoAP 서버를 소비하는 클라이언트 역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CoAP.Client - A CoAP Example Client
// https://github.com/smeshlink/CoAP.NET/tree/master/CoAP.Example/CoAP.Client

using CoAP;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 Install-Package CoAP -Version 1.1.0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equest request = new Request(Method.GET);
        request.URI = new Uri("coap://127.0.0.1:60100/hello-world");
        request.SetPayload("0", MediaType.TextPlain); // 간단한 데이터 전송
        request.Send();

        Response response = request.WaitForResponse();
        if (response == null)
        {
            Console.WriteLine("Failed to get response");
        }
        
    }
}

/* 출력 결과: 서버
temperature data: 0
*/

/* 출력 결과: 클라이언트
DEBUG - BlockwiseLayer uses MaxMessageSize: 1024 and DefaultBlockSize:512
DEBUG - Starting endpoint bound to [::]:61379
DEBUG - Scheduling retransmission for CON-GET ID=-1, Token=21773E8A, Options=[URI-Port=6010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end request, failed transmissions: 0
DEBUG - Stored open request by KeyID[59156 for ], KeyToken[21-77-3E-8A]
DEBUG - Exchange got response: Cleaning up KeyID[59156 for ]
DEBUG - Cancel retransmission for -->
DEBUG - CON-GET ID=59156, Token=21773E8A, Options=[URI-Port=6010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Exchange completed: Cleaning up KeyToken[21-77-3E-8A]
*/

보는 바와 같이 UDP 통신이지만, Request/Response 기반으로 동작해 마치 HTTP REST API 호출하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이 너무 간단하죠. ^^ 결국, 일반 UDP 통신을 구현하는 몇몇 상황에서도 CoAP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경우에 따라 IoT 기기에서 데이터를 서버가 받아줄 때까지 무한정 재시도를 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이를 위해 Send 전에 MaxRetransmit을 설정하면,

...[생략]...
// 재현을 위해 일부러 없는 포트로 전송
request.URI = new Uri("coap://127.0.0.1:13290/hello-world");
request.MaxRetransmit = 2;
request.Send();

다음과 같이 0, 1, 2까지 총 3번의 요청을 전송합니다.

DEBUG - BlockwiseLayer uses MaxMessageSize: 1024 and DefaultBlockSize:512
DEBUG - Starting endpoint bound to [::]:49943
DEBUG - Scheduling retransmission for CON-GET ID=-1,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end request, failed transmissions: 0
DEBUG - Stored open request by KeyID[53977 for ], KeyToken[02-68-40-C6]
DEBUG - Timeout: retransmit message, failed: 1, message: CON-GET ID=53977,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cheduling retransmission for CON-GET ID=53977,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end request, failed transmissions: 1
DEBUG - Stored open request by KeyID[53977 for ], KeyToken[02-68-40-C6]
DEBUG - Timeout: retransmit message, failed: 2, message: CON-GET ID=53977,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cheduling retransmission for CON-GET ID=53977,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Send request, failed transmissions: 2
DEBUG - Stored open request by KeyID[53977 for ], KeyToken[02-68-40-C6]
DEBUG - Start Mark-And-Sweep with 0 entries
DEBUG - Timeout: retransmission limit reached, exchange failed, message: CON-GET ID=53977, Token=026840C6, Options=[URI-Port=190, URI-Path=hello-world, Content-Type=text/plain], "0"
DEBUG - Exchange completed: Cleaning up KeyToken[02-68-40-C6]
DEBUG - Exchange completed: Cleaning up KeyToken[02-68-40-C6]
DEBUG - Exchange completed: Cleaning up KeyToken[02-68-40-C6]
Press any key to continue . . .

혹은 Send 후 Response를 받는 메서드에서 timeout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Request request = new Request(Method.GET);
request.URI = new Uri("coap://127.0.0.1:190/hello-world");
request.SetPayload("0", MediaType.TextPlain);
request.MaxRetransmit = 2;
request.Send();

Response response = request.WaitForResponse(1000);

그럼, MaxRetransmit 설정 횟수에 상관없이 무조건 1000ms 지난 후에 WaitForResponse는 null을 반환하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9-22 02시52분
[LGCoap] 회사에서 Iot 장비를 개발 중에
테스트 Coap 서버를 구축해야 했습니다.
공유해주신 자료 덕분에 쉽게 구축하여 테스트 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guest]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7정성태12/18/201724195.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584.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559.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29878.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502.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163.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05.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8969.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572.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781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368.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724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593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226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778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042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0892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542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205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1855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191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753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866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160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276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1855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