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서버 유형의, 즉 dllhost.exe로 호스팅되는 COM+ 개체를 생성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HResult=0x80080005
  Message=Server execution failed

Server execution failed

  Source=mscor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ernal(Int32 errorCode, IntPtr errorInfo)
   at System.EnterpriseServices.Thunk.Proxy.CoCreateObject(Type serverType, Boolean bQuerySCInfo, Boolean& bIsAnotherProcess, String& uri)
   at 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ProxyAttribute.CreateInstance(Type serverType)
   at System.Runtime.Remoting.Activation.ActivationServices.IsCurrentContextOK(RuntimeType serverType, Object[] props, Boolean bNewObj)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이런 경우, Server 유형의 COM+가 시작하지 못한 것인데 "Component Services"에 등록된 해당 COM+를 명시적으로 "Start" 시켜 보면 동일한 에러와 함께 이벤트 로그를 보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Catalog Error

An error occurred while processing the last operation.
Error code 80080005 - Server execution failed
The event log may contain additional troubleshooting information.

그래서 이벤트 로그에 보면 이런 오류 항목이 나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Complus
Date:          ...
Event ID:      4829
Task Category: Executiv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
Description:
A COM+ service (such as Queued Components or Compensating Resource Manager) failed to start. The service GUID and HRESULT are: {F27FBEFA-4970-43AF-9192-1DF990B6B898}

Server Application ID: {FC3BD2AA-7BBE-41F7-9CAC-73F65735A7F9}
Server Application Instance ID:
{2BA5A7D5-952A-4C25-93E3-AEFB1A7B10C3}
Server Application Name: TEST COMPLUS APP
The serious nature of this error has caused the process to terminate.
Error Code = 0x8007000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COM+ Services Internals Information:
File: com\complus\src\comsvcs\srgtapi\csrgtserv.cpp, Line: 63
Comsvcs.dll file version: ENU 2001.12.10941.16384 shp

"0x8007000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메시지를 볼 수 있는데요, 실제로 해당 구성 요소에서 참조하고 있는 DLL이 GAC에 등록돼 있지 않아서 발생한 것입니다. 관련해서 다음의 도움말도 함께 보시고.

Error when you start many COM+ applications: Error code 80080005 -- server execution failed
; https://docs.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server/application-management/error-8008005-when-start-complus-applications




또는, 이벤트 로그에 이런 오류가 남을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Complus
Date:          ...
Event ID:      4833
Task Category: Executiv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
Description:
The initialization of the COM+ surrogate failed -- the CApplication object failed to initialize. {FC3BD2AA-7BBE-41F7-9CAC-73F65735A7F9}

Server Application ID: {FC3BD2AA-7BBE-41F7-9CAC-73F65735A7F9}
Server Application Instance ID:
{A447295F-EDD2-47CE-9C60-7FEF63643E4E}
Server Application Name: TEST COMPLUS APP
The serious nature of this error has caused the process to terminate.
Error Code = 0x80131500 : 
COM+ Services Internals Information:
File: com\complus\src\comsvcs\srgtapi\csrgtserv.cpp, Line: 372
Comsvcs.dll file version: ENU 2001.12.10941.16384 shp

이 오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요, 검색해 보면 다음의 자료에서처럼,

Event ID - 4833
; https://kb.eventtracker.com/evtPass/evtPages/EventId_4833_Microsoft-Windows-Complus_67050.asp

리소스 부족도 그럴 수 있겠지만, COM+가 구현한 IProcessInitializer.Startup 함수에서 예외가 발생할 때도 저런 오류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정성태11/18/201130004.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29269.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27238.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26625.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2811.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19824.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36504.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25735.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29483.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1168정성태11/6/201125343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
1167정성태11/5/201137142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3234.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28115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26321.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25816.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162정성태10/30/201125901.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1정성태10/29/201122757.NET Framework: 259. Type.GetMethod - System.Reflection.AmbiguousMatch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159정성태10/28/201126178.NET Framework: 258. Roslyn 맛보기 - SyntaxTree 조작 [2]
1158정성태10/24/201125495.NET Framework: 257. Roslyn 맛보기 - Roslyn Symbol / Binding API파일 다운로드1
1157정성태10/23/201129902.NET Framework: 256.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2]
1156정성태10/23/201128433.NET Framework: 255. Roslyn 맛보기 - Roslyn Services APIs를 이용한 Code Issue 및 Code Action 기능 소개 [1]
1155정성태10/22/201126463.NET Framework: 254.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2)
1154정성태10/22/201133216.NET Framework: 253.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1)
1153정성태10/21/201142086.NET Framework: 252. Roslyn 맛보기 - C# 소스 코드를 스크립트처럼 다루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52정성태10/20/201123744.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2664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