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윈도우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오류 0x800736B3 제어판의 "Programs and Features" 창을 띄워 "Turn Windows features on or off" 링크로 특정 구성 요소를 선택해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uldn't complete the requested changes. The referenced assembly is not installed on your system. Error code: 0x800736B3 Windows Features An error has occurred. Not all of the features were successfully changed. 고민하지 마시고 재부팅하면 (적용될 업데이트가 대기중이었기 때문에) 이후 설치가 잘 될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사물인터넷: 64. NodeMCU v1 ESP8266 - LittleFS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 정보 업데이트[이전 글] 오류 유형: 718.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최초 등록일: 5/14/2021] [최종 수정일: 5/14/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13정성태2/19/201335737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1412정성태2/6/201337570VC++: 65. Python 소스코드를 Visual C++로 빌드하는 방법 [3]1411정성태1/31/201352927개발 환경 구성: 181. 무료 데이터베이스 서버 성능 비교(SQL Server Express, IBM DB2 Express, MySQL, Sybase, PostgreSQL, Oracle XE) [9]1410정성태1/31/201334825.NET Framework: 362.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ybase DB 사용 [1]11409정성태1/30/201338708.NET Framework: 361. C# - 공유기 관리 웹 페이지 인증 [4]11408정성태1/29/201333650.NET Framework: 360.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2) [1]11407정성태1/29/201331966.NET Framework: 35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1)1406정성태1/22/201326474개발 환경 구성: 180. Windows Server 2012 RC 버전을 RTM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1405정성태1/16/201348095.NET Framework: 358.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MySQL(MySqlConnector) 사용 [7]11404정성태1/15/201332562개발 환경 구성: 179. Hyper-V VM 복사는 robocopy로. [2]1403정성태1/14/201334558.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1402정성태1/14/201336077오류 유형: 166. SmtpClient.Send 오류 - net_io_connectionclosed1401정성태1/11/201333797.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11400정성태1/10/201332846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1399정성태1/9/201328382.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1398정성태1/8/201328416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1397정성태1/3/201332338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1396정성태12/27/201233747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11395정성태12/26/201223969.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1394정성태12/25/201225037.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1393정성태12/25/201226409.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1392정성태12/21/201236337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1391정성태12/21/201228848.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11390정성태12/20/201227468.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1389정성태12/12/201225197.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11388정성태12/12/201226433.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