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65.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16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

Arduino IDE의 "Tools" / "Serial Monitor (Ctrl+Shift+M)" 메뉴를 선택하면 Serial Monitor 화면이 열리면서, Sketch 프로그램에서 Serial.print...로 출력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을 C#으로 한 번 구현해 볼까요? ^^ 사실, 단순한 직렬 포트 통신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예제 코드는 지난 글에서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
; https://www.sysnet.pe.kr/2/0/11606

일례로, ESP8266 장치를 USB 케이블로 PC에 연결하면 (전원도 공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장치 관리자에서 COM 포트 및 UART 통신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sp8266_uart_comm_with_cs_1.png

Port: COM4
Bits per seconds: 9600
Data bits: 8
Parity: None
Stop bits: 1
Flow control: None

그리고, 이 정도의 정보만으로도 이제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를 C#으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Ports;
using System.Text;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string portName in SerialPort.GetPortNames())
        {
            Console.WriteLine(portName);
        }

        SerialPort comPort = OpenCOM(4, 115200);
        Console.WriteLine(comPort.IsOpen); // True
        comPort.DataReceived += ComPort_DataReceived;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comPort.Close();
        Console.WriteLine(comPort.IsOpen); // False
    }

    private static void ComPort_DataReceived(object sender, SerialDataReceivedEventArgs e)
    {
        SerialPort comPort = sender as SerialPort;

        switch (e.EventType)
        {
            case SerialData.Chars:
                PrintInputBuffers(comPort);
                break;

            case SerialData.Eof:
                break;
        }
    }

    private static void PrintInputBuffers(SerialPort comPort)
    {
        int len = comPort.BytesToRead;
        byte[] buf = new byte[len];

        comPort.Read(buf, 0, len);

        Console.Write(Encoding.UTF8.GetString(buf));
    }

    private static SerialPort OpenCOM(int portNumber, int bps)
    {
        SerialPort comPort = new SerialPort();

        // 장치 관리자의 Port Settings에 따라,
        comPort.PortName = $"COM{portNumber}";
        comPort.BaudRate = bps;
        comPort.DataBits = 8;
        comPort.StopBits = StopBits.One;
        comPort.Handshake = Handshake.None;
        comPort.Parity = Parity.None;
        comPort.Open();

        return comPort;
    }
}

그런데, OpenCOM의 인자에 9600이 아닌 115200을 주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해당 기기에서 동작하는 sketch 프로그램의 setup에서 그 속도를 변경한 경우에는 그에 맞춰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현재 기기는 다음과 같이 초기화를 시켰기 때문에,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

그에 접속하는 직렬 통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115200을 사용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Sketch 프로그램에서 Serial.print...로 출력하는 내용이 C# 콘솔 프로그램 화면에 나옵니다.




출력 내용만 보면 재미없으니 ^^ 입력도 수행해 보겠습니다. 실제로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창에는 상단에 텍스트 입력 상자가 있어 전송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한 Sketch 프로그램을 기기에 업로드하고,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

int _loopCount;

void loop()
{
    _loopCount ++;

    if (Serial.available())
    {
        String cmd = Serial.readStringUntil('\n');
        if (cmd == "get_count")
        {
            Serial.write(_loopCount);
            Serial.flush();            
        }
        else if (cmd == "reset")
        {
            _loopCount = 0;
            Serial.write(_loopCount);
            Serial.flush();
        }
    }

    delay(1000);
}

C#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입력을 받아 전송하는 부분을 넣어주면,

using System;
using System.IO.Ports;
using System.Text;

class Program
{
    static EventWaitHandle _cmdExecuted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AutoRese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erialPort comPort = OpenCOM(4, 115200);
        Console.WriteLine(comPort.IsOpen); // True
        comPort.DataReceived += ComPort_DataReceived;

        while (true)
        {
            Console.Write("serial> ");
            string cmd = Console.ReadLine();
            if (cmd == "quit" || cmd == "q")
            {
                break;
            }

            comPort.Write(cmd);

            _cmdExecuted.WaitOne(1000 * 5);
        }

        comPort.Close();
        Console.WriteLine(comPort.IsOpen); // False
    }

    private static void ComPort_DataReceived(object sender, SerialDataReceivedEventArgs e)
    {
        SerialPort comPort = sender as SerialPort;

        switch (e.EventType)
        {
            case SerialData.Chars:
                PrintInputBuffers(comPort);
                _cmdExecuted.Set();
                break;

            case SerialData.Eof:
                break;
        }
    }

    // ...[생략]...
}

다음과 같은 식으로 get_count, reset 명령어를 기기에 전송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serial> get_count
_loopCount: 95

serial> reset
_loopCount: 0

serial> get_count
_loopCount: 5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88정성태7/18/201912205개발 환경 구성: 453.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정한 모든 Root 인증서를 설치하는 방법
11987정성태7/17/201917203오류 유형: 558. 윈도우 - KMODE_EXCEPTION_NOT_HANDLED 블루스크린(BSOD) 문제 [1]
11986정성태7/17/20199924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
11985정성태7/17/201910136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1]
11984정성태7/9/201918400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1]
11983정성태7/8/20199247오류 유형: 556. nodemon - 'mocha'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1982정성태7/8/20199244오류 유형: 5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result: unexpected exception occured (-1002 - 0xfffffc16)
11981정성태7/7/201911445Math: 64. C# - 3층 구조의 신경망(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80정성태7/7/201921908개발 환경 구성: 450. Visual Studio Code의 Java 확장을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구축파일 다운로드1
11979정성태7/7/201911480개발 환경 구성: 449. TFS에서 gitlab/github등의 git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11978정성태7/6/201910763Windows: 161. 계정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PC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
11977정성태7/6/201915445오류 유형: 554. git push -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11976정성태7/4/20199725오류 유형: 553. (잘못 인증 한 후) 원격 git repo 재인증 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발생
11975정성태7/4/201918313개발 환경 구성: 448. Visual Studio Code에서 콘솔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입력"받는 방법
11974정성태7/4/201913610Linux: 22. "Visual Studio Code + Remote Development"로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CentOS 7) C/C++ 개발
11973정성태7/4/201912793Linux: 21. 리눅스에서 공유 라이브러리가 로드되지 않는다면?
11972정성태7/3/201915725.NET Framework: 847. JAVA와 .NET 간의 AES 암호화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971정성태7/3/201912873개발 환경 구성: 447.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11970정성태7/2/201911178오류 유형: 552.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 다운로드 후 "Running security scan"이 끝나지 않는 문제
11969정성태7/2/201911566Math: 63. C# - 3층 구조의 신경망파일 다운로드1
11968정성태7/1/201917970오류 유형: 551. Visual Studio Code에서 Remote-SSH 연결 시 "Opening Remote..." 단계에서 진행되지 않는 문제 [1]
11967정성태7/1/201912097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11966정성태6/30/201911431Math: 62. 활성화 함수에 따른 뉴런의 출력을 그리드 맵으로 시각화파일 다운로드1
11965정성태6/30/201912329.NET Framework: 846. C# -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로 나열하는 확장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1964정성태6/30/201913942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11963정성태6/29/201913563Linux: 19. C# - .NET Core Unix Domain Socket 사용 예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