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862

.NET Framework: 728. windbg - 눈으로 확인하는 Workstation GC / Server GC
; https://www.sysnet.pe.kr/2/0/11445

.NET Framework: 729. windbg로 살펴보는 GC heap의 Segment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446

.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 https://www.sysnet.pe.kr/2/0/12545

.NET Framework: 1029. C# - GC 호출로 인한 메모리 압축(Compaction)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72

.NET Framework: 1059.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2649

.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 https://www.sysnet.pe.kr/2/0/12653

.NET Framework: 2024. .NET 7에 도입된 GC의 메모리 해제에 대한 segment와 region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083

닷넷: 2209. .NET 8 - NonGC Heap / FOH (Frozen Object Heap)
; https://www.sysnet.pe.kr/2/0/13536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그러고 보니 지난 글에서,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 https://www.sysnet.pe.kr/2/0/1670

Card-table에 대한 언급과 함께 JIT 컴파일 시의 JIT_WriteBarrierEAX 코드 출력만 언급하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넘어갔는데요. 사실 그 이유는, 위의 글에서 링크한 "Generational Garbage Collection"에서 "Tracking higher to lower generation references" 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의 글을 정리해서 풀어보면.

CLR이 선택한 "mark-sweep" 방식의 GC에서 가장 큰 단점은, 전체 heap에 대한 정리를 할 때 프로그램의 중지 시간이 너무 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GC에 세대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인데요, 이렇게 해서 성능 향상이 된다는 근거는 다음의 가정을 바탕으로 합니다.

  • 대부분의 개체는 0세대에서 소멸
  • 수집된 90% 이상의 개체들이 지난번 GC 이후 새롭게 생성된 개체들
  • 일단 GC 과정에서 살아남은 개체는 생명 주기가 길수 있다.

위의 가정에 따라, "세대별 GC" 모델에서는 Full GC의 수행 횟수는 낮추고 주로 0세대 개체만 빠르게 GC 함으로써 성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2세대 힙까지 GC를 하게 되면 실행이 끊기는 현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왜? card-table을 두는 것이 효과가 있을까요?

GC는 해당 개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개체를 참조하는 "root 개체"가 없어야 합니다. 이러한 root 개체가 스레드 스택, CPU의 레지스터라면 빠르게 그 참조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스택은 기본적으로 1MB지만 실제 commit된 스택을 고려한다면 더 작을 수 있으며 CPU의 레지스터는 그 수가 더욱 한정적이기 때문에 GC 입장에서 성능에 치명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그런데 문제는, "root 개체"가 다른 개체일 경우입니다. 그리고 그 개체들 중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2세대에 있는 개체들로부터의 참조 여부를 가릴 때입니다.

일반적으로, Full GC 유형이라면 어차피 모든 heap을 열거해야 하므로 딱히 문제가 안 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세대별로 나눠 0세대만 혹은 1세대만 GC하는 경우 그것들의 "root 개체"가 2세대에 있는 개체인지 알아내기 위해 결국 2세대로 누적된 방대한 heap 영역을 모두 뒤져야 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나오는 것입니다. (차라리 그럴 거면 애당초 Full GC만 하면 됩니다.)

이렇게, 낮은 세대의 개체를 GC하기 위해 Old 세대의 참조 개체가 있는지 빠르게 알 수 있는 방법으로 Card table이 해결책으로 나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그림은 Gen0에 있는 개체를 참조하고 있는 Gen1의 개체가 있는지 알 수 있는 card table의 개념을 보여줍니다.

card_table_image_thumb_7.png

card table은 비트의 집합으로 되어 있고, Gen1의 전체 크기를 4KB 영역으로 나눠 1비트에 대응시킵니다. 가령, Gen1 메모리가 0x1000에서 시작한다고 가정했을 때 card_table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면 0x1000 ~ 0x2000 사이의 Gen1 개체가 Gen 0의 개체를 참조하고 있다는 표시가 됩니다. 즉, 전체 Gen1 메모리를 뒤질 필요 없이 card-table에서 1비트로 표시된 4KB 구간의 집합만 검색하면 되는 것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힙에서 1비트로 표시되면 성능이 개선될 수 없겠지만, "Tracking higher to lower generation references" 절에서 언급하듯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old 개체가 ephemeral 개체(0, 1세대)를 참조하는 경우는 1% 이하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card_table에 old 개체가 young 개체를 가리키고 있다는 표시를 해야 하는데요, 그게 바로 이전에 살펴봤던 clr!JIT_WriteBarrierEAX 함수로 JIT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추가되는 코드입니다.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 https://www.sysnet.pe.kr/2/0/1670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아래의 코드에서,

class Program
{
    public InnerType In;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g = new Program();
        InnerType instance = new InnerType();

        pg.In = instance;
    }
}

class InnerType { }

pg 개체와 instance 개체의 세대 비교를 어떻게 하면 빠르게 할 수 있을지입니다. CLR의 경우 한 가지 다행인 점은, Gen1과 Gen0 개체는 동일한 ephemeral segment에 할당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pg 개체와 instance 개체가 같은 segment에 있고 그것이 ephemeral segment라면 연속적인 할당이 이뤄지므로 Gen0/1의 경계 주솟값만 비교하면 세대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반면 pg 개체와 instance 개체가 다른 segment에 있다고 판단이 되면 마찬가지로 어느 한 쪽만 ephemeral segment 내에 있는지 판단이 되면 자동으로 세대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2-03 10시38분
Segment가 Region으로 바뀌면서,

.NET 7에 도입된 GC의 메모리 해제에 대한 segment와 region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083

card table 관련 코드도 바뀌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아래의 글에서 볼 수 있습니다.

Write barrier optimizations in regions
; https://maoni0.medium.com/write-barrier-optimizations-in-regions-984bde6c0ffc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858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175.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04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19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469.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576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895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406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257.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03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384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892.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482.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784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849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531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417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235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13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11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551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332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453.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6967.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496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739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