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76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이제는 제법 분위기가 무르익은 것 같아 ^^ 저도 설치를 해봤습니다. 설치 방법은, Windows Store에 방문해 "App Installer"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App Installer
; https://www.microsoft.com/en-us/p/app-installer/9nblggh4nns1

"App Installer"와 winget이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는 알 수 없지만, (테스트에 따른) 짐작으로는 패키지 관리의 기본 역할을 winget.exe가 하지만 로컬에 설치하는 경우의 작업을 "App Installer"가 대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설치 후에 "App Installer"를 실행하려고 해도 윈도우의 시작 메뉴에서는 이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어쨌든 App Installer가 설치되면, "winget.exe" 파일이 다음의 경로에 위치합니다.

%LOCALAPPDATA%\Microsoft\WindowsApps

// 이 경로는 사용자 환경 변수의 "PATH"에 등록되기 때문에 명령행(cmd.exe) 창에서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정 PC에서는 "App Installer"가 설치되어 있는데도 winget.exe가 없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럴 때는, github에 방문해,

microsoft/winget-cli
; https://github.com/microsoft/winget-cli

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 https://github.com/microsoft/winget-cli/releases/download/v1.0.11451/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파일을 다운로드해 더블 클릭으로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그럼, 기존 설치된 "App Installer"가 업데이트되고 "%LOCALAPPDATA%\Microsoft\WindowsApps" 디렉터리에 winget.exe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get search" 명령을 내려 보면 제법 많은 프로그램들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그 목록 중 일부인데요,

  • 7-Zip
  • Arduino IDE
  • Bandizip
  • Honeyview
  • Blender
  • Battle.Net
  • Ubuntu
  • WinZip
  • Discord
  • Dropbox
  • EditPlus
  • Elasticsearch
  • Free Pascal Compiler
  • GeoGebra Classic
  • Git
  • Android Studio
  • Google Chrome
  • IDA Freeware
  • Cyberduck
  • GoLand
  • 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 IntelliJ IDEA Education Edition
  • IntelliJ IDEA Ultimate Edition
  • Rider
  • KakaoTalk Setup
  • Kubernetes - Minikube
  • MariaDB Server
  • Azure CLI
  • Microsoft Edge
  • NuGet
  • Microsoft OpenJDK 11
  • Microsoft OpenJDK 16
  • Microsoft R Open
  •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Visual Studio Build Tools 2019
  • Visual Studio Community 2019
  • Visual Studio Enterprise 2019
  •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 Remote Tools for Visual Studio 2019
  • Visual Studio Code
  • Windows SDK
  • Windows WDK
  • .Net Framework
  • MongoDB Server
  • NASM
  • Notepad++
  • Node.js
  • OpenVPN
  • MySQL
  • PostgreSQL
  • pgAdmin4
  • PuTTY release
  • Python
  • Python 2.7.18
  • Python 3.9.5
  • WinRAR
  • OpenSSL
  • TeamViewer
  • Snagit
  • Fiddler Everywhere
  • Unity
  • VMware Workstation
  • Steam
  • WinSCP
  • Wireshark
  • Bitvise SSH Client
  • youtube-dl-gui
  • Vim

보는 바와 같이 국내에서도 반디소프트의 제품(반디집, 꿀뷰,...)군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혹시 있을까 싶은 제품을 찾고 싶다면 --name 인자로 다음과 같이 검색도 해보시고! ^^

C:\temp> winget search --name post
Name       Id                    Version
----------------------------------------
Postman    Postman.Postman       8.5.1
PostgreSQL PostgreSQL.PostgreSQL 13.3.2
Postbox    Postbox.Postbox       7.0.46




해당 제품들을 설치하려고 하면 이때 "App Installer"가 개입을 합니다. 예를 들어 OpenSSL을 설치하려고 하면,

C:\temp> winget install OpenSSL
Found OpenSSL [ShiningLight.OpenSSLLight]
This application is licensed to you by its owner.
Microsoft is not responsible for, nor does it grant any licenses to, third-party packages.
Downloading https://slproweb.com/download/Win64OpenSSL_Light-1_1_1k.msi
  ██████████████████████████████  3.75 MB / 3.75 MB
Successfully verified installer hash
Starting package install...
Successfully installed

위의 메시지 중 "Downloading ..." 단계에서 대상 패키지의 msi를 "%LOCALAPPDATA%\Packages\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TempState\WinGet\" 디렉터리에 다운로드해 설치를 위해 msi를 실행하기 전 다음과 같은 창이 하나 뜹니다.

winget_install_1.png

"Yes" 버튼을 누르면, 이후의 과정은 일반적인 msi 설치 작업에 따라 진행이 됩니다. 가령, OpenSSL의 경우 "C:\Program Files\OpenSSL-Win64" 디렉터리에 설치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82정성태12/4/201721895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11381정성태11/30/201718282.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380정성태11/30/201718359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11379정성태11/30/201719095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0536.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19835.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4199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18963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4068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3053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6106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19712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19653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1726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7316.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7419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19103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1332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3264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3163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19703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2455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2291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1765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6552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7052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