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7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이제는 제법 분위기가 무르익은 것 같아 ^^ 저도 설치를 해봤습니다. 설치 방법은, Windows Store에 방문해 "App Installer"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App Installer
; https://www.microsoft.com/en-us/p/app-installer/9nblggh4nns1

"App Installer"와 winget이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는 알 수 없지만, (테스트에 따른) 짐작으로는 패키지 관리의 기본 역할을 winget.exe가 하지만 로컬에 설치하는 경우의 작업을 "App Installer"가 대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설치 후에 "App Installer"를 실행하려고 해도 윈도우의 시작 메뉴에서는 이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어쨌든 App Installer가 설치되면, "winget.exe" 파일이 다음의 경로에 위치합니다.

%LOCALAPPDATA%\Microsoft\WindowsApps

// 이 경로는 사용자 환경 변수의 "PATH"에 등록되기 때문에 명령행(cmd.exe) 창에서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정 PC에서는 "App Installer"가 설치되어 있는데도 winget.exe가 없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럴 때는, github에 방문해,

microsoft/winget-cli
; https://github.com/microsoft/winget-cli

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 https://github.com/microsoft/winget-cli/releases/download/v1.0.11451/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appxbundle 파일을 다운로드해 더블 클릭으로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그럼, 기존 설치된 "App Installer"가 업데이트되고 "%LOCALAPPDATA%\Microsoft\WindowsApps" 디렉터리에 winget.exe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get search" 명령을 내려 보면 제법 많은 프로그램들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그 목록 중 일부인데요,

  • 7-Zip
  • Arduino IDE
  • Bandizip
  • Honeyview
  • Blender
  • Battle.Net
  • Ubuntu
  • WinZip
  • Discord
  • Dropbox
  • EditPlus
  • Elasticsearch
  • Free Pascal Compiler
  • GeoGebra Classic
  • Git
  • Android Studio
  • Google Chrome
  • IDA Freeware
  • Cyberduck
  • GoLand
  • 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 IntelliJ IDEA Education Edition
  • IntelliJ IDEA Ultimate Edition
  • Rider
  • KakaoTalk Setup
  • Kubernetes - Minikube
  • MariaDB Server
  • Azure CLI
  • Microsoft Edge
  • NuGet
  • Microsoft OpenJDK 11
  • Microsoft OpenJDK 16
  • Microsoft R Open
  •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Visual Studio Build Tools 2019
  • Visual Studio Community 2019
  • Visual Studio Enterprise 2019
  •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 Remote Tools for Visual Studio 2019
  • Visual Studio Code
  • Windows SDK
  • Windows WDK
  • .Net Framework
  • MongoDB Server
  • NASM
  • Notepad++
  • Node.js
  • OpenVPN
  • MySQL
  • PostgreSQL
  • pgAdmin4
  • PuTTY release
  • Python
  • Python 2.7.18
  • Python 3.9.5
  • WinRAR
  • OpenSSL
  • TeamViewer
  • Snagit
  • Fiddler Everywhere
  • Unity
  • VMware Workstation
  • Steam
  • WinSCP
  • Wireshark
  • Bitvise SSH Client
  • youtube-dl-gui
  • Vim

보는 바와 같이 국내에서도 반디소프트의 제품(반디집, 꿀뷰,...)군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혹시 있을까 싶은 제품을 찾고 싶다면 --name 인자로 다음과 같이 검색도 해보시고! ^^

C:\temp> winget search --name post
Name       Id                    Version
----------------------------------------
Postman    Postman.Postman       8.5.1
PostgreSQL PostgreSQL.PostgreSQL 13.3.2
Postbox    Postbox.Postbox       7.0.46




해당 제품들을 설치하려고 하면 이때 "App Installer"가 개입을 합니다. 예를 들어 OpenSSL을 설치하려고 하면,

C:\temp> winget install OpenSSL
Found OpenSSL [ShiningLight.OpenSSLLight]
This application is licensed to you by its owner.
Microsoft is not responsible for, nor does it grant any licenses to, third-party packages.
Downloading https://slproweb.com/download/Win64OpenSSL_Light-1_1_1k.msi
  ██████████████████████████████  3.75 MB / 3.75 MB
Successfully verified installer hash
Starting package install...
Successfully installed

위의 메시지 중 "Downloading ..." 단계에서 대상 패키지의 msi를 "%LOCALAPPDATA%\Packages\Microsoft.DesktopAppInstaller_8wekyb3d8bbwe\TempState\WinGet\" 디렉터리에 다운로드해 설치를 위해 msi를 실행하기 전 다음과 같은 창이 하나 뜹니다.

winget_install_1.png

"Yes" 버튼을 누르면, 이후의 과정은 일반적인 msi 설치 작업에 따라 진행이 됩니다. 가령, OpenSSL의 경우 "C:\Program Files\OpenSSL-Win64" 디렉터리에 설치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7정성태2/3/201229268.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26정성태1/28/201270198.NET Framework: 298.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한 Private IP 간 통신 - C# [15]파일 다운로드3
1225정성태1/24/201225852.NET Framework: 297. 특정 EXE 파일의 실행을 Internet Explorer처럼 "Protected Mode"로 실행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정성태1/21/201237344개발 환경 구성: 139. 아마존 EC2에 새로 추가된 "1년 무료 Windows 서버 인스턴스"가 있다는데, 직접 만들어 볼까요? ^^ [11]
1223정성태1/20/201227312.NET Framework: 296. 괜찮은 문자열 해시함수?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222정성태1/18/201235031.NET Framework: 295. 괜찮은 문자열 해시 함수? [4]파일 다운로드1
1221정성태1/17/201224024오류 유형: 147.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1220정성태1/15/201224212.NET Framework: 294. Master web.config 파일을 수정하려면?파일 다운로드1
1219정성태1/15/201226582.NET Framework: 293. Microsoft PowerPoint 슬라이드를 HTML 파일로 ".files" 폴더 없이 저장하는 방법 (C#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18정성태1/15/201239134.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1]파일 다운로드2
1217정성태1/14/201241225.NET Framework: 291. .NET에서 WAV, MP3 파일 재생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6정성태1/14/201229932오류 유형: 146. Microsoft Visual C++ 재배포 패키지 - 설치 로그 남기는 방법 [1]
1215정성태1/9/201227494제니퍼 .NET: 2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3) - '닷넷'이 문제일까? '닷넷 개발자'가 문제일까? [6]
1214정성태1/3/201224326제니퍼 .NET: 19. 제니퍼 닷넷 설치/제거 방법 - IIS
1213정성태12/31/201124277.NET Framework: 290.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212정성태12/31/201124365오류 유형: 145.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1211정성태12/31/201129152.NET Framework: 289. WindowsFormsHost를 사용하는 XBAP 응용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1210정성태12/30/201148127.NET Framework: 288. FFmpeg.exe를 이용한 C# 동영상 인코더 예제 [9]파일 다운로드1
1209정성태12/29/201122770개발 환경 구성: 138. BizTalk 2006 설치 방법
1208정성태12/28/201145760.NET Framework: 287. Excel Sheet를 WinForm에서 사용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2
1207정성태12/26/201125040.NET Framework: 286. x86/x64로 구분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6정성태12/25/201126054.NET Framework: 285.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3) - 텍스처 매핑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05정성태12/25/201131704.NET Framework: 284. Thread 개체의 Interrupt와 Abor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204정성태12/22/201125203.NET Framework: 283. MEF를 ASP.NET에 성능 손실 없이 적용하려면? [7]
1203정성태12/21/201125574제니퍼 .NET: 18. MEF가 적용된 ASP.NET 웹 사이트를 제니퍼 닷넷으로 모니터링 해본 결과! [6]
1202정성태12/21/201126001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