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MQTT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Broker) 통신 예제

예전에 소개한 CoAP처럼,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2629

MQTT 또한 사물 인터넷 용으로 나온 프로토콜이긴 하지만 여타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 그리고 CoAP와 다른 점이 있는데요.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개념으로 보면, 서버 역할을 MQTT broker가, 클라이언트 역할을 MQTT client가 수행합니다. 하지만, 서버/클라이언트처럼 서버 측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고, broker와 연결된 특정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즉, MQTT broker는 말 그대로 통신 간의 중계 역할에 더 초점을 둡니다.

비슷한 예로, WPF의 Prism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Event Subscriber/Publisher의 개념과 유사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실제 코드로 간단한 예를 들면 더 편하겠지요. ^^ .NET에서 MQTT 프로토콜을 구현한 MQTTne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니,

chkr1011/MQTTnet
; https://github.com/chkr1011/MQTTnet

Getting Started with MQTT
; https://www.hivemq.com/blog/how-to-get-started-with-mqtt/

Example of MQTT communication using MQTTnet
; https://www.programmersought.com/article/65964914395/

landbroken/MQTTLearning
; https://github.com/landbroken/MQTTLearning

이것을 이용해 예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웹 상에 공개된 예제들이 2.x 버전의 것이라 현재 3.x 버전으로는 빌드가 안 됩니다. 하위 호환성이 ^^; 꽝인데 업그레이드 가이드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우선 서버 먼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MQTTnet

using MQTTnet;
using MQTTnet.Client.Receiving;
using MQTTnet.Server;
using System;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MqttSample
{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var optionsBuilder = new MqttServerOptionsBuilder()
                    .WithConnectionBacklog(100)
                    .WithDefaultEndpointPort(8222);

            IMqttServer broker = new MqttFactory().CreateMqttServer();

            broker.ApplicationMessageReceivedHandler = new MqttApplicationMessageReceivedHandlerDelegate(e => OnMessageReceived(e));
            broker.ClientConnectedHandler = new MqttServerClientConnectedHandlerDelegate(e => OnClientConnected(e));
            broker.ClientDisconnectedHandler = new MqttServerClientDisconnectedHandlerDelegate(e => OnClientDisconnected(e));
            broker.ClientSubscribedTopicHandler = new MqttServerClientSubscribedHandlerDelegate(e => OnClientSubscribedToTopic(e));
            broker.ClientUnsubscribedTopicHandler = new MqttServerClientUnsubscribedTopicHandlerDelegate(e => OnClientUnsubscribedToTopic(e));

            await broker.StartAsync(optionsBuilder.Build());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OnClientUnsubscribedToTopic(MqttServerClientUnsubscribedTopicEventArgs e)
        {
            Console.WriteLine($"OnClientUnsubscribedToTopic: {e.ClientId} - {e.TopicFilter}");
        }

        private static void OnClientSubscribedToTopic(MqttServerClientSubscribedTopicEventArgs e)
        {
            Console.WriteLine($"OnClientSubscribedToTopic: {e.ClientId} - {e.TopicFilter.Topic}");
        }

        private static void OnMessageReceived(MqttApplicationMessageReceivedEventArgs e)
        {
            Console.WriteLine($"OnMessageReceived: {e.ApplicationMessage.Topic}, {Encoding.UTF8.GetString(e.ApplicationMessage.Payload)}");
        }

        private static void OnClientConnected(MqttServerClientConnectedEventArgs e)
        {
            Console.WriteLine($"OnClientConnected: {e.ClientId}");
        }

        private static void OnClientDisconnected(MqttServerClientDisconnectedEventArgs e)
        {
            Console.WriteLine($"OnClientDisconnected: {e.ClientId} - {e.DisconnectType}");
        }
    }
}

그런데, 디버깅 용도의 로그 정보 출력에 해당하는 이벤트 구독은 안 해도 됩니다. 그래서 서버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만들어도 무방합니다.

using MQTTnet;
using MQTTnet.Server;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MqttSample
{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var optionsBuilder = new MqttServerOptionsBuilder()
                    .WithConnectionBacklog(100)
                    .WithDefaultEndpointPort(8222);

            IMqttServer broker = new MqttFactory().CreateMqttServer();

            await broker.StartAsync(optionsBuilder.Build());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

그다음, 위의 Broker에 Topic을 발행하고/구독할 클라이언트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이것은 MQTTnet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를 좀 더 만들기 쉽게 래퍼한 MQTTnet.Extensions.ManagedClient 패키지를 이용하면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의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MQTTnet/Tests/MQTTnet.TestApp.NetCore/ManagedClientTest.cs /
; https://github.com/chkr1011/MQTTnet/blob/master/Tests/MQTTnet.TestApp.NetCore/ManagedClientTest.cs

이렇게 만들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MQTTnet
// Install-Package MQTTnet.Extensions.ManagedClient

using MQTTnet;
using MQTTnet.Client.Options;
using MQTTnet.Client.Receiving;
using MQTTnet.Extensions.ManagedClient;
using MQTTnet.Protocol;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MqttClient
{
    class Program
    {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ManagedMqttClientOptions options = new ManagedMqttClientOptions();

            options.ClientOptions = new MqttClientOptions()
            {
                ClientId = "MyMqttClient",
                ChannelOptions = new MqttClientTcpOptions
                {
                    Server = "localhost",
                    Port = 8222,
                }
            };

            options.AutoReconnectDelay = TimeSpan.FromSeconds(1);

            try
            {
                var managedClient = new MqttFactory().CreateManagedMqttClient();
                managedClient.ApplicationMessageReceivedHandler = new MqttApplicationMessageReceivedHandlerDelegate(e =>
                {
                    Console.WriteLine(">> RECEIVED: " + e.ApplicationMessage.Topic);
                });

                await managedClient.StartAsync(options);

                await managedClient.PublishAsync(builder => builder.WithTopic("Step").WithPayload("1"));
                await managedClient.PublishAsync(builder => builder.WithTopic("Step").WithPayload("2").WithAtLeastOnceQoS());

                await managedClient.SubscribeAsync(new MqttTopicFilter { Topic = "xyz", QualityOfServiceLevel = MqttQualityOfServiceLevel.AtMostOnce });
                await managedClient.SubscribeAsync(new MqttTopicFilter { Topic = "abc", QualityOfServiceLevel = MqttQualityOfServiceLevel.AtMostOnce });

                await managedClient.PublishAsync(builder => builder.WithTopic("Step").WithPayload("3"));

                Console.WriteLine("Managed client started.");
                Console.ReadLine();
                await managedClient.UnsubscribeAsync("xyz", "abc");
                await managedClient.StopAsync();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
            }
        }
    }
}

위의 클라이언트는 "Step" 토픽을 만들어 각각 "1", "2", "3"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토픽 "xyz", "abc"를 구독하고 있는데요, 만약 구독 토픽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managedClient.ApplicationMessageReceivedHandler에 등록된 이벤트 핸들러의 코드로 인해 화면에는 "RECEIVED: ..." 문자열이 출력될 것입니다.

일단, 위의 상태로 Broker와 Client를 실행시키면 Broker 측의 콘솔 화면에 다음과 같은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ess any key to exit...
OnClientConnected: MyMqttClient
OnMessageReceived: Step, 1
OnClientSubscribedToTopic: MyMqttClient - xyz
OnClientSubscribedToTopic: MyMqttClient - abc
OnMessageReceived: Step, 2
OnMessageReceived: Step, 3

// [MqttClient를 종료하면]

OnClientUnsubscribedToTopic: MyMqttClient - xyz
OnClientUnsubscribedToTopic: MyMqttClient - abc
OnClientDisconnected: MyMqttClient - Clean

이처럼, broker를 통해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WPF의 Prism이 이벤트를 exe 프로세스 내에서 중계하는 구조라면 MQTT는 그 범위가 네트워크로 확장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어쩌면 살짝 UDP 브로드캐스팅과도 닮았는데요, 물론 기존의 UDP 브로드캐스팅은 연결되지 않았어도 서브넷 범위에만 있다면 통신을 할 수 있는 반면 MQTT는 일단 접속해야 한다는 차이점은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실습하면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MQTT broker는 그 자체로 특정 서비스에 종속적이지 않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검색해 보면 MQTT broker를 클라우드 규모로 확장해 서비스하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HiveMQ인데요,

Getting Started with MQTT
; https://www.hivemq.com/blog/how-to-get-started-with-mqtt/

HiveMQ 사이트에 보면 MQTT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는 문서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저도 ^^ 천천히 한 번 읽어봐야겠습니다.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latest version of MQTT: MQTT 5
; https://www.hivemq.com/mqtt-5/

MQTT Basics
; https://www.hivemq.com/mqtt-essentials/

    Introducing the MQTT Protocol - MQTT Essentials: Part 1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1-introducing-mqtt/

    Publish & Subscribe - MQTT Essentials: Part 2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2-publish-subscribe/

    MQTT Client and Broker and MQTT Server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Explained - MQTT Essentials: Part 3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3-client-broker-connection-establishment/

    MQTT Publish, Subscribe & Unsubscribe - MQTT Essentials: Part 4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4-mqtt-publish-subscribe-unsubscribe/

    MQTT Topics & Best Practices - MQTT Essentials: Part 5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5-mqtt-topics-best-practices/
    ; https://medium.com/@jspark141515/mqtt-%EC%8B%A4%EC%A0%84-%EC%9D%91%EC%9A%A9%ED%95%98%EA%B8%B0-wildcard-9643877262f2

    Quality of Service 0,1 & 2 - MQTT Essentials: Part 6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6-mqtt-quality-of-service-levels/
    ; https://medium.com/@jspark141515/mqtt%EB%9E%80-314472c246ee

    Persistent Session and Queuing Messages - MQTT Essentials: Part 7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7-persistent-session-queuing-messages/

    Retained Messages - MQTT Essentials: Part 8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8-retained-messages/

    Last Will and Testament - MQTT Essentials: Part 9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9-last-will-and-testament/

    Keep Alive and Client Take-Over - MQTT Essentials Part 10
    ; https://www.hivemq.com/blog/mqtt-essentials-part-10-alive-client-take-over/

그 외, 기타.
ESP8266 and Node-RED with MQTT (Publish and Subscribe)
; https://randomnerdtutorials.com/esp8266-and-node-red-with-mqtt/

Send and Receive Messages to your IoT Devices using MQTT
; https://www.digikey.com/en/maker/projects/send-and-receive-messages-to-your-iot-devices-using-mqtt/39ed5690cc46473abe8904c8f960341f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6-05 11시51분
[사용자] 시간되실때 Prism 프레임워크 강의 좀 해주시면 안되나요? 국내에서는 WPF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기는한데 처음 접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도대체가 이해가 안가네요. 공식 사이트나 유튜브를 봐도 뭔지 모르겠고, 본문에서 언급한 Event Subscriber/Publisher 방법도 모르겠고...
[guest]
2021-06-07 11시07분
제가 WPF를 다룬 것이 거의 12년 정도 전이라서 이제는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잘 모릅니다. ^^ 다른 현업에 계신 분들이 더 실력이 좋기 때문에 그분들의 강의를 기대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정성태
2021-06-18 11시32분
정성태
2022-04-29 01시16분
MQTTnet 소개
; https://forum.dotnetdev.kr/t/mqttnet/3469

dotnet/MQTTnet
; https://github.com/dotnet/MQTTnet

MQTT 의 이해부터 테스트까지 (feat. POS 연동)
; https://techblog.tabling.co.kr/mqtt-의-이해부터-테스트까지-feat-pos-연동-73455d2d5532

-----------------

It's C# All The Way Down! Using .NET for home automation with IoT devices | .NET Conf 2023
  - 90s-era Gravis Gamepad with legacy game port interface
  - ESP32-S2 based microcontroller running .NET nanoFramework
  - Raspberry Pi 4 running full .NET runtime (ASP.NET Core)
; https://youtu.be/zwkspYxtFAE?t=408

Sample Project - https://github.com/burkenyo/Burkenyo.Iot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8정성태11/15/201726655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7158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730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504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696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887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971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220.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203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682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149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757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324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711.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844.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615.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630.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656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822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811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47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413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556.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471.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219.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523.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