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7

.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175

.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9

.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20

.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491

.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2

.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791

.NET Framework: 2003.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 https://www.sysnet.pe.kr/2/0/13050

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9

닷넷: 2248. C# - 인터페이스 타입의 다중 포인터를 인자로 갖는 C/C++ 함수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7

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361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인터페이스의 경우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조할 때 "Embed Interop Types"를 이용하면 DLL 의존성 없이 인터페이스 정의만 가져오는 것이 허용됩니다. 보통 Office 계열의 COM 개체를 다룰 때 사용하지만 C# 프로젝트에서도 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요.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볼까요?

우선, 인터페이스 정의만 담은 DLL을 하나 생성하고,

// ClassLibrary1 프로젝트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62A4A0A9-8791-444B-ABF7-8BFD23DFF0FB")]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이것을 상속받아 구현한 C# COM 개체를 다음과 같이 별도의 프로젝트에 만들었을 때,

// ClassLibrary2 프로젝트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ClassLibrary2
{
    [ComVisible(true)]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AutoDual)]
    public class Class1 : IAdminCode
    {
        public void SetRegistryValue()
        {
            MessageBox.Show("TEST");
        }
    }
}

일반적으로는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담고 있는 ClassLibrary1.dll도 함께 배포를 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을 합니다. 하지만, PIA(Primary Interop Assembly)를 이용하면 ClassLibrary1.dll에 대한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ClassLibrary2에서 ClassLibrary1을 "Embed Interop Types" == "True"로 두면 되는데,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server_create_object_1.png

현재 단계에서는 저렇게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CS1759 오류가 발생합니다.

Cannot embed interop types from assembly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because it is missing eithe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mportedFromTypeLibAttribute' attribute o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 attribute.


왜냐하면, 우리가 만든 ClassLibrary1.dll은 "Primary Interop Assembly"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저 오류를 없애려면 DLL을 PIA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듯이 PIA 특성을 해당 DLL에 부여하면 됩니다. 따라서, ClassLibrary1.dll 프로젝트의 AssemblyInfo.cs에 다음과 같이 PIA 특성을 추가합니다.

[assembly: 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1, 0)]

하지만, 일단 저렇게 해서 ClassLibrary1.dll을 PIA로 인식시킬 수는 있지만 이번에는 CS1756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CS1756 Interop type 'IAdminCode' cannot be embedded because it is missing the required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ImportAttribute' attribute.


메시지에 나오는 것처럼, 의존성 없는 Import를 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ComImport 특성을 부여해야 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ComImportAttribute()]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여기까지 해서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PIA와 그것을 참조하는 측에서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사용해 DLL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ConsoleApp1.exe 프로젝트를 만들어, 마찬가지로 ClassLibrary1.dll에 대해 "Embed Interop Types" 참조를 하고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2.dll에서 제공하는 C# COM 개체를 아무런 의존성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uid guid = new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Type type = Type.GetTypeFromCLSID(guid);

            object comObject = Activator.CreateInstance(type);

            IAdminCode ac = comObject as IAdminCode;

            ac.SetRegistryValue();
        }
    }
}

IAdminCode 사용을 위해 ClassLibrary1.dll을 참조하지만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켰으므로 응용 프로그램 배포 시에는 ConsoleApp1.exe 파일과 해당 C# COM 개체를 포함한 ClassLibrary2.dll만을 배포해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는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분리했는데요. 그냥 하나로 합쳐도 무방합니다. 즉,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추가한 다음 ConsoleApp1에서는 ClassLibrary2 프로젝트를 PIA 참조해도 상관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2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하는데,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과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NoWriterDateCnt.TitleFile(s)
40정성태7/23/200321896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41김성현7/24/200320725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1. [답변]: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42정성태7/29/200318674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2. feedback 을 받기 위해서 답변 기능을 가능하게 해두었습니다.
39정성태7/17/200324449VS.NET IDE: 5. 원격 제어 3가지 방법
38정성태7/17/200320992.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652.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201.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34정성태7/17/200320876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1036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2247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19280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36544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0951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0441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19401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0570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18165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1764.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464.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20032.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9085.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26142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2092.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19485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27419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19746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