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7

.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175

.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9

.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20

.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491

.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2

.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791

.NET Framework: 2003.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 https://www.sysnet.pe.kr/2/0/13050

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9

닷넷: 2248. C# - 인터페이스 타입의 다중 포인터를 인자로 갖는 C/C++ 함수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7

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361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인터페이스의 경우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조할 때 "Embed Interop Types"를 이용하면 DLL 의존성 없이 인터페이스 정의만 가져오는 것이 허용됩니다. 보통 Office 계열의 COM 개체를 다룰 때 사용하지만 C# 프로젝트에서도 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요.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볼까요?

우선, 인터페이스 정의만 담은 DLL을 하나 생성하고,

// ClassLibrary1 프로젝트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62A4A0A9-8791-444B-ABF7-8BFD23DFF0FB")]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이것을 상속받아 구현한 C# COM 개체를 다음과 같이 별도의 프로젝트에 만들었을 때,

// ClassLibrary2 프로젝트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ClassLibrary2
{
    [ComVisible(true)]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AutoDual)]
    public class Class1 : IAdminCode
    {
        public void SetRegistryValue()
        {
            MessageBox.Show("TEST");
        }
    }
}

일반적으로는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담고 있는 ClassLibrary1.dll도 함께 배포를 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을 합니다. 하지만, PIA(Primary Interop Assembly)를 이용하면 ClassLibrary1.dll에 대한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ClassLibrary2에서 ClassLibrary1을 "Embed Interop Types" == "True"로 두면 되는데,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server_create_object_1.png

현재 단계에서는 저렇게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CS1759 오류가 발생합니다.

Cannot embed interop types from assembly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because it is missing eithe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mportedFromTypeLibAttribute' attribute o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 attribute.


왜냐하면, 우리가 만든 ClassLibrary1.dll은 "Primary Interop Assembly"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저 오류를 없애려면 DLL을 PIA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듯이 PIA 특성을 해당 DLL에 부여하면 됩니다. 따라서, ClassLibrary1.dll 프로젝트의 AssemblyInfo.cs에 다음과 같이 PIA 특성을 추가합니다.

[assembly: 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1, 0)]

하지만, 일단 저렇게 해서 ClassLibrary1.dll을 PIA로 인식시킬 수는 있지만 이번에는 CS1756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CS1756 Interop type 'IAdminCode' cannot be embedded because it is missing the required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ImportAttribute' attribute.


메시지에 나오는 것처럼, 의존성 없는 Import를 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ComImport 특성을 부여해야 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ComImportAttribute()]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여기까지 해서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PIA와 그것을 참조하는 측에서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사용해 DLL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ConsoleApp1.exe 프로젝트를 만들어, 마찬가지로 ClassLibrary1.dll에 대해 "Embed Interop Types" 참조를 하고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2.dll에서 제공하는 C# COM 개체를 아무런 의존성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uid guid = new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Type type = Type.GetTypeFromCLSID(guid);

            object comObject = Activator.CreateInstance(type);

            IAdminCode ac = comObject as IAdminCode;

            ac.SetRegistryValue();
        }
    }
}

IAdminCode 사용을 위해 ClassLibrary1.dll을 참조하지만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켰으므로 응용 프로그램 배포 시에는 ConsoleApp1.exe 파일과 해당 C# COM 개체를 포함한 ClassLibrary2.dll만을 배포해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는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분리했는데요. 그냥 하나로 합쳐도 무방합니다. 즉,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추가한 다음 ConsoleApp1에서는 ClassLibrary2 프로젝트를 PIA 참조해도 상관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2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하는데,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과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34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20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885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06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895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43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4946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03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4969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35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45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05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785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43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29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650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37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249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477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181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869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43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49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26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01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378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