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7

.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175

.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9

.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20

.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491

.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2

.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791

.NET Framework: 2003.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 https://www.sysnet.pe.kr/2/0/13050

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9

닷넷: 2248. C# - 인터페이스 타입의 다중 포인터를 인자로 갖는 C/C++ 함수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7

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361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인터페이스의 경우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조할 때 "Embed Interop Types"를 이용하면 DLL 의존성 없이 인터페이스 정의만 가져오는 것이 허용됩니다. 보통 Office 계열의 COM 개체를 다룰 때 사용하지만 C# 프로젝트에서도 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요.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볼까요?

우선, 인터페이스 정의만 담은 DLL을 하나 생성하고,

// ClassLibrary1 프로젝트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62A4A0A9-8791-444B-ABF7-8BFD23DFF0FB")]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이것을 상속받아 구현한 C# COM 개체를 다음과 같이 별도의 프로젝트에 만들었을 때,

// ClassLibrary2 프로젝트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ClassLibrary2
{
    [ComVisible(true)]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AutoDual)]
    public class Class1 : IAdminCode
    {
        public void SetRegistryValue()
        {
            MessageBox.Show("TEST");
        }
    }
}

일반적으로는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담고 있는 ClassLibrary1.dll도 함께 배포를 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을 합니다. 하지만, PIA(Primary Interop Assembly)를 이용하면 ClassLibrary1.dll에 대한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ClassLibrary2에서 ClassLibrary1을 "Embed Interop Types" == "True"로 두면 되는데,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server_create_object_1.png

현재 단계에서는 저렇게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CS1759 오류가 발생합니다.

Cannot embed interop types from assembly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because it is missing eithe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mportedFromTypeLibAttribute' attribute or th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 attribute.


왜냐하면, 우리가 만든 ClassLibrary1.dll은 "Primary Interop Assembly"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저 오류를 없애려면 DLL을 PIA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듯이 PIA 특성을 해당 DLL에 부여하면 됩니다. 따라서, ClassLibrary1.dll 프로젝트의 AssemblyInfo.cs에 다음과 같이 PIA 특성을 추가합니다.

[assembly: PrimaryInteropAssemblyAttribute(1, 0)]

하지만, 일단 저렇게 해서 ClassLibrary1.dll을 PIA로 인식시킬 수는 있지만 이번에는 CS1756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CS1756 Interop type 'IAdminCode' cannot be embedded because it is missing the required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ImportAttribute' attribute.


메시지에 나오는 것처럼, 의존성 없는 Import를 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ComImport 특성을 부여해야 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ComImportAttribute()]
    public interface IAdminCode
    {
        void SetRegistryValue();
    }
}

여기까지 해서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PIA와 그것을 참조하는 측에서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사용해 DLL 의존성을 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ConsoleApp1.exe 프로젝트를 만들어, 마찬가지로 ClassLibrary1.dll에 대해 "Embed Interop Types" 참조를 하고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2.dll에서 제공하는 C# COM 개체를 아무런 의존성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ClassLibrary1;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uid guid = new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Type type = Type.GetTypeFromCLSID(guid);

            object comObject = Activator.CreateInstance(type);

            IAdminCode ac = comObject as IAdminCode;

            ac.SetRegistryValue();
        }
    }
}

IAdminCode 사용을 위해 ClassLibrary1.dll을 참조하지만 "Embed Interop Types" 옵션을 켰으므로 응용 프로그램 배포 시에는 ConsoleApp1.exe 파일과 해당 C# COM 개체를 포함한 ClassLibrary2.dll만을 배포해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는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분리했는데요. 그냥 하나로 합쳐도 무방합니다. 즉, IAdminCode 인터페이스를 ClassLibrary2 프로젝트에 추가한 다음 ConsoleApp1에서는 ClassLibrary2 프로젝트를 PIA 참조해도 상관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2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하는데, 각각 "ClassLibrary1,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과 "ClassLibrary2, ConsoleApp1"로 나뉜 것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58정성태10/23/201820648.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17097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20374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21418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18226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25681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11752정성태10/18/201818287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
11751정성태10/18/201818511오류 유형: 497. Visual Studio 실행 시 그래픽이 투명해진다거나, 깨진다면?
11750정성태10/18/201816855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11749정성태10/18/201818931개발 환경 구성: 413.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가장 쉬운 방법
11748정성태10/18/201819165개발 환경 구성: 412. Arduino IDE를 Store App으로 설치한 경우 컴파일만 되고 배포가 안 되는 문제
11747정성태10/17/201819816.NET Framework: 799. C# - DLL에도 EXE처럼 Main 메서드를 넣어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6정성태10/15/201819378개발 환경 구성: 411. Bitvise SSH Client의 인증서 모드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5정성태10/15/201817244오류 유형: 495. TFS 파일/폴더 삭제 - The item [...] could not be found in your workspace, or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it.
11744정성태10/15/201818087개발 환경 구성: 410. msbuild로 .pubxml 설정에 따른 배포 파일을 만드는 방법
11743정성태10/15/201819277웹: 37. Bootstrap의 dl/dt/dd 조합에서 문자열이 잘리지 않도록 CSS 설정
11742정성태10/15/201825099스크립트: 13. 윈도우 배치(Batch) 스크립트에서 날짜/시간 문자열을 구하는 방법
11741정성태10/15/201818903Phone: 13. Android - LinearLayout 간략 설명
11740정성태10/15/201820863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11739정성태10/15/201822547Windows: 151. 윈도우 10의 전원 관리가 "균형 조정(Balanced)"으로 바뀌는 문제
11738정성태10/15/201820818오류 유형: 494. docker - 윈도우에서 실행 시 "unknown shorthand flag" 오류 [1]
11737정성태10/13/201816727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18342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24109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8509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21228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