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NET Framework: 1067.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666

.NET Framework: 106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667

.NET Framework: 1071.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70

COM 개체 관련: 23.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9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재미있는 현상이군요. ^^; 지난 글의 마지막에,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다음의 코드를 .NET Framework 환경에서 수행하면 결괏값이 RPC_E_TOO_LATE가 나온다고 했는데요,

using System;
using WslSdk.Interop;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result =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IntPtr.Zero,
            (-1),
            IntPtr.Zero,
            IntPtr.Zero,
            NativeMethods.RpcAuthnLevel.None,
            NativeMethods.RpcImpLevel.Impersonate,
            IntPtr.Zero,
            NativeMethods.EoAuthnCap.StaticCloaking,
            IntPtr.Zero);

        Console.WriteLine(result); // 출력 결과: 0
    }
}

그런데, 실제로 저렇게 테스트해 보면 0이 나옵니다. 단지 영향이 없을 것 같은 코드를 저기에 싣지 않았던 것뿐인데요, 원래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using System;
using WslSdk.Interop;

// Install-Package Wslhub.Sdk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result =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IntPtr.Zero,
            (-1),
            IntPtr.Zero,
            IntPtr.Zero,
            NativeMethods.RpcAuthnLevel.None,
            NativeMethods.RpcImpLevel.Impersonate,
            IntPtr.Zero,
            NativeMethods.EoAuthnCap.StaticCloaking,
            IntPtr.Zero);

        Console.WriteLine(result); // 출력 결과: -2147417831

        Wsl.GetDistroListFromRegistry();
    }
}

그러니까, 저렇게 WslSdk의 메서드 호출만 추가한 것으로 CoInitializeSecurity가 실패하는 것입니다. 오~~~ 신기하지 않나요? ^^




위의 현상을 간단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우선, .NET Framework 콘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를 호출하는 상태로 만들어 둡니다. 그다음 아래의 소스 코드만 가진 .NET Framework 라이브러리를,

public class Class1
{
    public static void Test() { }
}

콘솔 프로젝트에서 참조 추가해 Test 메서드를 호출하는 코드를 넣어 주면 상황을 재현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result =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IntPtr.Zero, (-1), IntPtr.Zero, IntPtr.Zero, NativeMethods.RpcAuthnLevel.None,
            NativeMethods.RpcImpLevel.Impersonate, IntPtr.Zero, NativeMethods.EoAuthnCap.StaticCloaking, IntPtr.Zero);

        Console.WriteLine(result); // 출력 결과: -2147417831

        Class1.Test();
    }
}

만약 저 코드를 JIT 컴파일러가 알지 못하도록 분리시켜 놓으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result =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IntPtr.Zero, (-1), IntPtr.Zero, IntPtr.Zero, NativeMethods.RpcAuthnLevel.None,
            NativeMethods.RpcImpLevel.Impersonate, IntPtr.Zero, NativeMethods.EoAuthnCap.StaticCloaking, IntPtr.Zero);

        Console.WriteLine(result); // 출력 결과: 0
            
        CallMethod();
    }

    static void CallMethod()
    {
        Class1.Test();
    }
}

이번에는 다시 0이 반환됩니다. 도대체 ^^; 무슨 일이 있는 걸까요?

어쨌든 현상만을 정리해 보면, ^^ JIT 컴파일러는 외부 DLL이 사용되었다는 것만으로 STAThread Main 시작 전에 CoInitializeSecurity를 호출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해당 현상은 .NET Core 프로젝트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2678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666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667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6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677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70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NoWriterDateCnt.TitleFile(s)
84정성태1/19/200521210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21464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21015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3116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8045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9831.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21337.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21546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9379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2432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9530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4339.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21515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2780.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21649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5539.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5504.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4840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4100.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2913.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6129.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22444.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55정성태10/3/200423283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54정성태8/30/200428832VC++: 10. 내가 생각해 보는 MFC OCX와 ATL DLL에 선택 기준
53정성태11/20/200528081VC++: 9. CFtpFileFind/FtpFileFind가 일부 Unix FTP 서버에서 목록을 제대로 못 가져오는 문제
184정성태11/23/200521933    답변글 VC++: 9.1. FTP 관련 토픽파일 다운로드1
... 196  [197]  198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