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NET Framework: 1067.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666

.NET Framework: 106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667

.NET Framework: 1071.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70

COM 개체 관련: 23.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9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지난 글에서, dllhost.exe에 호스팅한 C# COM 개체를 만들어 봤는데요,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그렇다면 EXE 프로세스 경계가 달라지므로 호출 측의 CoInitializeSecurity 제약을,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마찬가지로 극복할 수 있을까요? 테스트를 위해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글에서 사용한 (Serializable 특성이 DistroRegistryInfo에 적용된) NativeMethods.cs, Wsl.cs 소스 코드를 가져와 DLL Surrogate 예제였던 ClassLibrary1에 추가합니다.

그럼 Class1.cs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Linq;
using WslSdk;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62A4A0A9-8791-444B-ABF7-8BFD23DFF0FB")]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Test
    {
        long GetPTIDValue();

        DistroRegistryInfo GetDefaultDistro();
        string[] GetDistroList();
        string RunWslCommand(string distroName, string commandLine);
    }

    [ComVisible(true)]
    [Guid("296A7E30-8592-4EE5-8FE1-E9DAF86D146E")]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AutoDual)]
    public class CTest : ITest
    {
        public long GetPTIDValue()
        {
            long pid = Process.GetCurrentProcess().Id;
#pragma warning disable CS0618 // Type or member is obsolete
            long tid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pragma warning restore CS0618 // Type or member is obsolete

            return tid | (pid << 32);
        }

        public DistroRegistryInfo GetDefaultDistro()
        {
            return Wsl.GetDefaultDistro();
        }

        public string[] GetDistroList()
        {
            return Wsl.GetDistroListFromRegistry().Select(x => x.DistroName).ToArray();
        }

        public string RunWslCommand(string distroName, string commandLine)
        {
            string result = null;

            int initResult =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IntPtr.Zero,
                (-1),
                IntPtr.Zero,
                IntPtr.Zero,
                NativeMethods.RpcAuthnLevel.Default,
                NativeMethods.RpcImpLevel.Impersonate,
                IntPtr.Zero,
                NativeMethods.EoAuthnCap.StaticCloaking,
                IntPtr.Zero);

            try
            {
                result = Wsl.RunWslCommand(distroName, commandLine);
            }
            catch (Exception e)
            {
                result = $"{initResult} - {Environment.UserDomainName}\\{Environment.UserName}: " +  e.ToString();
            }

            return result;
        }
    }
}

그럼, ConsoleApp1 측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해 줄 수 있는데,

// Dll surrogated COM
{
    IntPtr pUnknown = IntPtr.Zero;
    int hr = CoCreateInstance(clsid, null, CLSCTX.LOCAL_SERVER, IID_IUnknown, ref pUnknown);
    ITest testObj = null;

    if (hr == 0)
    {
        try
        {
            testObj = Marshal.GetTypedObjectForIUnknown(pUnknown, typeof(ITest)) as ITest;
            long result = testObj.GetPTIDValue();
            Console.WriteLine($"Surrogated COM: pid = {result &gt;&gt; 32}, tid = {result &amp; UInt32.MaxValue}");

            var distro = testObj.GetDefaultDistro();;
            if (distro == null)
            {
                Console.WriteLine("No WSL default distro");
                return;
            }

            Console.WriteLine(testObj.RunWslCommand(distro.DistroName, "cat /etc/passwd"));
        }
        finally
        {
            if (testObj != null)
            {
                Marshal.ReleaseComObject(testObj);
            }

            if (pUnknown != null)
            {
                Marshal.Release(pUnknown);
            }
        }
    }
}

위의 소스 코드를 실행하면 GetDefaultDistro 호출은 (레지스트리로부터 값을 읽어오므로) 정상 동작하지만 RunWslCommand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것입니다.

-2147417831 - TESTPC\testusr: System.Exception: Ubuntu20.04 is not registered distro.
   at WslSdk.Wsl.RunWslCommand(String distroName, String commandLine, Int32 bufferLength)
   at ClassLibrary1.CTest.RunWslCommand(String distroName, String commandLine)

보다시피 NativeMethods.CoInitializeSecurity 메서드의 반환 값이 RPC_E_TOO_LATE(0x80010119)로 나오는데, 이것은 곧 DLL Surrogate의 경우 dllhost.exe 수준에서 이미 CoInitializeSecurity가 호출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쉽지만, DLL Surrogate 상태에서의 Wsl 관련 API 호출은 정상 동작하지 않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것을 극복하려면, 아마도 시스템이 제공하는 DLL Surrogate, 즉 dllhost.exe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정의한 Surrogate용 EXE를 제공하면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문서에서 찾을 수 있는데,

Writing a Custom Surrogat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com/writing-a-custom-surrogate

사실 복잡도를 낮추려고 DLL Surrogate를 사용하려는 것인데, 위와 같이 사용자 정의 Surrogate까지 만들 정도면 차라리 (out-of-process) Local Server COM 개체를 만드는 것이 더 낫습니다. 저는 더 이상 구현을 하지 않겠지만 ^^ 혹시 사용자 정의 Surrogate까지 구현해 CoInitializeSecurity를 완료하신 분이 계시다면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한 가지 더해 DLL Surrogate 관련해서 다음의 문서를 보면,

AppID Key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com/appid-key

dllhost.exe 수준의 CoInitializeSecurity 상태를 AppID 키 하위의 여러 레지스트리 값을 이용해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Impersonate인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AppIDFlags의 설명을 보면,

AppIDFlag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com/appidflags

0x1 APPIDREGFLAGS_ACTIVATE_IUSERVER_INDESKTOP
0x2 APPIDREGFLAGS_SECURE_SERVER_PROCESS_SD_AND_BIND
0x4 APPIDREGFLAGS_ISSUE_ACTIVATION_RPC_AT_IDENTIFY

If the APPIDREGFLAGS_ISSUE_ACTIVATION_RPC_AT_IDENTIFY flag is not set, the COM SCM will issue object activation requests to the COM server processes using an impersonation level of RPC_C_IMP_LEVEL_IMPERSONATE.


RPC_C_IMP_LEVEL_IMPERSONATE 설정이 기본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 COM+ 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Security 탭으로 Impersonation Level을 설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일 것으로 보이는데요, 따라서 그냥 WSL API가 호출이 되어야 하는데... 안 되는 이유를 모르겠군요. ^^;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이 글의 예제에서는 DLL Surrogate로 호스팅되는 ClassLibrary1에 Wslhub.Sdk nuget 패키지를 참조하지 않고 직접 소스 코드를 추가해 구현했습니다. 만약, 패키지 참조로 실습을 해보면 이를 사용하는 ConsoleApp1의 ITest로의 형변환 코드에서,

testObj = Marshal.GetTypedObjectForIUnknown(pUnknown, typeof(ITest)) as ITest;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CastException
  HResult=0x80004002
  Message=Unable to cast object of type 'System.__ComObject' to type 'ClassLibrary1.ITest'.
  Source=mscor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GetTypedObjectForIUnknown(IntPtr pUnk, Type t)
   at Program.Main(String[] args)

왜냐하면 ClassLibrary1은 regasm으로 전역적으로 등록된 상태고, 그것이 참조한 Wslhub.Sdk DLL은 그렇지 않으므로 DLL Surrogate를 제공하는 COM 런타임이 해당 dll을 찾을 수 없어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동작하려면 Wslhub.Sdk.dll도 gacutil 등으로 등록을 해야 하는데, 아쉽게도 해당 DLL은 strong name 서명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gac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2678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666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667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6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677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70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53정성태2/23/202024428.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21430.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24062.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24170.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21076.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5754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21052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22252.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23860.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24035.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8455.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22376.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21385.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22731.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22418.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8629.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20279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21925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7718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4978.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22738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5769.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4477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22050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9069.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23180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