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42. DEFINE_GUID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26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C++ - DEFINE_GUID 사용법

Visual C++에서 다음과 같이 DEFINE_GUID를 사용하면,

#include <Windows.h>

DEFINE_GUID(CLSID_LxssManager, 0x4F476546, 0xB412, 0x4579, 0xB6, 0x4C, 0x12, 0x3D, 0xF3, 0x31, 0xE3, 0xD6);

void main()
{
    HRESULT hr;
    IUnknown* pUnk;

    hr = CoCreateInstance(CLSID_LxssManager,
        NULL, CLSCTX_LOCAL_SERVER, IID_IUnknown, (PVOID*)&pUnk);
}

링크 단계에서 LNK1120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CLSID_LxssManager

fatal error LNK1120: 1 unresolved externals

DEFINE_GUID 매크로의 오류가 없는 걸로 봐서는 잘 동작한 건데요, 실제로 Visual Studio IDE에서 마우스를 오버해보면,

def_guid_1.png

분명히 정의가 돼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왜 오류가 발생한 건지 알 수는 있습니다. ^^) 이에 관해 검색해 보면,

Referencing GUID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980920/referencing-guids

답이 딱 나오는군요. ^^; 그러니까 일반적으로는 (이름과는 달리) DEFINE_GUID는 다음과 같이 선언의 의미만을 갖습니다.

#ifdef INITGUID
#define DEFINE_GUID(name, l, w1, w2, b1, b2, b3, b4, b5, b6, b7, b8) \
        EXTERN_C const GUID DECLSPEC_SELECTANY name \
                = { l, w1, w2, { b1, b2,  b3,  b4,  b5,  b6,  b7,  b8 } }
#else
#define DEFINE_GUID(name, l, w1, w2, b1, b2, b3, b4, b5, b6, b7, b8) \
    EXTERN_C const GUID FAR name
#endif // INITGUID


따라서 위에서 든 예제 코드의 DEFINE_GUID는 이렇게 선언 역할만을 하는 것입니다.

DEFINE_GUID(CLSID_LxssManager, 0x4F476546, 0xB412, 0x4579, 0xB6, 0x4C, 0x12, 0x3D, 0xF3, 0x31, 0xE3, 0xD6);
==> extern "C" const GUID CLSID_LxssManager;

이것을 실제 정의로 바꾸려면 INITGUID 상수가 있어야 하는데요, 물론 임의로 #define 시켜도 되겠지만 initguid.h 헤더 파일을 추가해도 됩니다.

#include <Windows.h>
#include <initguid.h>

DEFINE_GUID(CLSID_LxssManager, 0x4F476546, 0xB412, 0x4579, 0xB6, 0x4C, 0x12, 0x3D, 0xF3, 0x31, 0xE3, 0xD6);

void main()
{
    // ...[생략]...
}

그럼, 이제서야 비로소 온전히 GUID 정의로서의 구문을 갖추게 됩니다.

def_guid_2.png

DEFINE_GUID(CLSID_LxssManager, 0x4F476546, 0xB412, 0x4579, 0xB6, 0x4C, 0x12, 0x3D, 0xF3, 0x31, 0xE3, 0xD6);
==> extern const GUID __declspec(selectany) CLSID_LxssManager = { 0x4F476546, 0xB412, 0x4579, { 0xB6, 0x4C, 0x12, 0x3D, 0xF3, 0x31, 0xE3, 0xD6 } };
// Understanding the classical model for linking, groundwork: The algorithm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30107-00/?p=5633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개발자들이 DECLARE_GUID와 DEFINE_GUID를 나누기 싫었나 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200  201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정성태3/26/200520162.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21424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20500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20615.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20523.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22006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21677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20382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23684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20071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20046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9188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21604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7866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8722.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21355.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21898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21147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22036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20773.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9372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20708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8697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2881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2073.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22255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