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72.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36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1개 있습니다.)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

CoCreateInstance의 pinvoke 호출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볼까요?

[DllImport("ole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CoCreateInstance(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clsid,
    [MarshalAs(UnmanagedType.IUnknown)] IntPtr pUnkOuter,
    CLSCTX dwClsCtx,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iid,
    [In, Out] ref IntPtr ppv);

이걸로 사용해 보면,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Flags]
    internal enum CLSCTX : uint
    {
        INPROC_SERVER = 0x1,
        INPROC_HANDLER = 0x2,
        LOCAL_SERVER = 0x4,
        INPROC_SERVER16 = 0x8,
        REMOTE_SERVER = 0x10,
        INPROC_HANDLER16 = 0x20,
        RESERVED1 = 0x40,
        RESERVED2 = 0x80,
        RESERVED3 = 0x100,
        RESERVED4 = 0x200,
        NO_CODE_DOWNLOAD = 0x400,
        RESERVED5 = 0x800,
        NO_CUSTOM_MARSHAL = 0x1000,
        ENABLE_CODE_DOWNLOAD = 0x2000,
        NO_FAILURE_LOG = 0x4000,
        DISABLE_AAA = 0x8000,
        ENABLE_AAA = 0x10000,
        FROM_DEFAULT_CONTEXT = 0x20000,
        ACTIVATE_32_BIT_SERVER = 0x40000,
        ACTIVATE_64_BIT_SERVER = 0x80000,
        INPROC = INPROC_SERVER | INPROC_HANDLER,
        SERVER = INPROC_SERVER | LOCAL_SERVER | REMOTE_SERVER,
        ALL = SERVER | INPROC_HANDLER
    }

    [DllImport("ole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CoCreateInstance(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clsid,
        [MarshalAs(UnmanagedType.IUnknown)] IntPtr /* nuint */ pUnkOuter,
        CLSCTX dwClsCtx,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iid,
        [In, Out] ref IntPtr ppv);

    public static Guid CLSID_FolderInitHandler = new Guid("469afbdf-084f-4dc9-904f-9e824c48bc37");
    public static Guid IID_IUnknown = new Guid("00000000-0000-0000-C000-000000000046");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pUnknown = IntPtr.Zero;

        try
        {
            int hr = CoCreateInstance(CLSID_FolderInitHandler, IntPtr.Zero /* 0 */, CLSCTX.INPROC_SERVER, IID_IUnknown, ref pUnknown);
            Console.WriteLine(hr);
        }
        finally
        {
            if (pUnknown != IntPtr.Zero)
            {
                Marshal.Release(pUnknown);
            }
        }
    }
}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DirectiveException: Cannot marshal 'parameter #2': Invalid managed/unmanaged type combination (Int/UInt must be paired with SysInt or SysUInt).
   at Program.CoCreateInstance(Guid rclsid, IntPtr pUnkOuter, CLSCTX dwClsCtx, Guid riid, IntPtr& ppv)
   at Program.Main(String[] args)

왜냐하면, UnmanagedType.IUnknown으로 마샬링을 지정했으면 IntPtr로 하면 안 되고 object로 해야 합니다.

[DllImport("ole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CoCreateInstance([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clsid,
    [MarshalAs(UnmanagedType.IUnknown)] object pUnkOuter,
    CLSCTX dwClsCtx,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iid, [In, Out] ref IntPtr ppv);

int hr = CoCreateInstance(CLSID_FolderInitHandler, null, CLSCTX.INPROC_SERVER, IID_IUnknown, ref pUnknown);
Console.WriteLine(hr); // 출력 결과 0

혹은 IntPtr로 할 거라면 MarshalAs를 지정하지 말아야 합니다.

[DllImport("ole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CoCreateInstance([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clsid,
    IntPtr pUnkOuter,
    CLSCTX dwClsCtx,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iid, [In, Out] ref IntPtr ppv);

int hr = CoCreateInstance(CLSID_FolderInitHandler, IntPtr.Zero, CLSCTX.INPROC_SERVER, IID_IUnknown, ref pUnknown);
Console.WriteLine(hr); // 출력 결과 0

또 하나 실수할 수 있는 것은 MarshalAs를 지정한 object를,

[DllImport("ole32.dll")]
internal static extern int CoCreateInstance([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clsid,
    [MarshalAs(UnmanagedType.IUnknown)] object pUnkOuter,
    CLSCTX dwClsCtx, [In, MarshalAs(UnmanagedType.LPStruct)] Guid riid, [In, Out] ref IntPtr ppv);

IntPtr.Zero로 던졌을 때입니다.

int hr = CoCreateInstance(CLSID_FolderInitHandler, IntPtr.Zero, CLSCTX.INPROC_SERVER, IID_IUnknown, ref pUnknown);
Console.WriteLine(hr); // 출력 결과: -2147221232

이번에는 예외가 발생하지는 않고 hr로 반환합니다. 그래도 hr 값의 의미를 보면 pUnkOuter 인자에서 잘못된 것임을 짐작게 합니다.

0x80040110 Class does not support aggregation (or class object is remote)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2678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
; https://www.sysnet.pe.kr/2/0/12665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2666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667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6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677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70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5정성태9/8/20062732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635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2781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016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3771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17242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19170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18845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16888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302정성태8/21/200618446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
299정성태7/23/200618899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300정성태7/15/20062330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
301정성태7/18/2006183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
298정성태7/14/200618703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
296정성태7/10/200628000.NET Framework: 73. [ASP.NET] HTC(DHTML Control Behavior)를 WebResource.axd로 제공하는 방법 [3]
295정성태7/1/200621212VC++: 25. Microsoft National Language Support Downlevel APIs 1.0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294정성태6/30/200617766.NET Framework: 72. XSDObjectGen.EXE 기능 개선
293정성태6/29/200619511Team Foundation Server: 10. TFS 버전 컨트롤(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
290정성태6/26/200616861Team Foundation Server: 9.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 번째 이야기 [1]
291정성태6/26/20061818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1. [선행 작업]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번째 이야기 [1]
292정성태6/26/20061793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2. TF30177 오류 발생
307정성태8/3/20061958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3. Team Server 접근 이름을 바꾸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308정성태2/18/20071923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4. Team Server HTTPS 접근 완료. ^^ [1]
288정성태6/26/200634121오류 유형: 10.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
286정성태6/23/200622242웹: 4. 웹 사이트 식별자(Identifier) 값 변경
285정성태6/20/200622533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