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2

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3

VS.NET IDE: 166.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83

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705

VS.NET IDE: 182. Visual Studio - 32비트로만 빌드된 ActiveX와 작업해야 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3322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Visual Studio 2022부터 x64 버전이 나왔습니다.

Visual Studio 2022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isual-studio-2022/
    
Visual Studio 2022 Preview 1 now available!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isual-studio-2022-preview-1-now-available/

저는 은근히, x86과 x64 버전이 함께 나올 것을 기대했는데 Preview 버전에 따르면 x64 버전만 있습니다. 그나저나, 이로 인해 Visual Studio 2019에서 발생하던 x64 WinForm 프로젝트의 디자인 문제가,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603

이젠 반대로 발생하게 됩니다. 즉, 이제는 x86 Windows Forms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22에서 열면 다음과 같이 디자인 창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x64_winform_design_error_1.png

To prevent possible data loss before loading the designer, the following errors must be resolved:   
  
Could not find type 'WindowsFormsControlLibrary1.UserControl2'. Please make sure that the assembly that contains this type is referenced. If this type is a part of your development project, make sure that the project has been successfully built using settings for your current platform or Any CPU.    
 
Instances of this error (1)  
 
1. There is no stack trace or error line information available for this error.  
 
The variable 'userControl21' is either undeclared or was never assigned.

Instances of this error (1)  
 
1.   WindowsFormsControlLibrary1 UserControl1.Designer.cs Line:45 Column:1   Show Call Stack  
 
at System.ComponentModel.Design.Serialization.CodeDomSerializerBase.Error(IDesignerSerializationManager manager, String exceptionText, String helpLink)
at System.ComponentModel.Design.Serialization.CodeDomSerializerBase.DeserializeExpression(IDesignerSerializationManager manager, String name, CodeExpression expression)
at System.ComponentModel.Design.Serialization.CodeDomSerializerBase.DeserializeExpression(IDesignerSerializationManager manager, String name, CodeExpression expression)
at System.ComponentModel.Design.Serialization.CodeDomSerializerBase.DeserializeStatement(IDesignerSerializationManager manager, CodeStatement statement)  

원인은 위의 글 2개에서 설명한 것과 정확히 반대의 이유입니다.




참고로 재현은, 첨부 파일을 Visual Studio 2022에서 열어 x86 빌드로 설정한 후 WindowsFormsApp1 프로젝트의 Form1.cs 디자인 창을 열어보면 됩니다. 혹은, WindowsFormsControlLibrary1 프로젝트의 (UserControl2.cs를 포함한) UserControl1.cs 디자인 창을 열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2-27 10시26분
WinForms in a 64-Bit world – our strategy going forward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winforms-designer-64-bit-path-forward/

Some 5 Years In, 'New' WinForms Designer Still Not There
; https://visualstudiomagazine.com/Articles/2024/02/28/winforms-update.aspx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56정성태7/7/202017549.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312.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6866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326.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141.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19919.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089.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490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276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166.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352.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8806.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8851.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284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6840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081.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629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650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027.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535.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269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7455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6829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17295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15987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9251.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