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22부터 DTE.get_Properties 속성 접근 시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예외 발생

현재 이 문제는 Microsoft.VisualStudio.SDK 17.0.31902.203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후 해결되었습니다.

2019 버전까지 잘 동작하던 아래의 코드가,

Property property = dte.DTE.get_Properties("TextEditor", "PlainText").Item("IndentStyle");

// 또는

Property property = dte.DTE.Properties["TextEditor", "PlainText"].Item("IndentStyle");

2022 버전에서 (예외 정도가 아니라) crash가 발생합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devenv.exe, version: 17.0.31410.414, time stamp: 0x9a994a46
Faulting module name: KERNELBASE.dll, version: 10.0.19041.1023, time stamp: 0x924f9cdb
Exception code: 0xe0434352
Fault offset: 0x0000000000034b89
Faulting process id: 0x56fc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764426e58bfe9
Faulting application path: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Preview\Common7\IDE\devenv.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System32\KERNELBASE.dll
Report Id: b4986db0-b5ff-4082-b479-ab498b66b309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
Event ID:      102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
Description:
Application: devenv.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Exception Info: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at TestExtension.Utility+<SetTextAsync>d__11.MoveNext()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AsyncTaskMethodBuilder.Start[[System.__Canon,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System.__Canon ByRef)
   at TestExtension.Utility.SetTextAsync(EnvDTE80.DTE2, Microsoft.VisualStudio.Shell.AsyncPackage, EnvDTE.TextSelection, System.String)
   at TestExtension.TestCommand+<Action_InsertAsync>d__9.MoveNext()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System.Threading.Tasks.Task)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GetResult()
   at TestExtension.TestCommand+<CallAsync>d__25.MoveNext()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System.Threading.Tasks.Task)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GetResult()
   at TestExtension.TestCommand+<MenuItemCallback>d__14.MoveNext()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System.Object,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System.Delegat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Impl()
   at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CallbackWrapper(System.Object)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Boolean)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Boolean)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at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Run(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ocessQueu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WndProcHook(IntPtr, Int32, IntPtr, IntPtr, Boolean ByRef)
   at MS.Win32.HwndWrapper.WndProc(IntPtr, Int32, IntPtr, IntPtr, Boolean ByRef)
   at MS.Win32.HwndSubclass.DispatcherCallbackOperation(System.Object)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System.Object,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System.Delegat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LegacyInvokeImpl(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iority, System.TimeSpan,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at MS.Win32.HwndSubclass.SubclassWndProc(IntPtr, Int32, IntPtr, IntPtr)

MissingMethodException 예외가 힘든 것은, 해당 메서드가 위치한 라인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한 메서드만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메서드의 부재로 예외가 발생하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이걸 알려면 디버거를 걸거나, print 식 디버깅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를 알아도 이런 식으로 수정하면 안 됩니다.

void SetTextAsync()
{
    Property property = null;

    Version version = new Version(dte.Version);
    if (version.Major <= 16) // 2019 이하 버전에서만 코드 실행!
    {
        property = dte.DTE.Properties["TextEditor", "PlainText"].Item("IndentStyle");
    }
}

왜냐하면, if 문에 상관없이 (문제가 발생한 메서드인) SetTextAsync를 JIT 컴파일할 때 MissingMethodException 예외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코드를 JIT 순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별도의 메서드로 분리해내야 합니다.

void SetTextAsync()
{
    Property property = null;

    Version version = new Version(dte.Version);
    if (version.Major <= 16) // 2019 이하 버전에서만 코드 실행
    {
        property = GetIndentStyle(dte);
    }
}

private static Property GetIndentStyle(DTE2 dte)
{
    Microsoft.VisualStudio.Shell.ThreadHelper.ThrowIfNotOnUIThread();
    return dte.DTE.Properties["TextEditor", "PlainText"].Item("IndentStyle");
}




검색해 보면,

Missing EnvDTE Properties for Debugging -> Symbols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t/missing-envdte-properties-for-debugging-symbols/193262

동일한 증상인데,

EnvDTE.DTE dte = ServiceProvider.GetService(typeof(EnvDTE.DTE)) as EnvDTE.DTE;
dte.Properties["Debugging", "General"].Item("EnableJustMyCode").Value = true;

"Debugging" 부분은 별도로 IVsDebuggerSymbolSettings120A / IVsDebuggerSymbolSettingsManager120A 인터페이스로 기능을 대체한 듯합니다. 이 글에서 문제가 된 TextEditor도 대체 인터페이스가 있을 듯한데 글쎄요... 테스트해 봐야 알겠지만 아래의 정도가 후보군이 될 수 있겠군요.

LanguagePreferences.IndentStyle Property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microsoft.visualstudio.package.languagepreferences.indentsty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82정성태9/5/201817625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0334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2504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0511.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18921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16693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11676정성태8/29/201827521.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1675정성태8/29/201817724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
11674정성태8/29/201819699Phone: 12.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673정성태8/28/201816970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11672정성태8/28/201817392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
11671정성태8/28/201823788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1670정성태8/28/201822021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69정성태8/24/201820791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11668정성태8/24/201831824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18615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66정성태8/22/201818519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파일 다운로드1
11665정성태8/22/201821200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64정성태8/22/201820826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
11663정성태8/22/201823543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11662정성태8/21/201817222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파일 다운로드1
11661정성태8/21/201819538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파일 다운로드1
11660정성태8/19/201818614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659정성태8/19/201818403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8정성태8/18/201821903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파일 다운로드3
11657정성태8/18/201819899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