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83

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85

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692

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98

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64

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 https://www.sysnet.pe.kr/2/0/13165

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33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Azure의 Kudu 서비스에는 "Process Explorer"에서 다음과 같이 "Download memory dump" 버튼이 제공돼 대상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를 뜰 수 있습니다.

azure_memory_dump_1.png

그런데, w3wp.exe가 아니라서 그런 것인지 위에서와 같은 "java"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메모리 덤프가 떠지지 않습니다. (버튼을 눌러도 동작을 안 합니다.) 그래도 그나마 저 화면이 의미가 있는 것은 서비스 수행 중인 java.exe의 PID를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약간 귀찮긴 한데 해당 Web App이 구동 중인 서버에 설치된 procdump를 직접 실행하는 것으로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로 이미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따라서 이번 경우(PID == 8580)에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Kudu Debug Console 창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d:\devtools\sysinternals\procdump -accepteula -ma 8580

부가적으로, 덤프 파일들을 기왕이면 의도한 경로에 생성하는 것이 좋으므로 Web App의 경우 "d:\home\LogFiles"로 이동한 다음 덤프를 뜨는 것이 좋겠습니다.

D:\home\site\wwwroot> cd d:\home\LogFiles
d:\home\LogFiles> d:\devtools\sysinternals\procdump -accepteula -ma 8580

그리고 용량이 크기 때문에 (역시 미리 설치돼 있는) 7zip을 이용해 압축 후 다운로드하시고.

d:\home\LogFiles> d:\7zip\7za a test.zip *.dmp




그나저나, 사실 Java 프로세스라면 메모리 덤프보다는 자바의 Heap 덤프를 뜨는 것이 더 유용할 것입니다. ^^

[Java][Web Apps] Generate a Java heap dump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azure/en-US/aaedc0a6-31a5-4722-a259-0b1b25492a99/javaweb-apps-generate-a-java-heap-dump?forum=opensourcedevwithazure

답변에 보면 jmap을 사용하라고 쓰여 있는데요

jmap -dump:format=b,file=<dump-filename>.hprof <java pid>

Java Web App을 호스팅하고 있는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이 각각의 JDK에 해당하는 bin 폴더에 jmap.exe가 있으므로,

D:\> dir /a/s jmap.* | findstr Directory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7.0_51\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7.0_71\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7.0_80\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8.0_111\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8.0_172\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8.0_25\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8.0_60\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jdk1.8.0_73\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29.0.5-jdk7.0.22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34.0.5-jdk7.0.24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36.0.5-jdk7.0.25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38.0.11-jdk7.0.26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40.0.15-jdk7.0.27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7.44.0.11-jdk7.0.29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8.15.0.1-jdk8.0.9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8.17.0.3-jdk8.0.102-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8.23.0.3-jdk8.0.144-win_x64\bin
 Directory of D:\Program Files\Java\zulu8.30.0.1-jdk8.0.172-win_x64\bin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이 호스팅되는 JDK에 따른 버전으로 실행시키면 됩니다.

D:\home\site\wwwroot> cd d:\home\LogFiles
d:\home\LogFiles> "D:\Program Files\Java\zulu8.30.0.1-jdk8.0.172-win_x64\bin\jmap" -dump:format=b,file=test.hprof  8580
Dumping heap to D:\home\LogFiles\test.hprof ...
Heap dump file created

// "Quickstart: Create a Java app on Azure App Service"의 "gs-spring-boot" 예제의 경우 약 450MB 정도의 dmp 파일 생성

또는 다음과 같이 JAVA_OPTS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JAVA_OPTS=-Djava.net.preferIPv4Stack=true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XX:HeapDumpPath=d:\home\LogFiles\minidum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0정성태4/22/202115340.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17799.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8342.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5584.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1386.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6783.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4688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6311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17398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6446.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16693.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7471.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18016.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7660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6960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16697.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6173.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7190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6724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0601.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6760.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8001.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19715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0998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17876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16816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