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 https://www.sysnet.pe.kr/2/0/1391

.NET Framework: 661. Json.NET의 DeserializeObject 수행 시 속성 이름을 동적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24

.NET Framework: 756. JSON의 escape sequence 문자 처리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532

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766

.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 https://www.sysnet.pe.kr/2/0/12688

.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 https://www.sysnet.pe.kr/2/0/13214

.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 https://www.sysnet.pe.kr/2/0/13342

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623

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44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Source Generator를 이용해,

C# - Source Generator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23

Reflection 단계를 없애고 JSON을 직렬화/역직렬화하는 nuget 패키지가 나왔습니다. ^^

Is the era of reflection-heavy C# libraries at an end?
; https://blog.marcgravell.com/2021/05/is-era-of-reflection-heavy-c-libraries.html

JsonSrcGen
; https://github.com/trampster/JsonSrcGen

따라서 단순히 JsonSrcGen 패키지만 참조 추가하고,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특성을 적용해 주면 JSON 직렬화/역직렬화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JsonSrcGen;

namespace ConsoleApp2
{
    // Install-Package JsonSrcGen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converter = new JsonConverter();

            ReadOnlySpan<char> json = converter.ToJson(new MyType() { MyProperty = "Some value" });
            Console.WriteLine(json.ToString());

            var myType = new MyType();
            converter.FromJson(myType, "{ \"my_name\" : \"Some value\" }");
            // 또는, converter.FromJson(myType, json);

            Console.WriteLine(myType);
        }
    }


    [Json]
    public class MyType
    {
        [JsonName("my_name")]
        public string MyProperty { get; set; }

        [JsonIgnore]
        public string IgnoredProperty { get; set; }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MyProperty = {MyProperty}";
        }
    }
}

/* 출력 결과
{"my_name":"Some value"}
MyProperty = Some value
*/

이때 Source Generator가 자동 생성하는 코드는 JsonConverter이고, 위와 같은 경우 MyType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의 소스 코드를 생성해 냅니다.

// %LOCALAPPDATA%\Temp\VSGeneratedDocuments\6aae0b5e-b25f-5c50-066b-6883b1eb7a7f\JsonConverter.cs

using System;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namespace JsonSrcGen
{
#nullable enable
    public class JsonConverter
    {
        [ThreadStatic]
        JsonStringBuilder? Builder;
        public ReadOnlySpan<char> ToJson(ConsoleApp2.MyType value)
        {

            var builder = Builder;
            if(builder == null)
            {
                builder = new JsonStringBuilder();
                Builder = builder;
            }
            builder.Clear();
            ToJson(value, builder);
            return builder.AsSpan();
        }
        public void ToJson(ConsoleApp2.MyType value, JsonStringBuilder builder)
        {
            if(value.MyProperty == null)
            {
                builder.Append("{\"my_name\":null");
            }
            else
            {
                builder.Append("{\"my_name\":\"");
                builder.AppendEscaped(value.MyProperty);
                builder.Append("\"");
            }
            builder.Append("}");
        }
        public ReadOnlySpan<char> FromJson(ConsoleApp2.MyType value, ReadOnlySpan<char> json)
        {
            json = json.SkipWhitespaceTo('{');
            while(true)
            {
                json = json.SkipWhitespace();
                char value452 = json[0];
                if(value452 == '\"')
                {
                    json = json.Slice(1);
                }
                else if(value452 == '}')
                {
                    return json.Slice(1);
                }
                else
                {
                    throw new InvalidJsonException($"Unexpected character! expected '}}' or '\"' but got '{value452}'", json);
                }
                var propertyName = json.ReadTo('\"');
                json = json.Slice(propertyName.Length + 1);
                json = json.SkipWhitespaceTo(':');
                switch(propertyName.Length % 1)
                {
                    case 0:
                        if(!propertyName.EqualsString("my_name"))
                        {
                            json = json.SkipProperty();
                            break;
                        }
                        json = json.Read(out string? property453Value);
                        value.MyProperty = property453Value;
                        break;
                }
                json = json.SkipWhitespace();
                if(json[0] == ',')
                {
                    json = json.Slice(1);
                }
            }
        }
    }
}
#nullable restore

재미있군요. ^^ 현재 .NET Core 2.1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아래의 버그는 1.1 버전에서 해결될 거라고 합니다. ^^ 대응이 무척 빠르군요.)

참고로, JsonSrcGen 대상이 되는 타입을 namespace 없이 정의하면,

using System;
using JsonSrcGen;

/*
namespace ConsoleApp2
{
*/
    [Json]
    public class MyType
    {
        [JsonName("my_name")]
        public string MyProperty { get; set; }

        [JsonIgnore]
        public string IgnoredProperty { get; set; }
    }
// }

이런 식의 무수한 컴파일 오류 메시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

Error CS0501 '<invalid-global-code>.<invalid-global-code>(value, builder)' must declare a body because it is not marked abstract, extern, or partial

Error CS0501 'JsonConverter.ToJson(global)' must declare a body because it is not marked abstract, extern, or partial

Error CS0116 A namespace cannot directly contain members such as fields or methods

Error CS1520 Method must have a return type

아직 1.0.3의 초기 버전이라 현업에 적용하실 때는 적절한 사전 검증 작업이 필요할 듯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7-30 09시43분
정성태
2023-01-20 08시30분
riok/mapperly
; https://github.com/riok/mapperly

A .NET source generator for generating object mappings. No runtime reflection. Inspired by MapStruct.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2정성태4/7/201920289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11861정성태4/6/201919635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3576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0863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1710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583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802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985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714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459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646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396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500.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821.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592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3045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696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789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3123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8057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426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709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359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371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951.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872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