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83

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85

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692

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98

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64

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 https://www.sysnet.pe.kr/2/0/13165

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33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테스트하는 도중 (Web App에 영향을 주는 Site Extension 설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프로세스가 crash 된다면 "D:\home\site\wwwroot" 경로에 남는 log 파일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D:\home\site\wwwroot> dir /b
app.jar
hostingstart.html
hs_err_pid259296.log
replay_pid259296.log

이 중에서 hs_err_[...].log의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요.

#
# There is insufficient memory for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to continue.
# Native memory allocation (malloc) failed to allocate 32744 bytes for ChunkPool::allocate
# Possible reasons:
#   The system is out of physical RAM or swap space
#   The process is running with CompressedOops enabled, and the Java Heap may be blocking the growth of the native heap
# Possible solutions:
#   Reduce memory load on the system
#   Increase physical memory or swap space
#   Check if swap backing store is full
#   Decrease Java heap size (-Xmx/-Xms)
#   Decrease number of Java threads
#   Decrease Java thread stack sizes (-Xss)
#   Set larger code cache with -XX:ReservedCodeCacheSize=
#   JVM is running with Unscaled Compressed Oops mode in which the Java heap is
#     placed in the first 4GB address space. The Java Heap base address is the
#     maximum limit for the native heap growth. Please use -XX:HeapBaseMinAddress
#     to set the Java Heap base and to place the Java Heap above 4GB virtual address.
# This output file may be truncated or incomplete.
#
#  Out of Memory Error (allocation.cpp:272), pid=259296, tid=0x000000000003cdb0
#
# JRE version: OpenJDK Runtime Environment (Zulu 8.48.0.53-win64) (8.0_265-b11) (build 1.8.0_265-b11)
# Java VM: OpenJDK 64-Bit Server VM (25.265-b11 mixed mode windows-amd64 compressed oops)
# Failed to write core dump. 
#

...[생략]...

그렇습니다. (D1 공유 요금제의 열악한 환경 탓에)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가 발생했던 것입니다. (원래는 hdmp 메모리 덤프도 남는 것이 정상인데, 디스크 공간도 부족하면 이것조차 남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3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79정성태1/6/202119916.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3219.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4094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19433.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4291.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20563.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19711.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19477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20306.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20174.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4361.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21438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21346.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8715.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12465정성태12/29/202022370.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12464정성태12/29/202019859.NET Framework: 986. pptfont.exe - PPT 파일에 숨겨진 폰트 설정을 일괄 삭제
12463정성태12/29/202018807개발 환경 구성: 520. RDP(mstsc.exe)의 다중 모니터 옵션 /multimon, /span
12462정성태12/27/202021715디버깅 기술: 177. windbg - (ASP.NET 환경에서 유용한) netext 확장
12461정성태12/21/202021099.NET Framework: 985. .NET 코드 리뷰 팁 [3]
12460정성태12/18/202019086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12459정성태12/16/202020725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58정성태12/16/202017758오류 유형: 694. C# - Task.Start 메서드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예외 발생 [1]
12457정성태12/15/202018974Windows: 185. C# - Windows 10/2019부터 추가된 SIO_TCP_INFO파일 다운로드1
12456정성태12/15/202020039VS.NET IDE: 156.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12455정성태12/15/202019529오류 유형: 693. DLL 로딩 시 0x800704ec - This Program is Blocked by Group Policy [1]
12454정성태12/15/202019981Windows: 184. Windows - AppLocker의 "DLL Rules"를 이용해 임의 경로에 설치한 DLL의 로딩을 막는 방법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