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지난 글에서,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2690

Tomcat 호스팅인 경우 catalina 로그가 %HOME%\LogFiles\Application 디렉터리에 남는다고 했는데요, 반면 Java SE 호스팅인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로그가 남지 않습니다.

동료 자바 Guy의 말에 따르면 spring boot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해당 프로젝트 자체에서 "src/main/resources" 경로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추가하고 다음과 같은 식의 내용으로 채우면 된다고 합니다.

logging.level.root=info
logging.level.org.hibernate.SQL=warn
logging.level.io.netty=warn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warn
# logging.file.path=/home/jennifer/test/logs
# logging.file.name=boot-flux2.log
logging.file.name=/home/jennifer/test/logs/boot-flux.log
# logging.file=/home/jennifer/test/logs/boot-flux.log

Azure 환경의 경우 가능한 %HOME%\LogFiles\Application 경로를 활용하도록 의미상 권장하므로 다음과 같이 바꾼 후,

logging.file.name=d:\\home\\LogFiles\\Application\\boot-flux.log

Spring Boot 예제 프로그램을 다시 배포를 하면, 이후 Azure 측에서 Web App이 구동될 때 %HOME%\LogFiles\Application 경로에 다음과 같은 식의 내용을 갖는 로그 파일이 생성됩니다.

2021-06-29 02:09:37.568  INFO 253136 --- [main] com.example.springboot.Application       : Starting Application v0.0.1-SNAPSHOT using Java 1.8.0_265 on RD0004FFE31F32 with PID 253136 (C:\DWASFiles\Sites\testhello\Temp\javaFiles\8376...[생략]...1066\site\wwwroot\app.jar started by RD0004FFE31F32$ in D:\home\site\wwwroot)
2021-06-29 02:09:37.631  INFO 253136 --- [main] com.example.springboot.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default profiles: default
2021-06-29 02:09:52.975  INFO 253136 --- [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arting service [Tomcat]
2021-06-29 02:09:52.975  INFO 253136 ---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  : Starting Servlet engine: [Apache Tomcat/9.0.46]
2021-06-29 02:09:53.478  INFO 253136 --- [main]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embedded WebApplicationContext
2021-06-29 02:09:59.569  INFO 253136 --- [main] com.example.springboot.Application       : Started Application in 27.522 seconds (JVM running for 30.74)
2021-06-29 02:10:00.725  INFO 253136 --- [http-nio-3169-exec-4]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그런데 저 로그 파일을 보면 Spring Boot 앱도 어차피 Tomcat에서 호스팅되고 있는데 왜 catalina 로그 파일을 굳이 (기본적으로) 생성해 주지 않는 걸까요? ^^;




참고로, Azure상에서 "App Service Logs" 메뉴의 "Application Logging" 메뉴를 켜면,

app_service_logs_1.png

"D:\home\LogFiles\http\RawLogs" 디렉터리에 웹 액세스 로그 파일이 남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자바 호스팅이지만 reverse proxy 서버로 IIS가 사용되기 때문에 말 그대로 IIS 접속 로그가 남습니다.

#Software: 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8.0
#Fields: date time s-sitename cs-method cs-uri-stem cs-uri-query s-port cs-username c-ip cs(User-Agent) cs(Cookie) cs(Referer) cs-host sc-status sc-substatus sc-win32-status sc-bytes cs-bytes time-taken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4b48a27c-0581-41d8-a1e3-cf661edd7180 80 - 52.231.51.139 ReadyForRequest/1.0+(LocalCache) -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362 752 76605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05c81e95-e810-4811-9634-aa0a5b55f3f8 80 - ::1 AlwaysOn ARRAffinity=9af8e22f5e9968f02761240f41642699ab0162b805b2e390d95123469db85db3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560 712 76809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697f57f9-3d04-4a62-bfd5-c1f5c2bd45c1 80 - ::1 AlwaysOn ARRAffinity=9af8e22f5e9968f02761240f41642699ab0162b805b2e390d95123469db85db3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570 685 60841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da5fb883-e985-4808-83c8-6fbf25e0b7c7 80 - ::1 AlwaysOn ARRAffinity=9af8e22f5e9968f02761240f41642699ab0162b805b2e390d95123469db85db3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569 687 67217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4b48a27c-0581-41d8-a1e3-cf661edd7180 80 - 52.231.51.139 ReadyForRequest/1.0+(AppInit) ARRAffinity=9af8e22f5e9968f02761240f41642699ab0162b805b2e390d95123469db85db3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369 793 156
2021-07-02 12:30:09 TESTHELLO GET / X-ARR-LOG-ID=7166b759-411b-4fc5-b4da-3c39821ff8e8 80 - ::1 AlwaysOn ARRAffinity=9af8e22f5e9968f02761240f41642699ab0162b805b2e390d95123469db85db3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570 685 71315
2021-07-02 12:30:12 ~1TESTHELLO GET / - 80 - 100.72.8.160 AlwaysOn - - testhello.azurewebsites.net 200 0 0 8215 451 57
...[생략]...




logging.file.name 옵션이 말 그대로 "file.name"이지만 전체 경로를 설정하려는 경우 환경 변수를 쓰면 안 됩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logging.file.name=%HOME%\LogFiles\Application\boot-flux.log

실제 파일은 이런 식으로 생성됩니다.

d:\home\site\wwwroot\%HOME%LogFilesApplicationboot-flux.log

또한, 역슬래시('\') 문자가 escape로 쓰이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해도,

logging.file.name=d:\home\LogFiles\Application\boot-flux.log

의도치 않은 방식으로 로그 파일이 생성됩니다.

d:\home\site\wwwroot\homeLogFilesApplicationboot-flux.lo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1-28 11시05분
[k8s] SpringBoot Eco API서버 k8s에 올리기
; https://blog.naver.com/ssang8417/222632093742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79정성태1/12/201422287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3850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24050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3]
1576정성태1/11/201442006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1575정성태1/11/201422484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4461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2240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72정성태1/9/201425740.NET Framework: 406. CoreLab - OraDirect .NET 사용법
1571정성태1/9/201421954.NET Framework: 405.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570정성태1/9/201425329Math: 11. C# 시뮬레이션 - 몬티홀 게임파일 다운로드1
1569정성태1/8/201422523Windows: 80. 윈도우 서버 백업의 복원하는 옵션 설명
1568정성태1/8/201423127오류 유형: 202. Hyper-V 서비스 시작 오류 -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to complete this operation.
1567정성태1/8/201492446기타: 40. 오피스 2013 라이선스 리셋하는 방법 [5]
1566정성태1/7/201423417Windows: 79. 윈도우 8 - 스카이드라이브(skydrive)의 Online/Offline 동기화 방식 [1]
1565정성태1/3/201421902.NET Framework: 404. 리플렉션을 이용해 닷넷 LicenseManager를 우회할 수 있는 사례
1564정성태1/3/201422443.NET Framework: 403.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563정성태1/3/201428185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1562정성태1/2/201432838.NET Framework: 402.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시 개발자 컴퓨터에서 Themida 오류 나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561정성태1/1/201442381오류 유형: 200.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시 개발자 컴퓨터에서 Themida 오류 나는 문제 [2]
1560정성태1/1/201421162오류 유형: 199. Hyper-V - Checkpoint 생성 오류
1559정성태12/30/201324395.NET Framework: 401. windbg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2]
1558정성태12/29/201333868.NET Framework: 400. 눈으로 확인하는 LayoutKind 옵션 효과 [2]파일 다운로드1
1557정성태12/27/201322905.NET Framework: 399. LayoutKind 옵션에 대해 [2]
1556정성태12/27/201343169개발 환경 구성: 208. IIS + Node.js 환경 구성 [8]
1555정성태12/27/201329926개발 환경 구성: 207. IIS의 80 포트를 공유하는 응용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1]
1554정성태12/26/201335314Windows: 78. 마음에 드는 윈도우 8.1 태블릿 - 델 베뉴 8 프로 5830 [4]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